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Interview

“곡면이 만들어내는 감동, 형태에 대한 집착”

유현준 건축가

사진 오픈하우스서울
사진_박해욱(서울디자인재단 제공)

서울에 불시착한 우주선 같은 DDP,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5년이라는 시간 동안 DDP가 시민들에게 어떤 장소가 되었는지 생각해보고자 합니다. 두 번째 인터뷰는 유현준 건축가입니다.

 


DDP에 자주 가시는 편인가요?
자주 가요. 1층 숍에서 가방이나 시계같은 물건도 많이 사요. (웃음) 제가 평양냉면을 좋아하는데, 장충동에서 평양냉면을 먹고 태극당에서 모나카 먹고 동대문 DDP 물건을 사는 게 즐겨가는 코스예요. 심지어 밤에 동대문 시장 구경도 가요. 주차가 편하고 편안하고 깨끗해서 좋아요. 

DDP가 들어섰을 때 첫 인상이 어땠나요?
저는 자하 하디드를 싫어하거든요. (웃음) 싫어하는 건축가였는데 완성된 다음에 생각이 바뀌었어요. 삼성물산에서 건물을 완성도 높게 지었어요. 조감도의 그 곡면이 보기 싫게 나올 거라고, 흉물이 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제가 본 자하 하디드 건물 중 가장 완성도 있게 나온 것 같아요. 깜짝 놀랐어요.

조감도가 드러났을 때 많이 회자되었는데요. 초기 계획안에서 변경도 되었습니다. 완성된 것과 차이는 어떻게 보시나요?
조감도가 워낙 별로였어요. (웃음) 공모전 결과가 발표되었을 때 자하 하디드가 이런 퀄리티의 조감도를 내보내다니 싶었어요. 너무 신경을 안 쓴 것 같더라고요. 그런 안이 당선되어 걱정을 많이 했는데 역시 곡면이 주는 건축물의 감동이 있잖아요. 또 금속 패널로 만든 곡면인 데다가 엄청나게 큰 스케일의 건축물이 주는 강렬함이 있어서 나름대로 풍경을 만드는 데 일조했다고 봐요. 주변 컨텍스트와 맞지 않는다는 이야기를 하지만, 어수선한 주변에 맞추기는 어렵죠.
그런 면에서 다음 100년을 위해서는 괜찮은 건물인 것 같아요. 서울에서 웬만한 건물을 다 부수고 재개발해도 DDP는 절대 부수지 못할 거예요. 워낙 고가로 지었기 때문에요. 유럽에서 만들어진 좋은 건물들은 다 큰 예산을 들여서 못 부수는 거잖아요. 우리는 그 정도로 공사비가 높은 건물을 만든 적이 없기 때문에 그만큼 보존이 안 된거죠. DDP는 대한민국 역사상 단위면적당 공사비 금액이 가장 높은 건물이에요. 공을 들여서 만들었고 무엇보다 구조적으로 당대에 최첨단(cutting edge)의 컨디션을 보여준 것이기 때문에 남을 만한 건물이라고 생각해요.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스타일은 아니고 또 제가 할 수 있는 디자인은 아니지만, 괜찮은 건물이라고 생각해요. 

DDP에서 가장 좋아하는 공간은 어디인가요?
캔틸레버보가 크게 나와 있는 브릿지 밑 광장을 가장 좋아해요. 야외 공간인데, 비를 안 맞을 수 있는 지붕이 덮여있는 기분 좋은 공간이에요. 그 정도 스케일의 공간을 느낄 수 있는 곳은 잠수교밖에 없거든요. 어반 스케일의 처마가 있는 공간은 참 좋은 것 같아요. 서울시청 건물도 비슷한 콘셉트로 시작했으나 약하게 삐쭉 나와서 그 아래 공간을 느끼기가 힘들죠. DDP는 그 공간감이 굉장히 좋아요.

