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SEOUL 2O24
OHS
Archive
Notice
Login
Join
SPECIAL
SPECIAL 작가 특집 김정임(서로아키텍츠)
SPECIAL O2 오픈하우스서울 굿즈
OPENHOUSE
일을 위한 공간, 오피스/사옥
한국 건축의 최전선, 마곡 지구
공간 예술로 핀 문화공간
삶의 방식, 주택
오래된 집의 활용
함께 사는 공간, 공동주택
도시의 녹음을 걷다
일상으로 들어온 종교건축
더 나은 교육을 위한 공간
면적과 여백의 게임, 근린생활시설
모두를 위한 공간, 공공 건축
OPENSTUDIO [무료]
COLLABORATION
DDP ROOFTOP TOUR
2O25_DDP 루프탑 투어_서울디자인재단
About 2O24
HowTo
Interview
TimeTable
Map
Report
Archive
Notice
Login
Join
OHS
2O24.1O.26-11.3
DDP ROOFTOP TOUR 2025
2025.4.11(FRI) - 6.1(SUN)
서울디자인재단
DDP ROOFTOP TOUR
5월 16일 (금)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2025년 5월 16일 4:00PM
DDP ROOFTOP TOUR
4월 27일 (일) 1회차 14:00, 서울디자인재단
2025년 4월 27일 2:00PM
OPENHOUSE
여성가족복합시설 스페이스살림, 최정우 + 이승윤 + 김영주((주)유니트에이 건축사사무소)
스페이스 살림은 도시 내 다양한 레벨과 만나는 '시설이 아닌 장소'로서의 공공공간이다. 도시 맥락을 고려하여 대상지와 접한 모든 길에서 이어지는 크고 작은 길과 마당을 직교하여 구성하였다. 건물군의 배치 또한 군집된 시설이 아닌 흩어져 있는 마을 안의 집이 되길 의도하였다. 대방역과 연결되는 지하층은 ‘손'으로 하는 다양한 작업과 협업을 지원하는 공간이며, 지상의 공간은 시민들의 자율성으로 만들어가는 여백의 장소들이다. 스페이스 살림은 여전히 진행형의 공간으로 시민들이 사용하면서 변경되고 덧붙여지거나, 혹은 확장될 수 있도록 기술적으로 배려했다. 따라서 모든 방은 동일 모듈이 변주되어 향후 다양한 크기들로 확장되거나 나눠질 수 있도록 의도하였다. 스페이스 살림은 도시 건축이다. 도시의 길과 레벨을 섬세하게 조정하여 건물과 길이 모두 만나게 했고, 생활 가로가 건축공간으로 이어진다. 모든 레벨은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여 1/24의 램프로 단차를 극복하고, 코어를 흩어 놓아 건물의 어느 공간이든 쉽게 갈 수 있게 하였다. 처음으로 시도되는 육아 공유오피스, 여성 선도형 스타트업들은 상생하며 발전적 관계를 끊임없이 모색하는 장소이며, 공간의 위계가 분명한 공공 건축이 아닌 관계의 수평성과 다원적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장소로서의 도시 건축을 지향한다. 스페이스 살림은 용적률을 절반도 채우지 않았다. 연수시설을 제외한 지상 3층이 최고층이며, 지상 3층 또한 대부분 옥외공간으로 활용되도록 계획하였다. 대방역과 직접 연결되는 지하 2개 층의 레벨에서는 13개의 선큰과 흩어진 코어로 구성되어 작업장들의 관계를 설정하고 외부와 유연한 경계를 만드는 공간들이다. 선큰 가든은 지상층의 크고 작은 길로 연결되며 채광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지하 공간의 활용성이 더욱 증대되도록 구성하였다. 글 ㈜건축사사무소 유니트유에이 사진 텍스처온텍스처 여성가족복합시설 스페이스 살림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10 개관 월 – 금 9:00~21:00, 토 9:00~18:00 * 공간별로 운영시간이 다르므로 상세한 정보는 홈페이지 '공간' 메뉴를 통해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휴관 일요일, 법정 공휴일 대표번호 02-810-5201 입주기업 모집 문의 02-810-5256 웹사이트 spacesallim.or.kr
DDP ROOFTOP TOUR
6월 1일 (일)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2025년 6월 1일 4:00PM
DDP ROOFTOP TOUR
5월 23일 (금)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2025년 5월 23일 4:00PM
OPENHOUSE
백남준 기념관, 최욱(원오원아키텍스)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하는 백남준 생가 터 중 일부를 서울시가 매입하여 서울시립박물관의 기획으로 만들어진 곳이 백남준 기념관이다. 대상지의 건축물은 50여 년이 지난 도시형 한옥으로 백남준 생가의 흔적은 없고 필지의 일부를 점유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장소는 주민공동체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존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카페는 주민공동체가 운영하며 공간은 주민들의 사랑방의 역할을 하며 기념관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한다. 마당은 두 협의체의 공유공간이다. 한옥을 기념관으로 만들며 세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한옥의 목조 주요 부재를 드러냄을 우선으로 한다. 창호나 실내 칸막이 등 필요 기능에 의해 형성된 과거의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 도시형 한옥의 생명은 마당을 구심점으로 이루어짐으로 마당과 내부와의 연계에 집중하여 단면 계획에 섬세한 정성을 기울인다. 내외부 공간은 신발을 신고 다니므로 재료의 연계 및 구법을 통일시킨다. 지역의 오랜 기억을 가진 도로 측에서 보이는 외부공간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실내는 목적에 효과적인 구법을 구사하여 최대한 개방감을 만든다. 마당과 하늘 사이에 사람의 모습을 아름답게 만든다. 글 원오원아키텍스 사진 ONE O ONE factory 원오원아키텍스 http://101architects.com 백남준 기념관 개관 화 - 일 10:00~19:00 (관람 종료 30분 전까지 입장) 휴관 월요일, 1월 1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정상 개관) 관람료 무료 문의 02-2124-5268 웹사이트 https://sema.seoul.go.kr/kr/visit/nam_june_paik_house 최욱 1963년생.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 건축대학(dottore in arch.)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macdowell colony (u.s.a.), Valparaiso foundation (spain)에서 펠로우쉽을 받았다. 현재 ONE O ONE architects의 대표이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7년 선전-홍콩 비엔날레에 초대되었으며 대표작으로 학고재 갤러리, 두가헌,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 등이 있다.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가 2013 DFAA(Design For Asia Awards)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으로 2014 김종성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DDP ROOFTOP TOUR
5월 5일 (월)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2025년 5월 5일 4:00PM
DDP ROOFTOP TOUR
4월 11일 (금)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2025년 4월 11일 4:00PM
OPENHOUSE
엑셈 마곡 연구소,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2024년 10월 31일 4: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