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근현대 보이드의 형성과 소멸 1

안창모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교수

궁궐과 역사도시 서울의 변화 – 경복궁과 육조대로, 중학천변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8층 옥상정원 - 중학천길 - 동십자각 - 송현 - 안국동로터리 - 감고당길 - 정독도서관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사무동 옥상


조선시대 양반들의 주거지였던 경복궁 동측의 도시 조직을 추적해보고 그 변화 과정을 돌아본다. 근현대에 형성된 학교 시설, 미대사관저, 기무사 등 군시설 등으로 인해 형성된 게이티드 보이드 등 근현대에 형성된 도시 조직들을 함께 돌아본다.  


안창모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후 동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건축을 공부하며 「건축가 박동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와 일본 동경대학원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경기대학교 대학원 건축설계학과 교수로서 한국 근대 건축의 역사와 이론을 연구하며, ‘역사문화환경보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도코모모 코리아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건축역사학회 상임이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이사, 서울시 및 경기도 문화재위원 및 건축위원회와 도시건축공원위원회, 미래유산보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상징거리조성종합계획, 구서울역사복원과 문화공간화사업에 참여했고, 역사문화도시관리기본계획 등 역사도시서울과 근대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현대건축50년>(1996), <덕수궁-시대의 운명을 안고 제국의 중심에 서다>(2009), <서울건축사>(1999, 공저), <북한문화, 둘이면서 하나인 문화>(2008, 공저) 등이 있다. 
TOP LIST
SPECIAL 현대 건축물의 보이드 조각 잇기, 임진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 국제갤러리 K3 - 송원갤러리 - 현대카드 디자인라이브러리 - 가회동 외국인게스트하우스(OPENHOUSE) - 취죽당(OPENHOUSE) 역사의 중심부인 경복궁 동측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의 근현대를 거치면서 극적인 변화를 겪기도 했지만 그만큼 역사의 흔적이 켜켜이 쌓인 곳이기도 하다. 왕실 관련 조선시대 건물들과 터, 기존 도시 조직에 거칠게 침투한 일제강점기의 시설, 근대 도심 인구의 폭발적 증가로 인해 형성된 도심형 한옥 등이 곳곳에 포진해 그 자체로 지역의 콘텍스트를 만든다. 복잡하게 얽힌 여러 켜의 역사적 맥락은 현대 건축물에도 영향을 미친다. 문화재의 사선 제한과 같은 직접적인 영향에서 도심형 한옥의 재해석, 한옥보존지구를 위한 강력한 건축물 심의 등은 현대건축물이 이 지역에 어떤 태도를 취할 것인가를 묻기도 하고 강력한 제재를 가하기도 한다. 이번 답사 프로그램은 이 복잡하고 강력한 콘텍스트의 틈에 끼어든 현대건축물들의 조각을 찾아 지역에 시기별 건축물의 특징과 건축가의 의도를 탐색해본다.    임진영   건축전문기자이자 에디터로, <공간> 편집팀장을 거쳐 건축전문지 MARK에 한국건축에 관한 기사를 쓰고 있다. <HHF Architects>, <3XN>, <건축가 황두진> 등의 모노그래프를 기획, 편집했으며 안양국제공공예술프로젝트(APAP2010) 등의 도큐멘테이션을 진행했다. 해외홍보원이 발간한 단행본 <K-ARCHITECTURE>을 집필, <2014 젊은건축가상> 단행본에 저자로 참여했다. 전시와 문화 기획에 참여해왔으며 2014년부터 건축전문축제 <오픈하우스서울>을 기획해 진행하고 있다. 
SPECIAL 근현대 보이드의 형성과 소멸 1, 안창모 경기대학교 건축대학원 교수 궁궐과 역사도시 서울의 변화 – 경복궁과 육조대로, 중학천변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역사박물관 8층 옥상정원 - 중학천길 - 동십자각 - 송현 - 안국동로터리 - 감고당길 - 정독도서관 -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사무동 옥상 조선시대 양반들의 주거지였던 경복궁 동측의 도시 조직을 추적해보고 그 변화 과정을 돌아본다. 근현대에 형성된 학교 시설, 미대사관저, 기무사 등 군시설 등으로 인해 형성된 게이티드 보이드 등 근현대에 형성된 도시 조직들을 함께 돌아본다.   안창모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했으며, 이후 동대학원에서 한국 근대 건축을 공부하며 「건축가 박동진에 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와 일본 동경대학원 객원연구원을 지냈으며, 현재 경기대학교 대학원 건축설계학과 교수로서 한국 근대 건축의 역사와 이론을 연구하며, ‘역사문화환경보존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도코모모 코리아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건축역사학회 상임이사, 한국도시설계학회 이사, 서울시 및 경기도 문화재위원 및 건축위원회와 도시건축공원위원회, 미래유산보존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국가상징거리조성종합계획, 구서울역사복원과 문화공간화사업에 참여했고, 역사문화도시관리기본계획 등 역사도시서울과 근대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저서로 <한국현대건축50년>(1996), <덕수궁-시대의 운명을 안고 제국의 중심에 서다>(2009), <서울건축사>(1999, 공저), <북한문화, 둘이면서 하나인 문화>(2008, 공저) 등이 있다. 
SPECIAL 사라진 보이드, 조각난 보이드- 조선 후기 건축의 흔적, 이상해 종친부 경근당과 옥첩당 - 가회동 백인제 가옥 - 가회동 31번지 지역 (도시)한옥 - 안국동 윤보선가 - 운니동 김승현가 - 서울 운현궁  경복궁 동측 일대에는 조선시대 왕실 관련 건물과 국가 소속의 건축물이 자리하던 곳이다. 또한 조선시대 지배 계층인 양반의 거주지이기도 하다. 거대한 필지로 조성된 도시 조직은 일제 강점기에 도시 한옥으로 변모하면서 세밀한 필지로 분화되어 도시 한옥 군락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번 답사는 조선시대 왕실 관련, 국가 소속 건축물, 일제 강점기의 한옥 및 조선 후기의 한옥을 살펴보며 아울러 터만 남아있는 옛 흔적을 추적해본다. 이상해 이상해는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한국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국민대학교 석좌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종묘』(공저), 『한국의 세계문화유산』(공저), 『서원』, 『우리건축 100년』(공저), 『궁궐•유교건축』, 『한국의 서원문화』(공저), 『땅의 깨달음 한국건축』(공저) 등이 있고, 영문판으로는 Dwellings, Settlements and Tradition (co-author); Asia’s Old Dwellings: Tradition, Resilience, and Change (co-author); Seowon: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es; Korean Villages and Their Cultures (co-author); Wisdom of the Earth: Korean Architecture (co-author)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