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북컴퍼니 사옥

김성우, 김상목

2017년 10월 29일 2:00PM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226

‘새로운 시작’, ‘시작으로서의 건물은 어떤 인상을 만들어 내야하는가’에 대한 고민은 모노리스(monolith, 라틴어로 하나의 또는 고립된 바위)라는 개념으로 이어진다. 투명하거나 검은, 절대적 비례의 이질적인 볼륨을 연상시키는 모노리스는 진화의 과정에서 잃어버린 고리(missing link)를 연결해주는 단초이자 일상 속의 신선한 변화, 새로운 시작을 만들어내는 잠재적 가능성을 내포한 존재이다.
완벽한 비례의 볼륨에서 뿜어져 나오는 응축된 에너지. 이를 표현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서 사용하는 것을 배제하고 하나의 재료를 사용한 단일 볼륨에서부터 디자인을 시작하였다. 여러 계획안을 거쳐 최종적으로 콘크리트 표면 위에 자유롭게 형상을 만들 수 있고 여러 질감의 표현이 가능한 GFRC(Glass Fiber Reinforced Concrete)를 주요 외장재로 사용하게 되었다.

태초의 미디어. 정보를 전달하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인 모스(Morse) 부호를 사용하여 GFRC 패널에 패턴을 만들고 그 패턴을 변형하여 입면을 디자인하였는데, 빛의 방향에 따라 GFRC 패널에 각인된 모스부호 그림자의 깊이가 변화하고, 표면에 새겨진 나뭇결 문양에 의하여 시시각각 변화하는 풍부한 질감이 표현된다. 멀리서는 인식되지 않는 나뭇결 문양이 가까이서 건축물을 대할 때 또 다른 인상을 가질 수 있기를 바랐다.
콘크리트에 검은색 안료를 섞어서 제작된 GFRC 패널은 마치 짙은 먹을 입힌 듯한 느낌을 주는데 어두운 하늘 아래에서는 더 짙은 회색으로 보이고 맑은 날은 푸르스름한 회색, 노을 빛을 담아내는 붉은 톤의 회색처럼 하늘빛에 따라서 표면의 질감과 색상이 다양하게 변화한다. 폭 1.2m, 높이 3.6 m의 기본 모듈로 만들어진 패널들로 전체 볼륨을 만들고 그 중 일부를 불규칙적으로 개방하여 의도적으로 입면에서 창의 패턴이 읽히지 않도록 하였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전체로서의 하나의 볼륨 속에 응축된 에너지를 그대로 간직한 채 자유로움, 투명함, 개방감을 동시에 담아내고자 하였다. 서로 상반되는 개념을 동시에 품은 볼륨. 그 속에서 건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어떤 연속적인 공간경험을 통하여 변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기를 바랐다.

짙은 회색 톤의 건물을 바라보며 주 출입구에 들어서면 밝게 빛나는 흰색의 광천장과 옅은 회색 톤의 노출콘크리트 벽면을 따라 엘리베이터 홀로 안내되는데 외부공간에서부터 이어지는 짙은 회색의 바닥재는 엘리베이터를 타고 기준층에 도착하면 밝은 색으로 바뀌면서 공간적 경계를 넘어가는 경험을 하게 된다.
건물 외관의 짙고 육중한 느낌과는 반대되는 전체적으로 밝은 무채색 계열의 백색 도장과 노출콘크리트를 주 재료로 사용한 실내공간으로 들어가면 크고 시원하게 열린 창을 통해서 자신이 얼마 전까지 머물러있었던 색색의 도시 풍경이 눈에 들어온다. 연속적인 움직임들 속에 숨겨진 미세한 톤의 차이와 바닥 재료의 변화로 각 영역들의 경계가 만들어지고 또 사라지며 연결된다.

기준층의 층고와 레이아웃을 결정하는 것은 전체 볼륨의 비례와 입면의 디자인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작업 중 하나였다. 대지가 봉은사로의 남측에 위치하여 건물의 정면이 북향으로 놓이는 상황에서 주요 수직 동선을 남측에 위치시키고 북측 및 동측 방향으로 개방된 입면을 갖도록 기준층 레이아웃을 검토하였는데 사옥으로 사용되는 건물이기에 도로 방향으로 정면성을 갖는 것이 중요했다. 또 업무공간에 직사광선을 받는 것보다는 항상 일정한 광량의 북측 하늘빛을 받아들이는 것이 개방감을 높이면서도 작업을 하는데 방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한다.

