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반계 윤웅렬의 별서

김봉렬

반계 윤웅렬 별서는 구한말 윤웅렬이 지은 별장이다. 반계 윤웅렬은 1856년(철종 7)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1894년 갑오개혁으로 군부대신을 지냈다. 1910년 한일합방 후에는 일본 정부에 의해 남작 작위를 받았다. 슬하에는 전주 이씨와의 사이에 좌옹 윤치호, 김정순과의 사이에 남포 윤치왕과 윤치창 3형제를 두었다.

1904년 여름동안 서울지역에 성행하던 성홍열이 10월이 되어도 수그러들지 않자 이를 피해 지내기 위해 창의문 밖 경승지로 손꼽히던 부암동에 조성한 여름 별장이다. 뒤편의 조적조 건물을 별장으로 지었는데, 윤웅렬이 세상을 떠난 후에는 그의 셋째아들 윤치창이 상속받아 안채 등 한옥 건물을 추가로 조성하여 현재와 같은 형태가 되었다.

1977년 서울시민속자료로 지정되었으며 2008년에는 건축물 외에 바위, 연못, 소폭포가 문화재로 추가 지정되면서 별서정원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모두 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별장의 건축적, 조경적 요소를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집이다.

윤웅렬 별장은 1944년까지 셋째아들 윤치창의 소유였으나 이후 여러 사람의 손을 거쳐 1980년대 말부터는 도쿄에 거주하는 집주인이 주로 세를 놓아 집이 망가지는 시초가 되었다. 이후 거의 폐허와 같이 방치되던 이 집을 개인이 소유하게 되면서 보수공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당시 사랑채는 마당을 모두 덮어 거실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원형을 많이 잃어버린 상태였다. 건물은 공기가 통하지 않아 썩고 있었으며 마당의 연못은 쓰레기 투기장이 되어버렸다.

이 집을 보수하는데 가장 큰 난제는 서울시 지정문화재라는 점이었다. 문화재는 원형보존을 원칙으로 하므로 생활에 필요한 변형과 상충되었는데 그에 따른 가장 큰 설계의 기준은 외관은 유지하되, 내부는 편리하게 하는 것이었다. 가장 먼저 단열을 해결해야 했는데, 한식 창호는 기밀성이 떨어져 단열성능이 거의 없으므로 내부에 한식 시스템창호를 새로 개발하여 설치하였다. 원래 이 집에 없던 화장실과 주방 등 위생설비는 건물의 외관을 해치지 않으면서 편리한 위치를 선정하여 실내로 들였다. 안채-사랑채-문간채로 분리된 각 건물을 신발을 신지 않고 연결되도록 하였으며 협소한 건물 규모에 맞는 가구에 대해서도 고민하였다.
 

글, 사진 온지음 제공

김봉렬
김봉렬 총장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학사와 대학원 석박사를 마치고 영국 AA School of Architecture 수학했다. 울산대학교 건축학과를 거쳐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2013년부터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총장으로 재직중이다.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아름지기재단 이사, 이코모스한국위원회 사무총장,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 등 문화 예술에 대한 고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대한건축학회 남파상을 수상했다. 「김봉렬의 한국건축이야기 I, II, III」 시리즈를 통해 한국건축에 대한 인식을 확장했으며 「한국의 건축」, 「가보고 싶은 곳 머물고 싶은 곳 1, 2」, 「불교건축」, 「서원건축」 등의 책을 저술했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한국정원(2005), 아모레퍼시픽 추모관 장원재사(2010), 국가영빈관 삼청장(2010), 여수 애양원(2012),통의동 아름지기 사옥 별채(2013) 등 여러 디자인 프로젝트를 설계했으며, 여주 영·녕릉, 강화 전등사, 제주 오설록, 광주 무각사 등 마스터플랜을 진행했다. 

