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어쩌다집

SAAI건축

서울시 마을만들기 시범지역에 속한 부지에 지어진 연남동 어쩌다집은 9세대의 소규모 주거공간이 라운지, 동네 부엌, 수직골목의 공용공간으로 엮인 집이다. 건축가는 재료의 디테일보다는 공간 조직의 완성도에 집중해 주거 시장에서 보편화될 수 있는 1인 공동주거 유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건축주는 결이 비슷한 사람들과 적당한 연대를 이루며 살기 위해 협동조합주택을 위해 리서치를 진행하고 설명회를 갖기도 했다. 반응이 좋았지만 모인 사람들의 상황이 맞지 않아, 일반적인 개인투자를 통해 공유주택을 만들기로 했다. 설계과정은 더 조심스러웠다고 한다. 공유주거 기획에 경험과 열정을 지닌 서울소셜스탠다드와 함께 리서치를 진행하고 여러 논의를 통해 법규가 허용하는 최대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도 공간의 풍성함은 간직하고자 했다.

주변의 저층 주거와 어울리기 위해 집의 덩어리를 둘로 나누고 고즈넉한 동네 골목길을 연장하는 외부 계단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1인 가구 주거 형식을 공용공간(라운지, 동네부엌, 수직골목)과 함께 엮어내고자 했다.

 2014년 8월 지인들과 SNS를 통해 소식을 접한 30여 명이 모여 입주설명회를 가졌는데,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살기 좋은 연남동에 집을 짓고 있습니다. 가게와 사무실, 원룸과 셰어하우스, 복층주거가 골목과 마당, 라운지를 공유하는 집입니다. 모이고 공유하면 일상이 더 재미있고 풍요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어쩌다집’에 함께 살고 싶습니다.”라는 글로 입주자를 모집했다. 수익을 목적으로 집을 지은 것이 아니므로 임대료는 대지구입과 공사비를 위한 대출금의 이자를 갚을 수 있는 정도로 정했고, 각자 원하는 주거형식과 입주일을 기준으로 30, 40대의 디자이너, 편집자, 건축가, 한의사가 함께 살고 있다.

1층의 동네부엌은 어쩌다집 식구들과 이웃주민을 연결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도시형 장터 마르쉐 출점팀이 건강한 이탈리안 가정식과 카페 운영한다. 비가오면 계단에서 비를 맞고, 가게의 영업시간에는 외부계단을 통해 2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로 약속되어있다. 우연히 함께 살게 된 식구들은 친구와 이웃들을 초대해 2015년 4월25일에 오픈하우스를 열고 풍요로운 일상을 공유하고 있다. 1인가구가 모여 혼자 살지 않는 집이 된 것이다.

SAAI건축  사진 조재용

(주)건축사사무소SAAI
이진오는 1970년 서울에서 태어나 벽돌공장이 이웃한 변두리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홍익대학교와 위가건축에서는 건축의 가치와 기본기를, D.P.J & Partners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는 건축가로서의 열정과 사고방식을 배웠다. 연세대학교에서 가르치며, (주)건축사사무소SAAI 의 공동대표로서 건축작업을 통한 사회적 담론 생산에 관심이 있다.

