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아우르다 하우스

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2024년 11월 1일 2:00PM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
참가비 10,000원
사진_텍스처온텍스처
사진_텍스처온텍스처
사진_텍스처온텍스처
사진_텍스처온텍스처
사진_텍스처온텍스처

외부에선 담백해 보이지만 내부의 유연함이 있는 집

대지는 신도시의 경계 부분에 있다. 북쪽에는 아파트 단지가 있고 남쪽에는 산과 언덕이 보인다. 집은 중정형 구조이고 백색의 조적으로 마감되었다. 층수는 2층이지만 다락과 옥상의 벽면으로 좀 더 커 보인다. 진입부인 북측면은 조적 매스 앞에 거친 벽면을 겹쳐 보이도록 하였다. 기능에 따라 계획된 입구와 개구부는 리듬감과 균형을 생각하며 계획하였다. 중심에 있는 중정으로 인해 평면은 큐브 형태처럼 3X3의 9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북측에 현관과 계단을 배치하고 대지에서 가장 낮은 부분인 서측에 층고가 높은 거실을 계획하였다.

1층은 포디움처럼 하나의 매스로 되어있고 2층부터 틈을 생성하여 나누었다. 이러한 틈은 테라스와 옥상의 형태로 자연스럽게 드러나며 내외부의 완충 공간이 된다. 

내외부의 색상은 백색을 선택하였고 조적, 스타코, 도장 등으로 재질의 변화를 주었다. 내외부의 디테일은 최대한 단순하게 보이는 방향으로 풀어냈고 구현을 위해 시공자의 역할이 특히 중요했다. 프라이버시를 고려해 1층의 외부 창호는 절제하고 내부의 중정으로는 커다란 창호를 계획하였다. 남쪽 입면에서 2층 입면을 열어준 부분도 채광에 대한 고려가 주된 이유였다. 창을 통해 시간에 따라 움직이는 그림자와 빛의 변화를 집의 내부에서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집의 내부에서 수직·수평으로 소통을 위해 부분적으로 바닥을 열거나 계단 사이 공간을 최대한 활용하였다. ㄷ자 형태의 계단은 내부의 중심 공간이다. 수평적인 공간에 사이에 사선의 형태가 잘 드러나도록 마감을 고려하였다. 내부의 중정과 더불어 거실 앞의 외부 공간과 집 둘레의 조경계획도 집과 어울리는 계획을 위해 고민하였다.

한 덩어리처럼 보이는 건물의 내부는 많은 것들이 아우러져 있다. 테라스들을 통해 자연과 공간이, 머무는 사람의 시선들은 중정을 통해 아우러진다. 그래서 집의 이름도 아우르다 하우스(aurda haus)이다. 외부에선 담백해 보이지만 내부의 유연함이 있는 집이다.

건축사사무소 공장 사진 텍스처온텍스처


건축사사무소 공장
gjarch.com

정우석
인하대학교 학부와 대학원에서 건축을 전공한 후 정림건축에서 실무를 쌓았다. 2012년에 건축사사무소 공장을 만들고, 2016 대한민국신진건축사대상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으며 현재 인천시, 화성시, 대전시 공공건축가로 활동 중이다. 건축사사무소 공장은 ‘공간(空)과 장소(場)’를 주제로 건축 작업을 하는 곳이다. 또한 ‘공장’은 하나의 ‘작업장’으로써 다양한 실험과 도전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주로 주택 작업과 학교 공간 리모델링 작업을 하였다. 대표작으로는 판교주택 온유재, 적당, 은평 쌓은집, 광주주택 단집이 있고, 서창고, 울산강동초, 김제고, 장계중, 인천 대건고, 연수여고 등의 학교 공간을 새롭게 조성하였다. 인간에게 필요한 공간과 시간의 변화에 대한 건축적 탐구를 하고 있으며 다양한 재료의 접합과 축조 형식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작업을 하고 있다.

설계: 건축사사무소 공장(정우석)
위치: 경기도 화성시 장지동
대지면적: 248.1㎡
건축면적: 120.89㎡
연면적: 188.04㎡(1층: 99.13㎡ / 2층: 88.91㎡ / 옥상: 13.52㎡)
규모: 지상 2층
높이: 9.79m
주차: 1대
건폐율:  48.73%
용적률: 75.79%
의뢰인: 나우시호

Map경기도 화성시 장지동
건축가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설계 담당정우석
건축주나우시호
일시2024년 11월 1일 2:00PM
위치경기도 화성시 장지동
집합 장소서연초등학교 정문
TOP LIST
Report 아우르다 하우스, 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오픈하우스 진행 : 정우석 화성의 경계에 위치한 아우르다 하우스는 1층의 중정을 중심으로 나누어진 영역과 공간들이 건축주의 감각 있는 취향으로 채워져 있어 마치 여러 공간을 체험하는 듯합니다.   
Report TRU 건축사사무소, 조성익 TRU 건축사사무소는 '소소한 재미를 모아 함께 일하는 공간을 만든다'라는 콘셉트로 꾸며졌습니다. TRU사무소의 래빗홀과 사무 공간을 둘러보고, 조성익 건축가의 작업 과정과 건축 이야기, 나만의 작은 공간을 꾸미는 법 등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Report 판교주택, 민우식(민워크샵 건축사사무소) 집의 구석구석에 자연광이 드리우는 판교 주택은 건축가와 건축주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함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오픈하우스에서 적극적으로 소중한 경험담을 나눠주신 건축주와 함께 해 더 풍성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Report 양천근린공원 책쉼터, 김정임(서로아키텍츠) 공공건축의 제한된 환경과 조건에서 가지고 가야 하는 중심은 놓치지 않고, 필요한 부분을 조율해 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평일임에도 많은 시민들이 양천근린공원 책쉼터를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며, 김정임 건축가의 보람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코어건축사사무소, 유종수 + 김빈 유종수, 김빈 두 건축가와 함께 코어건축사사무소가 진행한 다양한 분야의 크고 작은 프로젝트는 물론, 재료와 구축 방식, 변화하는 사회 구조에 대응하는 새로운 유형 찾기에 대한 생각 등을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신아키텍츠, 신호섭 + 신경미 신아키텍츠의 공간 옥인옥은 업무와 주거의 조화를 이룬 공간입니다. 신호섭, 신경미 두 건축가의 다양한 작업과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오픈스튜디오였습니다. 
Report 디아건축사사무소, 정현아 정현아 건축가의 소개로 디아건축의 갤러리와 사무공간을 돌아보았습니다. 공간체계, 재료, 공법, 에너지효율 등 여러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현아 건축가의 사유와 작업을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팩토리얼 성수,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신재연 책임 성수동에서 유동인구가 제일 많은 연무장길 초입의 새로운 얼굴인 팩토리얼 성수는 무채색의 콘크리트 띠로 이루어진 모습으로 눈길을 끌지만, 지하 1층을 입주사들의 사무와 휴식을 위한 공용 공간으로 과감히 활용한 것도 인상적인 공간이었습니다.
Report 사무소효자, 서승모 건축가 서승모는 사람들의 움직임, 행위, 감각의 다양한 결과물로 건축의 물리적 구축을 끌어냅니다. 건축 공간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과 태도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는, 감각과 경험이 담긴 그의 건축 이야기를 함께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