OPENHOUSE

트리하우스 성수

모포시스 아키텍츠+에스엠엘 건축사사무소

2023년 10월 26일 2:00PM
서울 성동구 성수일로 4가길 7, STIC55 빌딩

 


트리하우스 성수는 기존 빌딩의 7층, 8층, 옥탑 공간의 인테리어 프로젝트입니다. 
공간 투어 30분, 모포시스의 최근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 30분으로 진행됩니다.


오픈하우스 진행 임성수 (모포시스 부장)
건물 속에서 자라는 나무: 환경에 적응하는 디자인 세포
실내건축 실험_트리하우스 성수는 기존에 시공된 빌딩의 7층, 8층, 옥탑 공간의 인테리어 디자인이 주요 과업인 프로젝트다. 각 층은 6~10평 정도(원룸 크기)의 매우 작은 공간이지만, 의뢰인은 이러한 제한된 환경에서도 새로운 영감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또 다른 가능성을 내포한 실험적 접근을 제안했다. 우리는 이러한 제안을 작은 것을 더 세밀하게 들여다보는 계기로 삼았다.
현재 통용되는 ‘실내재료 마감표’라는 용어가 대변하듯 ‘인테리어 디자인’이 단순히 규정된 공간에 마감재를 선정하고 가구나 조명 등의 아이템을 배치해 넣는 업무로 이해되는 현상에 대해, 또 다른 시각으로 해석과 대안을 제시하고자 고민했다. 우리는 이 디자인 진행 과정을 실내에서 벌어지는 ‘건축’ 행위로 규정하고, 단순히 내부면을 마감하는 이상의 미학적 기능과 경험을 유도하고자 노력했다. 그래서 ‘건물 내부마감’이라는 표현 대신, 실내건축(interior architecture)으로 구분해 표현하고 싶다.
 
디자인 언어_성수동은 과거부터 존재하는 길과 새롭게 지어지는 건물이 도시의 콘텍스트와 하드웨어를 구성한다. 트리하우스 성수는 이러한 도시와 공간 속에서 성장하며 확산하는 식물(나무 혹은 덩굴)을 디자인 모티브로 한다. 즉 과업 범위에 해당하는 공간의 건축적 요소(기둥, 보, 창문, 벽과의 경계, 소방을 위한 설비 등)를 바탕면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기존 건물의 패브릭을 따라 자라나고 발달할 수 있는 디자인 언어를 연구하고 실험하고자 했다.
성수에서 트리하우스란 정글이나 숲속 나무에 집을 짓는 실제 트리하우스의 반대 설정이다. 우리는 정글처럼 밀도 있게 전개된 기존의 도시와 건물 속에, 하나의 나무를 삽입해 자라나게 한다는 은유적 설정을 부가했다.
나무를 가공해 제작한 합판을 다시 켜쌓기로 적층해 목재에 새로운 ‘인공 나이테’를 부여했다. 이러한 디자인 언어와 질서는 50mm 바(bar)를 기본 모듈로 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하면서 덩어리가 세장하게 나뉘거나 직선에서 곡선 볼륨으로 변화되기도 한다. 합판을 구성하는 목재 시트의 두께를 대략 1.5mm로 가정할 때 약 4,000레벨 정도의 나이테(켜)가 쌓여 한 공간의 ‘나무’로 존재하게 되는 셈이다.
식물의 ‘줄기’는 여러 가지 다른 요소(뿌리, 잎, 꽃 등)로 변화하며 하나의 나무를 구성하는 기본 모듈이 된다. 이러한 요소가 디자인 언어로 표현되도록 고려했는데, 이 언어로 표현된 요소들은 형태적인 경계와 용도가 모호하게 전환되며 전반적으로 다시 하나의 공간 속으로 스며든다. 즉 주방이 조명이 되기도 하고 천장이 가구로 변화되기도 하며, 각 층의 공간과 형태들이 변이를 거듭하면서 서로 다른 프로그램을 수용하는 ‘하나의 나무’로 표현된다.
한편 이를 구성하는 소재는 성수동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각 파이프(steel tube)를 기본 모듈로 하며, 합판,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등의 다른 재료들로 변이 또는 상호 조합된다.
 
각 층의 공간구성_ 마이크로 갤러리는 작은 작품들을 상대적으로 더 작은 공간에 설치하여 몰입할 수 있도록 고려된 공간이다. 8자형 동선을 통해 중심부 조형물을 마치 기둥 주변을 배회하듯 경험하며 공간과 전시를 파악해 가도록 계획했다. 한편 비어 있거나 차 있을 때 모두 의미가 있는 공간으로 철과 목재라는 서로 다른 재료를 하나의 기본 모듈 치수로 사용해 정적인 공간에서도 확연한 변이를 느끼도록 유도했다.
다목적 라운지는 대화와 식음이 이루어지는 주요 공간으로 주방과 선반, 벽체와 천장, 그리고 조명 조형물이 하나의 언어로 옥탑과 연결되도록 디자인됐다. 주재료인 목재 합판과 함께 옥상정원의 재료인 스테인리스 스틸이 혼합 사용되어 다음 공간으로의 전이를 암시한다.
옥상 공간은 금속 데크와 아트월로 구성되는데, 나무 그늘 사이로 비치는 햇살을 표현하듯이 반사도가 다른 금속들이 도시를 등지고 내부 공간을 감싸도록 계획됐다. 시공 용이성과 경량화를 고려한 알루미늄과 다양한 표면 처리와 조형으로 가공된 스테인리스 스틸이 주재료로 사용되어 작은 포켓에 의미를 부여하면서도 유지관리를 위한 별도 부담을 줄여준다.
결론적으로 세 가지 레벨의 각 층 공간은 다양한 형상과 다른 재료들로 구성되지만, 의미는 서로 연결되며 ‘하나의 나무’로서 존재하게 된다.
 