엘리베이터, 계단실, 화장실, 창고, 각종 샤프트, 실외기실 등의 모든 서비스 영역을 남측 면에 집중시키고 그 반대편으로 깨끗한 직사각형의 업무 영역을 배치하여 기능적인 사무실 레이아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바닥에는 친환경 코르크 마루재를 사용하여 보행이 편안하고 소음이 저감되도록 하였으며 모든 층에 열교환기 설비를 설치하여 창문을 열지 않더라도 항상 신선한 공기가 순환되도록 하였다.

옥상에는 각진 건물의 형상과 대비되는 유선형의 자유곡선으로 에워싼 정원을 계획하였다. 북측의 남산타워, 동측의 선릉공원, 남측의 소필지 주거지역과 르네상스 호텔 등 서울의 풍경을 담아내는 커다란 창들 사이로 각종 야외 행사를 수용할 수 있는 계단식 모임 공간과 서비스 공간 등을 갖추고 있다. 개화의 시기가 다른 수목들을 세심하게 배치하여 계절에 따른 색의 변화를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처음 의도한대로 정원이 완성되었을 때 눈앞에 펼쳐질 풍경이 기대된다.
지하 1층~지상 2층은 일반 임대 공간을 , 지상 3층과 4층을 통합하여 로비와 자료실을 함께 구성하였다. 지상 12층~13층은 대회의실과 작은 소그룹 회의실 영역, 지하 2층은 6m의 높은 층고를 가진 다목적공간으로 계획하였다.

특별한 인테리어 자재나 장식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외부로 열린 창의 개방감, 공간의 변화와 높이, 바닥 재료의 변화 등을 활용하여 각각의 영역의 특성에 따라 개성 있는 공간감을 구현할 수 있었다.


엔이이디  사진 신경섭


N.E.E.D
www.n-e-e-d.org


대지면적 491.8㎡
건축면적 282.78㎡
연면적 5,014.59㎡
용도 근린생활시설, 업무시설
규모 지하5층, 지상15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GFRC패널, 고밀도목재패널, THK24로이복층유리
준공 2017.1


N.E.E.D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는 2007년부터 파트너쉽으로 작업을 해오던 김성우, 김상목 소장이 2008년 미국 건축사협회 뉴욕지부 주관 ENYA 국제현상설계 당선을 계기로 서울과 뉴욕에 개소한 건축설계사무소이다.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는 ‘삶’의 불안정성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일상의 이슈들을 진지하게 탐구함과 동시에 다양성을 받아들여 현실에 반영하고자 한다. 필연적으로 우리의 작업은 스케일이나 스타일에 얽매이지 않고 건축, 도시, 랜드스케이프, 인테리어 등 경계가 없는 탄력적인 스펙트럼 안에서 진행되어 왔으며 사용자들의 필요에서 시작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건축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여러 결과물로 만들어 오고 있다.


김성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및 동대학원, 네덜란드 Berlage Institute M.Arch 과정을 졸업하였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소재 de Architekten Cie., 정림건축, 디엠피건축 등에서 실무를 쌓았으며, 2008년 미국 AIA 뉴욕협회에서 주최한 ENYA(Emerging New York Architect) 국제현상설계에서 대상을 수상한 것을 계기로 서울과 뉴욕에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N.E.E.D. Architecture)를 김상목 소장과 함께 설립하였다.
주요 작품으로는 김수근프리뷰상, 미국 뉴욕 건축가협회 준공작부문 우수상 등을 수상한 상계동 341-5 주거복합 프로젝트, 2014년 완공한 수제맥주 공장인 코리아크래프트브류어리 그리고 2017년 서울시건축상을 수상한 더북컴퍼니 사옥 등이 있으며 현재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활동 중이다.

김상목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및 미국 Columbia대 M.Arch 과정 졸업 후 미국 뉴욕 소재 Balmori Associates를 거쳐 현 N.E.E.D. Architecture 공동대표로 활동 중이다. NY, NJ, CT의 등록 미국건축사로서 AIA정회원과 LEED Accredited Professional BD+C의 자격을 유지하고 있고, 2008년 이후 YALE대와 SA 건축학교의 설계스튜디오 강사를 맡았다.
주요 작품으로는 Balmori Associates에서 참여했던 세종시 행정타운 마스터플랜, St. Louis Waterfront, Bilbao Park, Canary Islands Port Redevelopment, NYC 2012 Olympics Equestrian Center 등이 있고, 원지동 서울추모공원, 서울 예술섬, 세종행정타운 2-2 구역, Eye Level US Headquarter, Another Concrete House, Vernon Smart Residence, 제주 CSC Hotel, 한국알콜산업 진솔원, 다음커뮤니케이션 스페이스닷투 등이 있다.
 