TOP LIST
DDP ROOFTOP TOUR 4월 13일 (일) 1회차 14: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3일 2:00PM
DDP ROOFTOP TOUR 4월 12일 (토)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2일 4:00PM
DDP ROOFTOP TOUR 4월 12일 (토) 1회차 14: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2일 2:00PM
DDP ROOFTOP TOUR 4월 11일 (금)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1일 4:00PM
DDP ROOFTOP TOUR 4월 11일 (금) 1회차 14: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1일 2:00PM
DDP ROOFTOP TOUR 새로운 여정, 낯선 풍경, 서울디자인재단 DDP ROOFTOP TOUR 2025.4.11(금) - 6.1(일) 주최 서울시, 서울디자인재단  매주 금, 토, 일 (5월 5일 어린이날 운영) 각 2회차 진행: 오후  2시,  오후  4시   서울디자인재단은 혁신적인 자하 하디드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DDP 건축투어를 강화하고 루프탑 투어를 통해 새로운 여정을 선보입니다. DDP 루프탑 투어는 지붕의 3차원 곡면 패널 위를 걸으며 동대문 일대의 다채로운 도시 풍경을 마주하는 시간입니다.   DDP는 기존 건축의 공간, 실행, 표현, 구조에 대한 관습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는 도전을 잘 보여주는 곳입니다. DDP 루프탑 투어는 DDP 건축이 담고있는 혁신적인 건축의 의미와 이를 실현해낸 한국의 기술적인 해법에 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뿐만 아니라, 지붕까지 사람들의 움직임을 이끌어 공원과 건축을 통합하고자 했던 자하 하디드의 이루지 못한 마지막 비전에 다가가고자 합니다.   공간 미학이 만드는 아름다움을 넘어 비정형 형태가 갖는 시대적 의미를 나누고, 이를 현실에서 구현해 내고자 했던 건축 의지를 들여다봅니다. 수직∙수평을 벗어난 3차원 곡면 공간을 걷는 경험은 우리가 지닌 관습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여정에 대한 긴장과 설렘을 느끼는 건축투어 기회가 됩니다. 글 OHS  
Report 유스퀘이크, 조병수(BCHO Partners) 통의동 유스퀘이크 프로젝트는 리노베이션된 A, B동과 신축된 C동으로 구성된 갤러리 공간입니다. A동은 역사적 건물로서 외부와의 소통을 위해 벽을 허물고 마당을 개방하여 환대의 공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B동은 기존 건물의 형태를 보존하면서도 전시 공간에 맞게 개구부를 조정하고, 콘크리트 질감으로 깔끔하게 마감했습니다. C동은 충분한 층고를 확보하여 전시와 사무 공간으로 활용되며, 단순한 형태로 은행나무를 돋보이게 설계되었습니다. 세 건물은 서로 소통하며 하나의 복합 문화 공간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천왕근린공원 내 공공건축물, 이소진((주)건축사사무소 리옹) 오픈하우스 진행: 이소진   천왕근린공원은 과거 녹지 훼손이 심각했던 곳을 서울시와 구로구의 노력으로 가족캠핑장, 생태공원, 스마트팜, 책쉼터로 재탄생시킨 공간입니다. 세 개의 건축물은 각각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일관된 디자인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공원은 지속 가능한 도심 생태 축을 구축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픈하우스를 통해 이곳의 공공성과 건축적 조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누디트 서울숲, 김정임((주)서로아키텍츠) 오픈하우스 진행 : 김정임 성수동 프로젝트는 '복합성과 대립성'을 주제로 한 건축물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자주식 지하 주차장을 도입하여 상업시설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를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지상주차장과 상업공간을 결합하여 성수동의 인더스트리얼한 매력을 살린 독특한 공간을 만들어냈습니다. 또한, 대지의 긴 상업공간과 넓은 입면을 활용하여 도시와의 소통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시도들이 성수동의 활기와 소통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를 기대합니다. ​​​​​​​사진_이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