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02

Tour 한국 여성 주체성의 시공간적 확장,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

강미선

2019년 10월 15일 10:00AM
서울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ECC와 캠퍼스 전경 (사진_김용관)
1930년대 초기 캠퍼스 지도 (사진_이화역사관)
파이퍼홀 (사진_문화재청)
파이퍼홀 (사진_문화재청)
파이퍼홀 (사진_문화재청)
이화학당을 복원한 이화역사관 (사진_이화역사관)
진선미관 (사진_이화역사관)
대강당 (사진_이화역사관)
ECC (사진_ANDRÉ MORIN)

* 10월 3일 오후2시부터 참가 신청 가능
답사 코스 정문 이화 웰컴센터 입구 – ECC 지상 가든으로 이동하며 전체 캠퍼스 구성 설명 – 본관 파이퍼홀 - 이화역사관(이화학당 복원) – 아령당 – 진선미관 (예전 기숙사) – 대강당 – 중강당 – ECC

집결지 이화여자대학교 정문 웰컴센터 앞
프로그램 예상 시간 2시간 이내

프로그램 진행
강미선(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교수) 

개화의 시기인 1886년, 미국의 북감리교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M.F.Scranton)이 서울 정동의 자택에서 한 명의 여학생을 상대로 수업을 시작한다.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 여성 교육기관이자 이화여자대학교의 전신인 이화학당의 시작이다. 200여 평의 한옥 교사를 30여 명의 학생들을 위한 교실과 교사 숙소로 쓰는 시기를 거쳐, 1897년 한옥을 헐고 같은 자리에 붉은 벽돌의 2층 건물들을 짓는다. 이들이 지금까지 남아 정동 이화여자고등학교의 일부를 이뤄 박물관과 기념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이화학당은 현재 이화여대 신촌 캠퍼스에 복원되어 이화역사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정동의 심슨기념관을 준공할 무렵인 1915년, 유관순 열사가 이화학당에 편입했고, 1919년까지 학교에 다녔다. 1920년 순국한 그의 시신을 수습하여 장례를 치른 것도 당시 이화학당장이었던 월터이다. 여성에 대한 교육열은 애국열과 함께 급속도로 확산하였다. 근대식 학교의 남녀평등사상은 여성이 교육을 통해 사회에 참여할 수 있다는 인식을 요청하였고, 이는 1905년 을사늑약 체결에 대한 저항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사회의 교육 구국 인재양성의 요구와 만난다. 여성 교육을 위한 최초의 제도적 기반인 「고등여학교령」이 1908년 공포되고 이화학당이 4년제 대학과를 신설하여 여성 지도자를 배출하고자 한 것도 1910년 경술국치로 인한 국권 상실 전후로 일어난 일이다.     
빠르게 커가는 학교의 또 다른 공간을 찾아 이화는 1924년 구 황실 능터인 신촌에 대지를 구매한다. 1935년 본관인 파이퍼홀, 대학원관으로 쓰이는 케이스홀 등 일본에서 활동한 미국 건축가이자 선교사 윌리엄 보리스(W.M. Vories)가 설계한 초기 건물군이 완공되면서 본격적으로 이화여자대학교(당시 이화여자전문학교)의 신촌 캠퍼스 시대가 열린다. 그의 건물들은 튜더식 고딕 양식의 화강암 외장으로 완자 무늬 등 한국적 전통을 반영한 점, 식물 모양의 외부 장식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화려하고도 안정된 외관을 지닌 점이 특징이다. 바로 다음 해인 1936년 대학원 별관과 진선미관, 영학관이 완성되었고 가정대의 한옥형 가사실습소인 아령당이 지어졌다. 아령당의 존재는 당시 여성 고등교육이 가정 내 여성 역할 교육의 일부를 계승한 한계 또한 보여준다.  
광복 후 1946년, 종합대학인 이화여자대학교의 인가를 받아 최초 한국인 여성 박사이기도 한 김활란 박사가 초대 총장으로 취임한다. 1950년대 한국전쟁 전후 복구 시기 대강당 건립 등 한 차례의 확장을 이룬 캠퍼스는 경제 성장기와 맞물려 여성 고등교육이 급속히 확대된 1980~90년대에 이화 100주년을 맞아 두 번째 대규모 확장기를 맞는다. 이러한 성장은 21세기 들어서도 이어져 2008년, 정문부터 학교의 중심인 본관까지 이어지는 경사 지형의 지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실험적인 지하캠퍼스인 이화 캠퍼스복합단지(Ewha Campus Complex, ECC)를 새로이 조성한다. 프랑스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Dominique Perrault)의 설계인 ECC는 도심 속 산지에 있는 대학캠퍼스가 지하로 규모를 확장하여 기존의 역사 깊은 저층 캠퍼스의 풍경을 조화롭게 이어나가고, 학교 주변의 도시 구조와도 연속된 길로 만나는 새로운 방식의 경계를 형성한 새로운 대학캠퍼스 건축의 모형으로 평가받는다. 이는 이제까지 금남의 공간이라 여겨진 이화 캠퍼스가 지역사회, 세계와 더 적극적으로 소통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다.    
건축은 그 시대상의 반영이다. 이화여대 캠퍼스는 133년간 여성 교육의 역사가 고스란히 반영된 곳이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여성의 고등교육공간이 어떻게 점진적으로 변화되었는지, 그와 더불어 여성이 교육을 통해 사회에서 어떻게 주체성을 확장해왔는지를 이화학당 복원과 ECC 건축을 직접 총괄한 강미선 교수와 함께 확인해 보고자 한다. 

