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웰콤시티

승효상

웰콤시티는 광고회사 웰콤(Welcomm)의 사옥으로 2000년 완공된 이후 장충동의 대표적인 풍경을 만들고 있는 오피스 빌딩이다. 현재 커뮤니케이션 회사와 창업 회사가 모인 ‘광고인들의 작은 도시’로 자리잡고 있다. 웰콤시티는 노출콘크리트의 하얀 상자가 건물의 포디움(기단부)을 이루고 그 위로 코르텐이라는 내후성 강판으로 마감한 네 개의 붉은 상자가 얹히면서 과감하게 세 개의 빈 공간을 만들고 있다. 이 보이드(void) 공간은 뒤편 밀집된 주택들에 열린 틈을 내주면서 큰 규모가 들어오면서 막힐 수도 있었던 도시의 조망과 풍경을 연결하고 있다. 건축가는 웰콤시티가 이 빈 틈을 통해 보이는 다양한 풍경을 담는 담담한 틀이 되길 바랐다. 

저층부의 포디움은 공용공간으로 사용되며, 상부 4개의 상자는 각각 업무 공간으로 구성되며 이를 사이의 외부 공간을 통해 연결하고 있다. 특히 코르텐이라는 재료는 본래 도장이 어려운 교량을 위해 만들어진 철로, 5년에 걸쳐 서서히 부식하면서 스스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재료인데 당시 공기를 단축하고 주문 조립 제작이 가능한 점에서 건축 외장재로 새롭게 시도되었다. 내부와 외부의 재료를 일체화시켰고 코르텐 상자 내부는 합판을 덧대어 가벼운 박스의 느낌을 유지하고 있다. 건물 사이를 과감하게 비우고 그 공간을 통해 도시의 풍경을 만들어낸 건축가 승효상의 대표작이다.  

사진 Osamu Murai

승효상
건축가 승효상은 1952년 생으로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비엔나 공과대학에서 수학했다. 김수근 문하를 거쳐 1989년 이로재(履露齋)를 설립했고, ‘4.3그룹’의 일원으로 다양한 전시와 제안을 펼쳤으며, “서울건축학교” 설립에 참가해 새로운 건축 교육을 시도 했다.

저서로는 『빈자의 미학』(미건사, 1996)과 『지혜의 도시/지혜의건축』(서울포럼, 1999), 『건축,사유의기호』(돌베개, 2004), 『지문』(열화당, 2009), 『노무현의 무덤/스스로 추방된 자들을 위한 풍경』(눌와, 2010), 『오래된 것들은 다 아름답다』(컬쳐그라퍼, 2012) 등이 있다.

20세기를 주도한 서구 문명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 '빈자의 미학'이라는 주제를 그의 건축의 중심에 두고 작업하면서, “김수근문화상”, “한국건축문화대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파주출판도시의 코디네이터로 활동하였으며, 건축가로는 최초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주관하는 ‘2002 올해의 작가’로 선정되어 ‘건축가 승효상 전’을 가졌다. 미국과 일본, 유럽, 중국 각지에서 개인전과 단체전을 가졌으며, 현재 현재 중국 내의 왕성한 활동을 포함하여 아시아와 미국, 유럽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2007년 “대한민국예술문화상”을 받았으며, 2008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 2011년 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총감독으로 활약한 그는 2014년 서울시 총괄건축가로 선임되어 활동하고 있다. 

