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유스퀘이크

조병수(BCHO Partners)

2024년 10월 30일 10:00AM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7-3
* 유아 동반 불가능 프로그램
참가비 10,000원
사진_황우섭
사진_황우섭
사진_황우섭

* BCHO Partners 오픈스튜디오를 포함해 건물 곳곳을 돌아보는 여정입니다.
* 관람동선은 다음과 같습니다.
통의동 마을마당(집합) → 유스퀘이크 → 막집 → 온그라운드(시간 내 가능 시)

* 부분적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을 수 있어 안전상의 이유로 유아 동반 불가능함을 양해 부탁드립니다.


통의동 유스퀘이크 프로젝트는 리노베이션된 건물 A, B동, 신축된 C동까지를 아우르는 갤러리 공간이다. 세 건물은 동일한 건축주로, 세 건물 모두 전시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세 건물의 형태나 성격은 모두 다 달라 보일 수 있으나, 건물 간, 외부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열어주어 세 건물이 하나의 복합 문화 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의동에서 펼쳐지는 옛것과 새것의 대화

유스퀘이크 A동: 기존 건물 형태 보존하기 
A동은 대한제국 마지막 황세손 이구의 진화랑 건물로서, 역사적으로 보존할 필요성이 있는 건물이었기에, 재생을 고려하였다. 이 건물은 외부와 단절되어 있고 폐쇄적이었기에, 외부로부터의 보행자들의 접근이나 소통이 어려워 이를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였다. 기존 건물의 경계는 유지하되, 벽을 허물고 마당을 형성하여 내부로의 유입을 자연스럽게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갤러리의 중정으로만 사용되었던 마당은 외부 길로 열리고,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환대의 공간이 되었다. 마당 공간은 내부의 전시 공간을 확장하여, 외부 전시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도록 의도하였는데, 개비온 위에 놓인 돌의 음영 플레이가 전시가 없는 평소에도 풍부한 공간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내부의 개구부 크기를 확장하여, 외부에서도 내부의 공간을 쉽게 들여다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공간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내외부의 적극적인 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지붕의 기존 목구조는 그대로 유지하되 마감재만 유리로 교체하여 적극적인 채광 유입으로 시간과 계절에 따라 공간이 풍요로워질 수 있도록 하였다.

유스퀘이크 B동: 과거와 미래의 형태가 공존하기
용도를 다르게 사용함에 따라 건물 전체를 철거하고 신축을 하는 대신 용도에 맞게 수선해서 사용하는 것이 과거와 미래를 하나의 형태로 어우러지게 하여 더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A동의 재생에서부터 시작한 건물 재생은, B동으로도 스며들었다.
저층부는 근생, 고층부는 주거로 이용되고 있던 건물이라 개구부가 많았기 때문에 전시 용도의 목적에 맞게 불필요한 창들은 막을 필요가 있었다. 또한 창과 다양한 요소들이 무질서한 상태로 통일감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마감재를 탈거하고 콘크리트면을 정리하여 깔끔한 표면을 구현하였다. 기존에 창호가 있던 개구부는 벽돌로 막은 후, 시멘트 몰탈로 미장을 하고 폴리싱하여 매끈한 콘크리트 질감을 적용하였다. 이로 인해 기존 골조에 콘크리트 면 정리를 한 부분과 새로운 마감이 대비되며, 재질감의 차이를 주는 동시에 콜라주 형식의 흥미로운 입면 형태가 완성되었다. 경복궁과 도심의 풍경을 담을 수 있는 자리에는 큰 개구부를 형성하여, 전시 시에도 적절한 채광과 풍경이 들어오도록 하였다.  
또한, 건물의 비례를 고려하여 지나치게 높았던 파라펫을 낮추고, 개방감 있는 개비온 난간으로 마감하여 적절한 비율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루프 층에서의 전망을 확보하고, 루프 공간의 활용을 장려하는, 보다 매력적인 공간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1층은 A동과 마찬가지로 보행자의 유입과 소통을 고려하여 벽을 허물고 열린 공간으로 바꾸었다. 특히, A동과 연결되는 B동의 마당부는 A동의 헤링본 패턴의 적벽돌을 적용해 주어 공간의 연속성을 꾀하고자 하였다. 
 
통의동 유스퀘이크 C동 
A, B 동을 재생하여 전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다 보니, 다양한 전시를 위한 층고의 제약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전시 공간과 사무실로 이용할 C동은 신축을 하기로 하고 C동 건물 지하 1층과 지상 1층은 충분한 층고를 주었다.
마당의 은행나무가 이 대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였기 때문에 건물의 형태는 최대한 단순하고 심플하게 계획하여 은행나무가 돋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추후 마당에서 이벤트 시 정면 파사드를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노출콘크리트 위 폴리싱으로 마감하였다. 
1층은 전시 공간인 만큼 정면의 복잡한 도로가 보이지 않되, 외부 정원이 내부로 확장되어 들어올 수 있도록 벽을 60cm 들어 올려 답답함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2, 3층은 사무실 공간으로 적절한 채광과 자연환기를 고려함과 동시에 은행나무를 프레임에 담아 감상할 수 있도록 정면에 2.3m × 2.3m 정방형으로 개구부를 내주었다.

