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제분 영등포공장

양진석

2017년 10월 23일 3:00PM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87

대선제분의 뿌리는 해방 후 항도 부산에서 수산물 거래를 주목적으로 1952년에 설립된 계동산업 주식회사에서 찾을 수 있다.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으로만 본다면 1936년에 일본의 일청제분에 의해 설립되었고, 한국전쟁 후 1952년에 조선제분 영등포공장으로 바뀌었으며, 다시 1958년에 계동산업 창업자들에 의해 인수되어 오늘날의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
1936년 지어졌을 당시 건물의 동쪽으로는 경성방직, 서쪽으로는 종연방직 경성공장과 이웃하고 있었다. 현재 영일시장 청과물상가가 일렬로 늘어선 공장의 담벼락을 따라서 개천이 흘렀고, 제분 공장 뒤편으로는 포플러가 듬성듬성 서 있는 철로를 사이에 두고 경성방직과 경계가 나누어져 있었다. 영등포역에서 출발하는 산업 철도가 본선은 영등포공작창으로 향하고, 2개의 지선은 경성방직 창고와 제분공장으로 갈라서는데, 그 세 갈래 분기점이 여기에 있었다. 공장의 남쪽으로는 경인 가도가 지나가고 있어 차츰 공장 지대로 모습을 갖추어 가던 상황이어서 영등포 내에서도 최적의 입지조건을 구비하고 있었다. 당시 전력 사용량을 척도로 따져본다면 경방과 종방에 이어 조선제분 영등포공장은 규모 면에서 맥주 공장들과 함께 다섯번 째 안에 들었다.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은 지금도 기본 골격은 바뀌지 않은 채 원형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굴곡의 역사는 있었다. 1972년 발생한 정미공장의 화재는 화학공장에서 불이 난 것과 다름없을 정도로 폭발력이 강한 대형 사고의 소지가 있었다. 그 결과 인근의 소맥분 제품창고에 옮겨 붙지 않는 것은 다행이었지만, 벽돌조의 정미공장은 외벽만 남긴 채 기계설비까지 남김없이 타버려 건질 게 하나도 없었고, 심지어는 공장에 붙어있던 휴게실과 기관실도 전소되었다.
1956년 조선제분의 생산능력은 당초 일본인 기술자들이 만들던 생산능력을 넘어서지는 않았지만, 이후 제분시설의 증설 작업은 여러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1960년대 증설과 함께 1969년 제분공장 6층 증축을 단행한다. 밀가루 사일로에 관한 개념이 국내에 처음 소개된 것은 1987년이었는데, 대선제분에서 최초 건축한 분 사일로는 1988년 올림픽을 앞둔 3월에 준공된다. 그후 한차례 더 1995년 사일로는 추가 증설되었다. 1963년에 이어 25년만에 들어서는 새로운 원맥사일로는 그해 7월경 그만 붕괴되고 만다. 붕괴의 추론은 여러가지 있었지만 밝혀내지는 못한다.
1990년대 접어들면서 영등포공장에서 보유한 5기의 사일로만으로는 애로가 생겨, 새로운 사일로가 시공되는데, 철근 콘크리트가 아닌 철제 BEAM 시스템으로 시공된다. 여기서 대선제분 경영진의 미래 지향적인 판단을 짐작할 수 있다. 가벼운 철제 시스템의 적용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정확히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수도권 밖으로의 공장 이전을 염두에 두고 설치 제작이 간편한 방식을 선택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한편, 1996년 초대 민선시장에 당선된 조순 시장은 녹지가 부족한 준공업지역의 대형 공장을 매입하여 지역중심의 공원으로 조성하겠다고 발표하는데,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이 포함된다. 서울시는 영등포공장을 포함하여 방림방적, 경방, 영일시장 및 주위 지역을 특별계획구역으로 확정하여 2011년까지 이 지역의 계획 정비 개발계획을 한다는 계획안을 2002년 6월 발표했고, 영등포구청에서는 이 지역 3개 공장을 2009년까지 상업 업무와 주거기능이 복합된 지역으로 개발하겠다는 세부 계획안을 2004년 8월 발표한다. 그리하여 방림방적 부지의 개발이 먼저 구체화되어 고층 아파트와 오피스텔, 상업 문화 시설 등이 속속 들어서면서 도심형 주거단지로 모습이 바뀌어 나갔고, 경방 부지는 2006부터 개발사업이 착수되어, 타임스퀘어라는 이름으로 판매, 업무, 레저, 스포츠, 문화 등이 복합된 대규모 상업시설 단지로 조성된다.
드디어, 대선제분에서는 2002년 6월부터 영등포공장 이전 및 공장터 개발계획에 착수했다. 특별계획구역 2 및 3-3 구역으로 분류되어 있었던 이 지역은 대선제분 뿐 아니라, 인근의 영일시장, 이화연립, 국유지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대선제분에서는 구역 안에 들어있는 토지를 전부 매입하여 독자적으로 사업을 추진하거나, 다른 사업 주체들과 공공으로 추진하는 방안 등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있었고, 아산공장으로 이전을 확정하고 함께 재검토에 들어간 상태이다.
이후 최근에 와서, 도심재생의 분위기를 타고, 본격적인 부지활용계획의 재검토에 들어간 상태이다. 대선제분 영등포공장은 영등포 역세권에서 문래동 예술촌으로 이어지는 개발축 중심에 위치한다. 이에 상업과 문화가 공존하는 잠재적 유동인구의 거점지역으로서 독특한 공간감을 활용한 지역 명소로 거듭날 수 있도록 계획 중이다.