사진 김동률

TOP LIST
OpenHouse Won&Won 63.5,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이 설계한 첫 고층 빌딩으로, 오피스 건물 하면 떠오르는 차갑고 밋밋한 유리벽 대신 벽돌벽으로 건물 전체를 감싼 것이 특징이다. 각 층 테라스에서 내려다보이는 정돈되지 않은 논현동 풍경과 아담한 나무를 심어놓은 옥상 정원에서 펼쳐지는 강남 전경이 이 건물의 백미다. 보통 고층 건물에는 벽돌 모양 타일로 벽돌 흉내를 내는 것과 달리, 이 건물의 벽돌벽은 실제 벽돌을 한 장 한 장 어긋나게 쌓아 올려 세운 것이다. 촘촘하게 구멍 난 바깥쪽 벽돌벽과 안쪽 유리벽 사이에는 테라스를 만들어 층마다 외부 공간을 배치했다. 벽돌벽에 낸 크고 작은 개구부와 위아래로 연 테라스는 지루한 오피스 공간에 풍성한 활력을 불어넣는다. 벽돌이라는 단순한 재료를 활용해 만든 입체적인 벽돌벽은 건축가 황두진이 오랫동안 자신의 작업 주제로 삼고 있는 '다공성(多孔性)'을 건물 외피와 공간에 표현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건물 외관을 꾸미기 위한 것이 아니라 건물이 밀집된 도심에서 쾌적한 내부 공간을 만들고, 건물과 도시를 긴밀하게 이어주기 위한 그의 전략이다.  사진 김용관
OpenHouse 제이에스코퍼레이션 사옥, 양진석 제이에스코퍼레이션(JS Corporation)은 생산품 전량 수출을 하는 기업으로서, 외국패션기업을 인수하기도 한 건실한 중견패션기업이다. 지상 7개층 규모에 3개층을 본사 오피스로 사용하고 나머지 4개층은 임대용 오피스텔로 사용하던 제이에스코퍼레이션은 최근 회사 규모가 커지면서 건물 전체를 사옥 용도로 활용하고자 했다. 골조만 남긴 채 건물 전체를 변경하는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다. 전형적인 1990년대 강남 오피스 빌딩인 기존 건물에서 건축가 양진석은 건실한 중견 기업의 이미지를 건축물 외관에 표현하고자 기존 오피스텔 창호였던 정사각형 창호를 그대로 외관의 모티브로 사용했다. 또한 외벽의 에너지 성능개선이라는 과제도 고려해 유리로 마감된 계단실의 벽면 비율을 높이고 무게감 있는 석재로 마감해, 결과적으로 무게감 있는 입면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2.3M 폭의 정사각형 창호 외관은 전망과 채광 효과가 극대화된 큰 창호로 35개의 블랙 서스 소재의 프레임으로 그 존재감을 명확히 표현하고자 했다. 오피스 빌딩 리노베이션에서 건축가는 경제성을 기본으로 하되 디자인의 실험적인 시도를 하고 있는데 그 접점의 타협을 위해 디테일 디자인에 힘을 쏟았다. 무엇보다 건물 내부는 리노베이션이 갖는 특징이 그대로 살아있는데, 4층부터 7층까지 4개층의 중앙부를 뚫어 열린 공간으로 만들고 수직동선을 제안했다. 단순히 계산하면 100평 정도의 사무실 면적이 없어지지만 이로 인해 시각적인 내부 공간의 확장은 내부 공간을 풍부하게 만드는 요소다. 또 바닥을 잘라내면서 나온 단면을 그대로 노출시켜 건물이 지닌 시간을 짐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무엇보다 패션 기업이라는 특성상 건축주는 직원들을 위한 배려로 각층마다 테라스 공간을 활용한 탕비실을 두었고 직원 식당을 옥상에 배치해 넓은 테라스와 함께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있다. 도시의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오피스 빌딩에 리노베이션을 통해 과감한 내부 공간과 무게감있는 외관을 만들어낸 흥미로운 프로젝트다.  사진 여인우