OHS, 강미선  사진 김용관, 문화재청 제공

 

강미선 
이화여대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건축 기획, 주거학, 공간 내 젠더 이슈 등을 연구하고 있다. 특히 이화여대 ECC의 기획부터 완공까지 실무책임자로 일했으며 이화여대 내 다양한 건축물의 건립을 총괄하였다. 최근에는 1,000병상 규모의 마곡지구 이대서울병원의 건축본부장을 역임하였다. 현재 대통령 소속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Map 서울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건축가 강미선
일시 2019년 10월 15일 10:00AM
위치 서울시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집합 장소 이화여자대학교 정문 웰컴센터 앞
인원 25
코스 정문 이화웰컴센터 입구 – ECC 지상 가든으로 이동하며 전체 캠퍼스 구성 설명 – 본관 파이퍼홀 - 이화역사관 (이화학당 복원) – 아령당 – 진선미관 (예전 기숙사) – 대강당 – 중강당 – ECC
TOP LIST
SPECIAL 02 대학의 원형을 만나다 오픈하우스서울 2019의 두 번째 스페셜 테마는 대학 캠퍼스의 원형이다. 서울에 자리 잡은 대학 캠퍼스들의 역사를 돌아보며 시대정신에 따라 지식의 공간이 어떻게 보급되고 정립됐는지, 구체적인 건축물의 역사를 통해 살펴본다. 일제강점기 외국 선교회가 세운 후 한국 대학 건축의 전형이 되어온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여성 교육의 산실이자 새로운 도심 캠퍼스의 지평을 확장한 이화여자대학교 신촌캠퍼스, 식민지 경영정책에 맞춘 농업학교에서 오늘날 도시학을 중점으로 특화된 교육기관으로 거듭난 서울시립대학교 전농동 캠퍼스, 군사 정권시기 국내 주요 건축가들의 건축물을 통해 캠퍼스의 위상을 재정립하고자 했던 태릉 육군사관학교 등 한국 고등교육기관이 어떻게 형성되고 확장되었으며 오늘의 캠퍼스로 자리 잡았는지 살펴본다.   Tour 김수근, 김중업, 김종성, 이광노의 육군사관학교 ∣ 진행 정인하 교수 Tour 서울시립대학교, 근현대 100년을 걷다. ∣ 진행 박철수 교수 Tour 한국 여성 주체성의 시공간적 확장, 이화여자대학교 ∣ 진행 강미선 교수 Tour 연세대학교, 기독교 사학에서 만나는 대학 캠퍼스의 전형 ∣ 진행 이연경 박사   OpenHouse 연세대학교 법인본부, 최문규 OpenHouse 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최문규 OpenHouse 선벽원(善甓苑), 이충기
SPECIAL 02 연세대학교 법인본부, 최문규 2019년 10월 13일 4:00PM
SPECIAL 02 Tour 한국 여성 주체성의 시공간적 확장, 이화여자대학교 캠퍼스, 강미선 2019년 10월 15일 10:00AM
SPECIAL 02 서울시립대학교 100주년 기념 시민문화교육관, 최문규 2019년 10월 16일 1:00PM
SPECIAL 02 Tour 김수근, 김중업, 김종성, 이광노의 육군사관학교, 정인하 2019년 10월 19일 10:00AM
OpenHouse 선벽원 (善甓苑), 이충기 2019년 10월 19일 11:00AM
SPECIAL 02 Tour 서울시립대학교_근현대 100년을 걷다, 박철수 2019년 10월 19일 2:00PM
SPECIAL 02 Tour 연세대학교, 기독교 사학에서 만나는 대학 캠퍼스의 전형, 이연경 2019년 10월 20일 10:00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