임성수 모포시스 부장 사진 이남선


Morphosis Architects
morphosis.com

 
인테리어 설계: 에스엠엘 건축사사무소(임승모), 모포시스(이의성)
설계 담당: 장정인(에스엠엘 건축사사무소), 임성수, 에릭 마이어, 이정민(모포시스)
위치: 서울 성동구 성수일로4가길 7, STIC55 빌딩 7층-옥탑
용도: 갤러리, 라운지, 루프탑 가든
면적: 100㎡​
내부 마감: 자작나무 합판, 스테인리스 스틸
시공: 위드아키
설계 기간: 2022년 4월~6월
시공 기간: 2022년 7월~10월
의뢰인: 성수루
Map 서울 성동구 성수일로 4가길 7, STIC55 빌딩
건축가 모포시스 아키텍츠+에스엠엘 건축사사무소
일시 2023년 10월 26일 2:00PM
위치 서울 성동구 성수일로 4가길 7, STIC55 빌딩
집합 장소 건물 입구
인원 20
TOP LIST
OPENHOUSE 리브랩(LibLab), 프로덕티브 주식회사+문도호제+스튜디오 커먼굿 2023년 10월 27일 10:00AM
OPENHOUSE 그래픽, 김종유(오온건축사사무소) 2023년 10월 27일 11:00AM
OPENHOUSE 대양역사관, 스티븐 홀+이인호 2023년 10월 27일 2:00PM
VISIT YOURSELF 마곡문화관, 안창모+최춘웅 양천수리조합 마곡문화관으로 거듭난 구 양천수리조합 내 배수펌프장은 1928년 6월 30일 준공되어 현존하는 근대 산업시설물 중 유일한 농업관련 시설물로서 2007년 11월 등록문화재 제363호로 등록되었다. 양천수리조합은 1923년 설립된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 마곡리, 가양리, 등촌리, 염창리, 양서면 내발산리, 송정리, 방화리 내 총 595정보를 몽리구역으로 하는 수리조합으로, 총 길이 1680칸의 방수제를 축조하여 구역을 보호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그 기능을 계속 유지했으나, 1980년대 이후 주변 지역이 도시화하면서 1991년 용도 폐지되었다. 건축면적은 350㎡이며 22.5mx15.5m 크기의 콘크리트 기단부 위에 왕대공 트러스로 지붕이 구성된 목조 건축물이 보존 및 복원되었다. 배수장 내부에 수로가 관통하고 각 수로에 펌프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1993년 소유 기관인 한국농촌공사가 건축물을 임대하여 공장으로 활용되면서 기단부 부분이 복개되었고, 배수로 측 수로를 막고 있던 철재갑문들도 모두 사라졌다. 수직적 영역의 분리 건축적 복원과 더불어 배수펌프장의 농업 기반시설로서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을 본 과제의 중요한 목적으로 정했다. 지상 위로 드러나 있는 목조 구조체가 주변 지역을 향한 상징성과 실용적인 시설보호의 기능성을 위한 건축물이었다면, 지하 구조체는 배수펌프장의 실체로서 주변 지역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해 복원되어야 할 역사의 흔적이라고 판단했다. 지하 구조체의 보존 상태는 물론 존재 여부에 대한 확증이 없었으나 문헌자료들에 의존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사라진 지하 공간을 다시 발굴하고 물의 공간으로 회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목조 구조체가 중심이 되는 역사적 경관을 최대한 유지하는 동시에 새로운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었다. 또한, 배수펌프장의 건축과 주변 조경을 다양한 시점에서 보고 경험할 수 있는 입체적 공간 조성을 가능하게 했다.  계획의 기본원칙으로 배수펌프장을 3개의 차별화된 수직적 영역으로 분리했다. 상부 목조건축물은 복원 영역으로 문화재로서 충실한 복원을 우선시하고, 기단부는 증축영역으로 자유롭게 변형했으며, 마지막으로 지하 공간은 발굴 영역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배수펌프장의 원도면과 기록 사진에 의거하여 지하에 숨어 있는 수로 및 콘크리트 지하 구조체를 발굴하고 내부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신축 당시 도면을 근거로 기본계획을 세운 후 정확한 상황 파악을 위한 발굴 작업 후 현황에 맞추어 계획을 보완했다.  지하 배수로는 문화재에 포함되지 않지만, 배수펌프장의 정체성 유지를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하 공간을 최대한 발굴하고 활용하는 것은 지상 구조체를 복원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방문객들은 물의 통로를 따라 배수펌프장을 경험하고 거친 표면의 물성과 천창으로 유입되는 빛의 조화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글, 사진 최춘웅 마곡문화관 개관 화-일 10:00 ~ 17:30 휴관 월요일 입장료 무료 문의 02-2104-9716 웹사이트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lookaround/botanicGarden_03.do
OPENHOUSE 호재(弧齋), 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2023년 10월 27일 3:00PM
OPENHOUSE [추가 예약] 테크노플렉스(Technoplex), 포스터 앤 파트너스(Foster+Partners) 2023년 10월 27일 3:00PM
OPENHOUSE [시간제 예약] 대양역사관, 스티븐 홀+이인호 2023년 10월 27일 3:00PM
OPENHOUSE 서울 드와이트 외국인 학교 도서관 스파크 오브 지니어스 센터, 존홍 + P:A(Project : Architecture) 2023년 10월 27일 4:00PM
OPENHOUSE 서드플레이스 홍은2.3.4, 박창현(에이라운드 건축사사무소) 2023년 10월 27일 4: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