OpenHouse 현대카드 본사 3관, 최욱 카드 공장을 품은 오피스빌딩. 여의도에 위치한 현대카드 본사 3관은 디지털 화폐인 카드의 생산 과정을 아날로그 방식으로 노출한 공장과 직원 편의시설 중 하나인 어린이집, 그리고 오피스 기능을 수용한 복합용도의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다. 건축물은 북쪽 출입구를 가지고 있어서 로비가 어두웠는데, 남측 빛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여 밝은 실내를 만드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건축물의 파사드는 현대카드 본사의 격자형 이미지를 연장하였지만 미장 재료를 사용해 아날로그적인 감성을 구현했다. 또 최상층으로 올라갈 수록 창호의 그림자가 깊어지는 효과를 만들어 고층건물의 시각적인 안정감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어린이집은 오피스 빌딩에 들어가 있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건축가 최욱은 자체적으로 하나의 독립된 건축물이 될 수 있도록 하나의 성격을 부여하고자 했고, 공간에서 배우는 교육을 실현하고자 했다. 카드가 생산되는 과정을 그대로 볼 수 있는 카드 팩토리는 ‘돈의 의미를 환기시키는 동시에 호기심과 욕망을 생산하는 공장’으로, 돈이 만들어지는 공장의 소음과 기계장치의 움직임이 그대로 노출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최상층이라는 특징을 활용해 천창의 빛을 끌어들였다. 기계 장치의 움직임과 자연 빛의 만남은 오래된 공장의 틀을 유지한 채 미래의 이미지를 동시에 고려한 것이다.   사진 원오원팩토리
OpenHouse 웰콤시티, 승효상 웰콤시티는 광고회사 웰콤(Welcomm)의 사옥으로 2000년 완공된 이후 장충동의 대표적인 풍경을 만들고 있는 오피스 빌딩이다. 현재 커뮤니케이션 회사와 창업 회사가 모인 ‘광고인들의 작은 도시’로 자리잡고 있다. 웰콤시티는 노출콘크리트의 하얀 상자가 건물의 포디움(기단부)을 이루고 그 위로 코르텐이라는 내후성 강판으로 마감한 네 개의 붉은 상자가 얹히면서 과감하게 세 개의 빈 공간을 만들고 있다. 이 보이드(void) 공간은 뒤편 밀집된 주택들에 열린 틈을 내주면서 큰 규모가 들어오면서 막힐 수도 있었던 도시의 조망과 풍경을 연결하고 있다. 건축가는 웰콤시티가 이 빈 틈을 통해 보이는 다양한 풍경을 담는 담담한 틀이 되길 바랐다.  저층부의 포디움은 공용공간으로 사용되며, 상부 4개의 상자는 각각 업무 공간으로 구성되며 이를 사이의 외부 공간을 통해 연결하고 있다. 특히 코르텐이라는 재료는 본래 도장이 어려운 교량을 위해 만들어진 철로, 5년에 걸쳐 서서히 부식하면서 스스로 코팅막을 형성하는 재료인데 당시 공기를 단축하고 주문 조립 제작이 가능한 점에서 건축 외장재로 새롭게 시도되었다. 내부와 외부의 재료를 일체화시켰고 코르텐 상자 내부는 합판을 덧대어 가벼운 박스의 느낌을 유지하고 있다. 건물 사이를 과감하게 비우고 그 공간을 통해 도시의 풍경을 만들어낸 건축가 승효상의 대표작이다.   사진 Osamu Murai
OpenHouse 한유그룹사옥, 임재용 건축가 임재용이 주유소와 오피스를 하나의 건물로 통합한 주유소 연작 중 두 번째 완공 건물이다. (첫 번째는 장충동 경동교회 옆 서울석유사옥, 세 번째는 양재천 북쪽 강남대로 변 양재동 주유소다.) 주유기 위에 캐노피만 걸친 주유소 건물의 전형에서 벗어나 주유소와 다른 기능을 조합한 새로운 유형으로 진화시켰다. 주유소에 대한 까다로운 법규를 능동적으로 해석하여 도심의 높은 밀도에 맞는 건물을 고민한 결과다. 대로변에 면해 넓은 면을 마주하고 있는 한유그룹사옥은 봉천역 인근 남부순환로의 지루한 차량 행렬 속에서 잠깐이나마 환상적인 장면을 열어준다. 특수 표면 처리한 금속 패널 외관은 각도에 따라 은빛, 핑크빛, 하늘빛으로 변하면서 거리에 신기루를 피워올리고, 앞뒤로 뚫린 건물 상부에서 교차하는 연결 통로는 내부에 재미를 더하고 외부에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사진 김용관