Map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226
건축가 김성우, 김상목
건축주 더북컴퍼니
일시 2017년 10월 29일 2:00PM
위치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226
집합 장소 더북컴퍼니 사옥 건물 앞
인원 25
TOP LIST
OpenHouse 백인제 가옥 서울시 민속문화제 제22호인 백인제가옥은 종로구 북촌(가회동)에 자리하고 있으며 1913년 건립된 근대 한옥으로 지난 2009년 서울시가 백인제(백병원 설립자) 유족으로부터 인수 후 보수공사를 거쳐,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건축 당시의 생활상을 복원 연출한 역사가옥박물관이다. 전통한옥과 다르게 사랑채와 안채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건축재료로 압록강 흑송,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안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된 특징이 있는 일제강점기 대형(2,460㎡) 한옥으로 북촌에서 유일하게 실내까지 관람이 가능한 가옥이다. 북촌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2,460㎡의 대지 위에 당당한 사랑채를 중심으로 넉넉한 안채와 넓은 정원이 자리하고, 가장 높은 곳에는 아담한 별당채가 들어서 있다. 전통적인 한옥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도 근대적 변화를 수용하여, 건축 규모나 역사적 가치 면에서 윤보선 가옥과 함께 북촌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꼽힌다. 1907년 경성박람회 때 서울에 처음 소개된 압록강 흑송(黑松)을 사용하여 지어진 백인제 가옥은 동시대의 전형적인 상류주택과 구별되는 여러 특징들을 갖고 있다. 사랑채와 안채를 별동으로 구분한 다른 전통한옥들과는 달리 두 공간이 복도로 연결되어 있어, 문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본식 복도와 다다미방을 두거나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한 것은 건축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사랑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전통한옥에서는 보기 힘든 백인제 가옥만의 특징이다. 글 사진 서울시 제공 장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7길 16(가회동) 이용시간 09:00~18:00 (입장마감 17:30)  ※ 자유관람시 외부 관람만 가능 휴관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 1월 1일 관람인원 안내해설 1회 15명, 자유관람 동시관람객 100명 이용요금 무료 예약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시스템(http://yeyak.seoul.go.kr) 이용 및 현장접수 병행(문의 724-0200, 0232) 백인제 가옥 http://www.museum.seoul.kr/www/guide/vis/BIJHShow/BIJHIntro.jsp?sso=ok
필운동 홍건익 가옥 홍건익가옥은 1936년에 지어진 민가이다. 당시 상인으로 활동했던 홍건익의 집으로 740.5㎡의 대지에 대문채, 행랑채, 사랑채, 안채, 별채 등 다섯 동의 한옥이 낮은 구릉을 따라 자연스럽게 배치되어 있다. 서울에 남아 있는 한옥 중 후원에 일각문과 우물, 빙고까지 갖춘 곳은 이 집이 유일하다. 이 집은 전통한옥의 구성을 갖추고 있으면서, 동시에 1930년대 근대 한옥의 건축적 특징이 잘 나타나 있다. 안채 대청마루의 풍혈판에 새겨진 팔괘문양, 별채의 화초벽을 장식한 태극문양, 이화꽃문양, 연꽃문양 등 화려한 장식요소도 곳곳에 남아있다. 매입 당시에는 건물들이 대체로 심하게 퇴락하고, 일부 증축 및 변형된 부분이 있었으나, 전체적으로 건축 당시의 기본구조와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 2013년 서울특별시 민속문화재 제33호로 지정되었다. 2015년 복원이 완료된 후 시민들에게 개방되어 지역의 역사를 보존하고 알리는 공간이자 지역 탐방의 시작점이 되는 안내소, 그리고 주민들을 위한 사랑방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사랑채에서는 <역관의 방>展을 통해 이 지역에 거주했던 중인 계급의 위상과 역할을 재조명하는 기획전시가 진행 중이고, 안채 건넌방은 주민과 시민들을 위한 대관 공간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리고 별채는 인근 학교 및 지역 어린이들을 위한 작은 도서관이 마련되어 있다. 전시연계 강연 2017.10.20.(금), 14:00-16:00 <고영주의 형제들> 허경진(연세대 국어국문학과 교수) 2017.11. 3.(금), 14:00-16:00 <역관의 생활-그 교류와 주변 이야기> 서현경(문학박사, 한국고건축인문학연구소 소장) 장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1길 14-4 이용시간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공휴일 이용요금 무료 대관예약 대관신청서 작성 후 방문 제출 또는 이메일(hongeonikhouse@gmail.com) 강연예약 방문, 전화, 이메일 문의 02-735-1374 글 사진 재단법인 아름지기  