* 본 내용은 기념출간서적 대선제분 50년사 및 각 내부 자료 등을 참고로 하여 건축물 위주로 내용을 재편집하였고, 부분적으로 건축관련 내용을 추가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와이그룹  사진 김용관 


와이그룹
http://yangjinseok.com


양진석
양진석은 건축설계, 디자인 작업뿐만 아니라 강연, 리더 건축 교육,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건축가다. 소외 계층을 위한 집 짓기를 다룬 MBC [러브하우스]에 출연해 건축/인테리어 분야의 대중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성균관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대학 대학원에서 건축학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귀국 후에는 안양대학교 도시정보공학과에서 공학박사학위를 취득했고, 한양대학교 건축학과에서 겸임교수로 활동했다.
현재 와이그룹(Y GROUP, Y NETWORK)의 대표이며, 리더들을 위한 건축교육프로그램 NA21과 파이포럼(PAI FORUM)의 주임교수로 있다. 또한 국회 인문학 과정의 주임교수를 맡아 국회위원과 고위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건축도시교육을 진행했다. 기업, 관공서, 대학교 등에서 강연 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삼성경제연구소 SERI CEO 30강 건축 강의를 진행해 경영자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기도 했다.
현재 서울시 건축위원회 위원이며, 2017년 4월부터 일본 리츠메이칸대학에 객원교수로 초빙을 받았다. 또한 ‘러브하우스’ 플랫폼서비스 앱을 개발해 믿을 만한 시장 형성을 위해서 새롭게 스타트업을 시작했다.
저서로는 [집 짓다 담다 살다], [교양건축], [건축가 양진석의 이야기가 있는 집], [양진석의 친절한 건축이야기] 등이 있다. 주요 작품으로는 용평리조트 더 포레스트 레지던스, 알펜시아 트룬에스테이트, GRAN SEOUL & 청진상점가(식객촌), NEFS 본사 및 전시장, KT&G 내장산 호텔&연수원, JS코퍼레이션사옥, 디사모빌리사옥, 설해원리조트 등이 있다.
 