OpenHouse 서울스퀘어, 김정임 서울역에 도착해 마주하는 거대한 빌딩, 옛 대우센터빌딩은 서울의 첫 인상을 결정하던 상징적인 건물이다. 1970-80년대 불이 꺼지지 않는 빌딩의 이미지는 고도로 성장하는 한국 경제를 상징했다. 1977년 준공된 대우센터빌딩은 4만평 규모, 23층 높이로 당시 국내 최대 규모의 매머드 오피스 센터로 꼽혔다. 당시 신문에서는 높이 118m의 대우센터빌딩이 삼일빌딩과 비슷한 높이이나 건축면적으로는 국내 최대 규모라는 점을 강조하기도 했다. 대우그룹의 본사건물에서 소유주가 바뀐 후 대우센터빌딩은 2008년 리모델링 공사를 거쳐 2009년 서울스퀘어로 재탄생했다. 건축가 김정임이 설계한 서울스퀘어 리노베이션은 기존 대우센터빌딩이 갖는 역사적 상징성과 인지도의 강점, 외관 디자인의 특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내부에서는 새로운 공간을 만들고자 했다. 엘리베이터 코어로 나뉘어있던 로비 공간의 위계를 없애고 새로운 곡면을 만들어내고 천정 디자인에 힘을 실어 로비를 도시 광장과 같이 활기찬 공간이 되도록 설계했다. 특히 외관디자인의 경우, 상징적인 건축물의 외관을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 새로운 느낌을 부여하기 위해 고심했는데, 입면적이 넓은 건물 전면이 갖는 육중함을 줄이고 도시 환경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 ‘서울캔버스’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4만 2천개의 발광다이오드(LED) 소자를 설치해 줄리앙 오피의 “People walking”, 양만기의 “미메시스 스케이프” 등 다양한 영상 작품이 투영되는 미디어 캔버스를 만든 것이다. 외관뿐 아니라 실내에 비치된 론아라드의 “Desk and Sphere,” 배병우 작가의 “소나무” 등 수많은 예술작품이 가득하다. 무엇보다 공간그룹의 창립자 김수근(1931~1986)선생의 지하아케이드 벽돌벽면과 북서측 선큰 정원도 보존하였으며, 이러한 시간의 흔적을 볼 수 있어 서울스퀘어의 예술적 가치를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서울스퀘어는 리노베이션을 통해 친환경빌딩으로 거듭나, 국내 리노베이션 오피스빌딩 최초로 LEED 최상위 등급인 플래티넘 등급을 획득했다.  지난해 TV드라마 <미생>의 배경이 되어 직장인의 애환과 치열한 오피스 현장을 서울스퀘어의 곳곳에서 담아내면서 다시 한번 오피스 공간의 상징적인 배경이 되기도 했으며, 현재 서울시가 도시재생 차원에서 진행하는 7017프로젝트의 국제공모전 등으로 인하여 그 건축적 가치를 재조명 받고 있다. 옥상에서 바라보는 서울역 일대와 석양이 지는 풍경이 아름다운 서울스퀘어의 명소를 이번 오픈하우스서울 프로그램을 통해 공개한다.  사진 박영채, 김용관 김정임 서로아키텍츠의 대표로 마스터플랜과 건축 설계, 인테리어 디자인, 공간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스케일의 작업을 해오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서울스퀘어(구.대우빌딩) 리노베이션, 제일기획 본사 리뉴얼, 배재대 하워드관, 네티션닷컴사옥과 라테라스 한남, 삼성동 테이크원 빌딩 외 다수의 인테리어 프로젝트가 있다. 연세대학교에서 건축학부와 대학원을 마쳤으며 배재대 하워드관으로 2011년, 라테라스 한남으로 2013년 건축문화대상 우수상을 수상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