BCHO Partners 사진 황우섭
    
 
BCHO Partners
bchoarchitects.com
사진_김재경

조병수
조병수 조병수건축연구소(BCHO Partners) 대표다. 1994년 건축연구소를 개소한 이후, '경험과 인식', '존재하는 것, 존재했던 것 ',‘ㅡ’자집과 ‘ㄱ’자집, '현대적 버내큘러', '유기성과 추상성’등의 테마를 가지고 활발히 활동해왔다. 하버드대학교, 독일 국립 대학교 카이저스라우테른과 연세대, 몬태나대 등을 포함한 여러 대학에서 설계와 이론을 가르친 바 있으며 2014년에는 덴마크 오르후스 대학교 석좌교수를 역임하였다. 대표작으로는 Kiswire Center, F1963, 남해 Linear Suite 호텔, 퀸마마, ‘ㅁ’자 집, 트윈트리 프로젝트, ‘땅집’ 등이 있으며, 한국건축가협회상, 아천상, 김수근 문화상, 다수의 미국건축가 협회상 등을 수상했다.

 

Map서울시 종로구 통의동7-3
건축가조병수(BCHO Partners)
일시2024년 10월 30일 10:00AM
위치서울시 종로구 통의동7-3
집합 장소통의동 마을마당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7-3)
TOP LIST
DDP ROOFTOP TOUR 4월 13일 (일) 1회차 14: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3일 2:00PM
DDP ROOFTOP TOUR 4월 12일 (토)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2일 4:00PM
DDP ROOFTOP TOUR 4월 12일 (토) 1회차 14: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2일 2:00PM
DDP ROOFTOP TOUR 4월 11일 (금) 2회차 16: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1일 4:00PM
DDP ROOFTOP TOUR 4월 11일 (금) 1회차 14:00, 서울디자인재단 4월 11일 2:00PM
DDP ROOFTOP TOUR 새로운 여정, 낯선 풍경, 서울디자인재단 DDP ROOFTOP TOUR 2025.4.11(금) - 6.1(일) 주최 서울시, 서울디자인재단  매주 금, 토, 일 (5월 5일 어린이날 운영) 각 2회차 진행: 오후  2시,  오후  4시   서울디자인재단은 혁신적인 자하 하디드 건축의 정수를 보여주는 DDP 건축투어를 강화하고 루프탑 투어를 통해 새로운 여정을 선보입니다. DDP 루프탑 투어는 지붕의 3차원 곡면 패널 위를 걸으며 동대문 일대의 다채로운 도시 풍경을 마주하는 시간입니다.   DDP는 기존 건축의 공간, 실행, 표현, 구조에 대한 관습적인 생각에서 벗어나는 도전을 잘 보여주는 곳입니다. DDP 루프탑 투어는 DDP 건축이 담고있는 혁신적인 건축의 의미와 이를 실현해낸 한국의 기술적인 해법에 관한 이야기를 나눕니다. 그뿐만 아니라, 지붕까지 사람들의 움직임을 이끌어 공원과 건축을 통합하고자 했던 자하 하디드의 이루지 못한 마지막 비전에 다가가고자 합니다.   공간 미학이 만드는 아름다움을 넘어 비정형 형태가 갖는 시대적 의미를 나누고, 이를 현실에서 구현해 내고자 했던 건축 의지를 들여다봅니다. 수직∙수평을 벗어난 3차원 곡면 공간을 걷는 경험은 우리가 지닌 관습적인 생각에서 벗어나 새로운 여정에 대한 긴장과 설렘을 느끼는 건축투어 기회가 됩니다. 글 OHS  
Report 유스퀘이크, 조병수(BCHO Partners) 통의동 유스퀘이크 프로젝트는 리노베이션된 A, B동과 신축된 C동으로 구성된 갤러리 공간입니다. A동은 역사적 건물로서 외부와의 소통을 위해 벽을 허물고 마당을 개방하여 환대의 공간으로 재탄생했습니다. B동은 기존 건물의 형태를 보존하면서도 전시 공간에 맞게 개구부를 조정하고, 콘크리트 질감으로 깔끔하게 마감했습니다. C동은 충분한 층고를 확보하여 전시와 사무 공간으로 활용되며, 단순한 형태로 은행나무를 돋보이게 설계되었습니다. 세 건물은 서로 소통하며 하나의 복합 문화 공간을 이루고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천왕근린공원 내 공공건축물, 이소진((주)건축사사무소 리옹) 오픈하우스 진행: 이소진   천왕근린공원은 과거 녹지 훼손이 심각했던 곳을 서울시와 구로구의 노력으로 가족캠핑장, 생태공원, 스마트팜, 책쉼터로 재탄생시킨 공간입니다. 세 개의 건축물은 각각의 기능을 가지면서도 일관된 디자인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공원은 지속 가능한 도심 생태 축을 구축하며,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공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오픈하우스를 통해 이곳의 공공성과 건축적 조화를 직접 경험할 수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누디트 서울숲, 김정임((주)서로아키텍츠) 오픈하우스 진행 : 김정임 성수동 프로젝트는 '복합성과 대립성'을 주제로 한 건축물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자주식 지하 주차장을 도입하여 상업시설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를 충족시키면서, 동시에 지상주차장과 상업공간을 결합하여 성수동의 인더스트리얼한 매력을 살린 독특한 공간을 만들어냈습니다. 또한, 대지의 긴 상업공간과 넓은 입면을 활용하여 도시와의 소통을 강화했습니다. 이러한 시도들이 성수동의 활기와 소통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기를 기대합니다. ​​​​​​​사진_이강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