계동 배렴가옥 계동 배렴 가옥은 1936년경에 지어져 제당 배렴이 생애 말년을 보낸 곳으로 등록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되어 있다. 현재 우리나라 전통 회화를 재조명하는 전시관과 세미나실, 1950년대 북촌에 위치한 근대한옥의 모습을 엿볼 수 있는 배렴의 방 등으로 운영 중이다. 가옥의 구조는 안마당을 중심으로 북측과 서측의 ㄱ자형 안채와 동측과 남측의 ㄴ자형 바깥채가 분리되어 마주보게 구성된 튼ㅁ자형 가옥이다. 동쪽의 바깥채에 마당으로 들어오는 대문이 함께 설치되어 있고 안마당 외에도 바깥에 작은 마당이 있다. 바깥채는 계동길에 면하는 길이방향으로 위치하고 있고 가옥의 경계 역할을 겸한다. 이곳의 규모는 계동과 가회동의 일반적인 한옥에 비하면 큰 편으로 전형적인 도시 한옥의 구성이다. 배렴 가옥은 한국화를 재조명하는 다양한 전시를 기획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제당과 배렴가옥> 전에서는 제당 배렴이 계동 가옥에 거주할 당시의 일화들을 바탕으로 한 아카이브와 그의 수묵산수화 대표작을 소개한다. 이번 전시를 시작으로, 배렴과 교류했던 당대의 예술가들과 전쟁 이후 한국화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서구 문물을 수용해 새로운 화폭을 모색했던 당대의 여러 예술가들의 작품을 소개하고, 전통 회화의 정신과 표현 방식을 재해석한 다양한 현대 작품도 소개할 예정이다. 장소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89 이용시간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공휴일 문의 02-765-1375 글 사진 재단법인 아름지기  
서교동 아미티스 빌딩, 임형남, 노은주 2017년 10월 21일 2:00PM
VisitYourself 이상범 가옥 동양화가 청전(靑田) 이상범이 살았던 집이자 화실인 이곳은 2005년 등록문화재(제171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가옥은 서울시가, 화실은 종로구가 소유해 관리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이 방문 가능하도록 개방하고 있다.  문화재청에 의하면 가옥은 1930년대 누하동을 비롯하여 경복궁 서쪽 지역에 형성되었던 도시형 한옥 건물로 이상범 화백이 43년간 거주한 곳이며 희소성에서도 그 가치가 인정된다. 또한 화실은 이상범 화백이 화실로 사용하던 곳으로 이상범 화백이 작업에 열중하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는 곳으로 당시의 모습이 그대로 있어 가옥과 함께 선생의 체취를 느낄 수 있는 곳이다. ‘청전양식’이라는 자신만의 화법을 전개하던 산수화가인 이상범은 1942년부터 1972년 작고할 때까지 누하동 가옥에서 살았으며 배렴과 박노수 등이 배출되었고 그의 전성기 작품이 거의 이곳에서 완성되었다. 주택은 ㄱ자 안채와 ㅡ자 행랑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근대 도시한옥이지만 드물게 부엌에 찬마루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의집, 최근 종로구립미술관으로 변신한 박노수 가옥과 함께 서촌의 근대 예술가들의 흔적이 남아있는 장소다. 글 서울시 사진 문화재청 장소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31-7, 31-8 (누하동) +참고자료 문화재청: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79,01710000,11 네이버캐스트:  http://navercast.naver.com/magazine_contents.nhn?rid=2860&contents_id=76052
대선제분 영등포공장, 양진석 2017년 10월 23일 3:00PM
재단법인 아름지기 사옥, 김종규 2017년 10월 23일 3:00PM
PLACE 1, 김찬중 2017년 10월 23일 4:00PM
반계 윤웅렬 별서, 김봉렬 2017년 10월 23일 4: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