SAAI는 작업 과정에서의 열린 태도를 통해 보편성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 집단이다. 이천 SKMS연구소(건축가협회상, WA Award), 음악가의 집(서울시건축상), 양구백자연구소, 연남동 어쩌다집 등 말이 앞서지 않는 좋은 물건으로서의 건축작업을 지향한다. 동교동 어쩌다가게를 계기로 <공무점>을 설립하여 느슨한 관계의 사회적 공간을 기획, 운영하는 일을 함께 한다.
TOP LIST
OpenHouse 통의동집, 정림건축문화재단, 건축가 김영옥 통의동집은 서울소셜스탠다드와 정림건축문화재단이 함께 만든 셰어하우스로 나만을 위한 독립 공간과 함께여서 즐거운 공유 공간의 새로운 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누리는 풍요로운 공간, 소유의 만족보다 밀도 높은 사용의 즐거움을 제공하고자 하며 느슨한 공동체 안에서 자연스럽게 다양한 이벤트와 협업이 이루어지는 집이다. 1층은 라운지, 지하공간은 공동 키친이 자리하고 있으며, 상층부에 개별 주거와 공용거실을 두어 사적 공간을 보호하고 있다. 지하에 자리한 키친은 답답함을 줄이기 위해 자연채광을 끌어들였고, 개수대와 가스레인지를 부엌 양 벽면에 배치해 여러 사람이 요리를 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1층 라운지인 라운드어바웃은 입주민의 서재이자 쉼터 역할도 하지만 정림건축문화재단이 주관하는 다양한 문화행사가 왕성하게 열리는 곳이기도 하다. 이번 오픈하우스 프로그램에서는 사적 공간을 제외한 키친과 라운지를 둘러보며, 1인 가구를 위한 셰어하우스, 코하우징 등 최근 공유주거에 대한 생각과 이야기를 듣는 시간을 마련한다. 사진 김용관
OpenHouse 송파마이크로하우스, 박진희 건축가 박진희가 석촌호수 남쪽 송파동 주택가에 설계한 도심형 생활주택이다. 스테인리스 스틸 띠를 프라이버시와 기계 설비 위치를 고려해 꼬아서 감쌈으로써 경쾌한 외관을 만들었다. 또한, 철골구조를 이용해 건물 사이사이에 틈을 만들고 측면에 띠 모양의 창을 만듦으로써 좁은 면적에도 불구하고 모든 세대에 자연 채광과 환기를 갖추었다. 건물 구석구석에는 오목하게 안으로 파고든 열린 공간들이 있어서 상충되는 프라이버시와 채광을 해결하는 동시에 좁은 공간을 시각적으로나마 확장시켜준다. 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가구는 접이식 붙박이로 갖추어져 있다. 최소 면적으로 잘게 나뉜 각 층은 필요에 따라 발코니나 연결 복도를 공유함으로써 하나의 넓은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층부 두 층은 넓은 전용 테라스가 있어 외부 공간을 넉넉히 쓸 수 있고, 지하에는 길에서 바로 계단식으로 이어지는 열린 카페가 있고, 이곳을 통해 작은 갤러리가 2층까지 이어진다.  사진 SsD 제공
OpenHouse 어쩌다집, SAAI건축 서울시 마을만들기 시범지역에 속한 부지에 지어진 연남동 어쩌다집은 9세대의 소규모 주거공간이 라운지, 동네 부엌, 수직골목의 공용공간으로 엮인 집이다. 건축가는 재료의 디테일보다는 공간 조직의 완성도에 집중해 주거 시장에서 보편화될 수 있는 1인 공동주거 유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건축주는 결이 비슷한 사람들과 적당한 연대를 이루며 살기 위해 협동조합주택을 위해 리서치를 진행하고 설명회를 갖기도 했다. 반응이 좋았지만 모인 사람들의 상황이 맞지 않아, 일반적인 개인투자를 통해 공유주택을 만들기로 했다. 설계과정은 더 조심스러웠다고 한다. 공유주거 기획에 경험과 열정을 지닌 서울소셜스탠다드와 함께 리서치를 진행하고 여러 논의를 통해 법규가 허용하는 최대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도 공간의 풍성함은 간직하고자 했다. 주변의 저층 주거와 어울리기 위해 집의 덩어리를 둘로 나누고 고즈넉한 동네 골목길을 연장하는 외부 계단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1인 가구 주거 형식을 공용공간(라운지, 동네부엌, 수직골목)과 함께 엮어내고자 했다.  2014년 8월 지인들과 SNS를 통해 소식을 접한 30여 명이 모여 입주설명회를 가졌는데,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살기 좋은 연남동에 집을 짓고 있습니다. 가게와 사무실, 원룸과 셰어하우스, 복층주거가 골목과 마당, 라운지를 공유하는 집입니다. 모이고 공유하면 일상이 더 재미있고 풍요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어쩌다집’에 함께 살고 싶습니다.”라는 글로 입주자를 모집했다. 수익을 목적으로 집을 지은 것이 아니므로 임대료는 대지구입과 공사비를 위한 대출금의 이자를 갚을 수 있는 정도로 정했고, 각자 원하는 주거형식과 입주일을 기준으로 30, 40대의 디자이너, 편집자, 건축가, 한의사가 함께 살고 있다. 1층의 동네부엌은 어쩌다집 식구들과 이웃주민을 연결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도시형 장터 마르쉐 출점팀이 건강한 이탈리안 가정식과 카페 운영한다. 비가오면 계단에서 비를 맞고, 가게의 영업시간에는 외부계단을 통해 2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로 약속되어있다. 우연히 함께 살게 된 식구들은 친구와 이웃들을 초대해 2015년 4월25일에 오픈하우스를 열고 풍요로운 일상을 공유하고 있다. 1인가구가 모여 혼자 살지 않는 집이 된 것이다. 글 SAAI건축  사진 조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