Map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87
건축가 양진석
건축주 ARGUS MANAGEMENT
일시 2017년 10월 23일 3:00PM
위치 서울시 영등포구 영신로 87
인원 27
TOP LIST
OpenHouse 백인제 가옥 서울시 민속문화제 제22호인 백인제가옥은 종로구 북촌(가회동)에 자리하고 있으며 1913년 건립된 근대 한옥으로 지난 2009년 서울시가 백인제(백병원 설립자) 유족으로부터 인수 후 보수공사를 거쳐,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건축 당시의 생활상을 복원 연출한 역사가옥박물관이다. 전통한옥과 다르게 사랑채와 안채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건축재료로 압록강 흑송,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안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된 특징이 있는 일제강점기 대형(2,460㎡) 한옥으로 북촌에서 유일하게 실내까지 관람이 가능한 가옥이다. 북촌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2,460㎡의 대지 위에 당당한 사랑채를 중심으로 넉넉한 안채와 넓은 정원이 자리하고, 가장 높은 곳에는 아담한 별당채가 들어서 있다. 전통적인 한옥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도 근대적 변화를 수용하여, 건축 규모나 역사적 가치 면에서 윤보선 가옥과 함께 북촌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꼽힌다. 1907년 경성박람회 때 서울에 처음 소개된 압록강 흑송(黑松)을 사용하여 지어진 백인제 가옥은 동시대의 전형적인 상류주택과 구별되는 여러 특징들을 갖고 있다. 사랑채와 안채를 별동으로 구분한 다른 전통한옥들과는 달리 두 공간이 복도로 연결되어 있어, 문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본식 복도와 다다미방을 두거나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한 것은 건축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사랑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전통한옥에서는 보기 힘든 백인제 가옥만의 특징이다. 글 사진 서울시 제공 장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7길 16(가회동) 이용시간 09:00~18:00 (입장마감 17:30)  ※ 자유관람시 외부 관람만 가능 휴관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 1월 1일 관람인원 안내해설 1회 15명, 자유관람 동시관람객 100명 이용요금 무료 예약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시스템(http://yeyak.seoul.go.kr) 이용 및 현장접수 병행(문의 724-0200, 0232) 백인제 가옥 http://www.museum.seoul.kr/www/guide/vis/BIJHShow/BIJHIntro.jsp?sso=ok
필운동 홍건익 가옥 홍건익가옥은 1936년에 지어진 민가이다. 당시 상인으로 활동했던 홍건익의 집으로 740.5㎡의 대지에 대문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 별채 등 다섯 동의 한옥이 낮은 구릉을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다. 서울에 남아 있는 한옥 중 후원에 일각문과 우물, 빙고까지 갖춘 곳은 이 집이 유일하다. 이 집은 전통한옥의 구성을 갖추고 있으면서, 동시에 1930년대 근대 한옥의 건축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안채 대청마루의 풍혈판에 새겨진 팔괘문양, 별채의 화초벽을 장식한 태극문양, 이화꽃문양, 연꽃문양 등 화려한 장식요소도 곳곳에 남아있다. 매입 당시에는 건물들이 대체로 심하게 퇴락하고, 일부 증축 및 변형된 부분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건축 당시의 기본구조와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 2013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다. 2015년 복원이 완료된 후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지역의 역사를 보존하고 알리는 공간이자 지역 탐방의 시작점이 되는 안내소, 그리고 주민들을 위한 사랑방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사랑채에서는 <역관의 방>展을 통해 이 지역에 거주했던 중인 계급의 위상과 역할을 재조명하는 기획전시가 진행 중이고, 안채 건넌방은 주민과 시민들을 위한 대관 공간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별채는 인근 학교 및 지역 어린이들을 위한 작은 도서관이 마련되어 있다. 전시연계 강연 2017.10.20.(금), 14:00-16:00 <고영주의 형제들> 허경진(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2017.11. 3.(금), 14:00-16:00 <역관의 생활-그 교류와 주변 이야기> 서현경(문학박사, 한국고건축인문학연구소 소장) 장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1길 14-4 이용시간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공휴일 이용요금 무료 대관예약 대관신청서 작성 후 방문 제출 또는 이메일(hongeonikhouse@gmail.com) 강연예약 방문, 전화, 이메일 문의 02-735-1374 글 사진 재단법인 아름지기  
계동 배렴가옥 계동 배렴 가옥은 1936년경에 지어져 제당 배렴이 생애 말년을 보낸 곳으로 등록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전통 회화를 재조명하는 전시관과 세미나실, 1950년대 북촌에 위치한 근대한옥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배렴의 방 등으로 운영 중이다. 가옥의 구조는 안마당을 중심으로 북측과 서측의 ㄱ자형 안채와 동측과 남측의 ㄴ자형 바깥채가 분리되어 마주보게 구성된 튼ㅁ자형 가옥이다. 동쪽의 바깥채에 마당으로 들어오는 대문이 함께 설치되어 있고 안마당 외에도 바깥에 작은 마당이 있다. 바깥채는 계동길에 면하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가옥의 경계 역할을 겸한다. 이곳의 규모는 계동과 가회동의 일반적인 한옥에 비하면 큰 편으로 전형적인 도시 한옥의 구성이다. 배렴 가옥은 한국화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제당과 배렴가옥> 전에서는 제당 배렴이 계동 가옥에 거주할 당시의 일화들을 바탕으로 한 아카이브와 그의 수묵산수화 대표작을 소개한다.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배렴과 교류했던 당대의 예술가들과 전쟁 이후 한국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서구 문물을 수용해 새로운 화폭을 모색했던 당대의 여러 예술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전통 회화의 정신과 표현 방식을 재해석한 다양한 현대 작품도 소개할 예정이다. 장소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89 이용시간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공휴일 문의 02-765-1375 글 사진 재단법인 아름지기  
서교동 아미티스 빌딩, 임형남, 노은주 2017년 10월 21일 2:00PM
VisitYourself 이상범 가옥 동양화가 청전(靑田) 이상범이 살았던 집이자 화실인 이곳은 2005년 등록문화재(제17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가옥은 서울시가, 화실은 종로구가 소유해 관리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방문 가능하도록 개방하고 있다.  문화재청에 의하면 가옥은 1930년대 누하동을 비롯하여 경복궁 서쪽 지역에 형성되었던 도시형 한옥 건물로 이상범 화백이 43년간 거주한 곳이며 희소성에서도 그 가치가 인정된다. 또한 화실은 이상범 화백이 화실로 사용하던 곳으로 이상범 화백이 작업에 열중하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는 곳으로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있어 가옥과 함께 선생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청전양식’이라는 자신만의 화법을 전개하던 산수화가인 이상범은 1942년부터 1972년 작고할 때까지 누하동 가옥에서 살았으며 배렴과 박노수 등이 배출되었고 그의 전성기 작품이 거의 이곳에서 완성되었다. 주택은 ㄱ자 안채와 ㅡ자 행랑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근대 도시한옥이지만 드물게 부엌에 찬마루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집, 최근 종로구립미술관으로 변신한 박노수 가옥과 함께 서촌의 근대 예술가들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소다. 글 서울시 사진 문화재청 장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31-7, 31-8 (누하동) +참고자료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79,01710000,11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60&contents_id=76052
대선제분 영등포공장, 양진석 2017년 10월 23일 3:00PM
재단법인 아름지기 사옥, 김종규 2017년 10월 23일 3:00PM
PLACE 1, 김찬중 2017년 10월 23일 4:00PM
반계 윤웅렬 별서, 김봉렬 2017년 10월 23일 4: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