비정형 공간이 갖는 가치와 의미 혹은 건축적 의미와 함께 교수님이 생각하는 자하 하디드 건축의 한계에 관해 이야기 해주신다면?
우리나라의 경우 온돌 때문에 1층짜리 건물밖에 없었어요. 비 때문에 지붕이 경사가 져야 하고요. 1층짜리 건물에 지붕을 경사로 만드니까 건물 입면에 곡면이 어마어마하게 많이 들어가게 돼요. 지붕이 입면의 절반을 차지하는 건물이죠. 
그런 건물을 봐오다가 근대에 보일러가 들어오고 2층짜리 철근콘크리트 양옥을 짓고 고층화가 되면서 우리나라 역사상 처음으로 ‘파사드(건물의 정면)’라는 것을 갖게 된 거죠. 벽으로 서 있는 건축을 2000년 동안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하다가, 1970년대 들어서서 처음으로 아파트에서 본 거예요. 우리나라 사람들이 아파트에 대해 ‘성냥갑 같다’는 반감을 가지는 이유가, 우리 유전자에 없던 건물이기 때문이거든요. 그렇다고 우리가 ‘벽의 건축’ 디자인을 잘하지도 못해요. 파사드를 가지는 건물을 가져본 적이 없으니 입면 설계라는 것을 해본 적도 없어요. 그런 것들을 지금 배워가는 단계라고 봐요.
비정형 건물을 통해 우리가 많이 놓친 부분들, 우리가 못 찾아낸 건물들, 추억들을 찾을 수 있는 것 같아요. 초가집 지붕의 곡선이라든지 기와 지붕의 곡선, 처마 공간 등이 우리가 느껴온 전통 건축인데, 비정형 건축을 볼 때 예전에 익히 봐오던 가치를 비슷하게 나마 느낄 수가 있어서 높은 점수를 주는 경향이 있을 것 같아요.
한계라고 한다면 자하 하디드는 디자인 프로세스 자체가 오브제를 만드는 사람이기 때문에, 형태는 재미있게 나오는데 내부 공간은 상가 건물과 똑같아요. 밖에서 봤을 때의 감동이 내부에 가면 ‘내가 도대체 비정형 건물 안에 들어온 것인지, 금강쇼핑센터에 들어온 것인지’ 구별이 안 된다는 거예요. 그 이유는 내부와 외부의 교류가 없어서인데, 형태를 위한 형틀을 다 벽으로 불투명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에요. 그래도 DDP의 경우, 창문을 만들고 타공 철판으로 바깥쪽을 감싼 부분이 아주 최소한으로 있죠. 타공 철판 앞쪽에 가면 바깥 경치가 보이겠지만 조금만 측면에서 보면 다 벽으로 보여요. 그래서 자하 하디드가 언덕을 만들고 추억을 가져왔다고 한 것에는 동의할 수가 없어요. 내부에서 언덕이 하나도 안 보이거든요. 그것이 형태에 집착하는 건축의 한계인 거죠. 공모전 때 당선작을 비판하는 부분이기도 했고요. (웃음) 동대문의 역사성이 없다고도 비판하는데, 무슨 역사성이 있을까 싶지만. (웃음)
내외부의 공간 체험이 없다는 게 아쉬워요. 한옥은 처마가 있고 내가 안방에 앉아 있으면 툇마루도 있고 마당을 볼 수 있고 내부와 외부가 유기적으로 교차하고 중간층의 공간이 있잖아요. 이 건축에는 그런 것이 하나도 없어요. 덩어리만 있는 거예요. 
사진_박해욱(서울디자인재단 제공)
사진_박해욱(서울디자인재단 제공)

서울이라는 도시와 건축의 관계에서 DDP의 존재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DDP가 처음으로 ‘대들었다’라는 생각을 해요. 항상 건축가들은 주변 컨텍스트에 순응하는 건축만을 이야기하잖아요. DDP를 두고도 많은 기성 건축가들이 주변 컨텍스트를 무시하고 어울리지 않는다고 하는데, 지금 건축을 하는 입장에서 보면 왜 항상 옛날 것을 따라 해야 하냐는 거죠. 특히 옛날 것이 가치가 없는 경우라면 말이죠.
우리가 가치 없는 건축을 따라 할 필요는 없는 것 아니냐고 누군가는 말을 해야 하는데, 그걸 자하 하디드가 한번은 한 거예요. 엄청난 비판을 들으면서요. 우리가 대화할 때도 ‘네 말이 맞아’라고 계속 순응만 할 수 없잖아요? ‘나는 생각이 다르다’라는 의견이 있어야 동등한 대화가 되는데 우리나라는 그런 걸 시도한 적이 없었죠. 그런 부분에서는 괜찮다고 생각해요.

어쩌면 자하 하디드가 외국 건축가이다 보니 다른 태도를 가진 건축물이 등장한 것 같아요.
서울시청 건축물이 그런 시도를 했다가 엄청나게 비판을 받았잖아요. 사실 그런 태도를 갖는 게 그 정도로 힘든 거예요. 정말 깜짝 놀랐거든요. 얼마나 집단으로 유걸 선생님을 비판했는지… 그 정도로 우리 사회가 아방가르드적이고 새로운 것에 수용성이 떨어지는 거예요. 그런 면에서 대한민국 사회는 전체주의적이고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 같아요. 건축에 대해서도 마찬가지고요.

이제 DDP가 도시의 풍경으로  자리 잡은 지 5년이 지났습니다. DDP가 주변에 가져온 변화는 무엇이라고 보는지요. 일상의 풍경에 미친 영향에 대해 듣고 싶습니다.
솔직히 우리나라에 지어진 현대건축물 중에 외국 관광객이 일부러 찾아와 사진 찍는 건물은 DDP 하나밖에 없다고 봐요. 그걸로 큰 임팩트가 있다고 생각해요. 우리가 좋다고 이야기하는 건축물 중에 외국 관광객이 찾아오는 건물이 거의 없잖아요. 우리 사회에서 새로운 건축물과 디자인이 사회적 자산 가치를 가질 수 있다는 걸 보여줬다는 점에서 성공적이라 생각해요. 그 외에 부족한 것은 차차 해결해 가야 할 부분인 거죠.

시민들이 DDP를 더 잘 활용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주신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구경할 게 많아요. 저렴한 디자인 용품들이 많고요. 주차장도 좋고 비 오는 날 가서 즐길 유휴 공간도 있고요. 대한민국에서 가장 역동적인 곳이 몇 군데 있는데, 서울의 이태원이나 동대문, 부산에 자갈치 시장도 있죠. 그중에서 역동적이면서 쾌적해서 괜찮은 곳 중 하나예요.
동대문은 특히나 저녁 시간에 활발한 공간이에요. 자정이나 새벽 2시에 가보면 보따리 장사들이 와서 옷을 엄청나게 사가고, 정말 에너지가 엄청나요. 보통 밤 시간대에 활발하게 움직이는 장소는 이태원인데 이태원이 주로 먹고 마시는 F&B로 활발하다면 이곳은 실질 경제가 활발하게 움직이는 유일한 공간이라고 생각해요. 그것이 이 장소성의 독특함이에요. 그런 부분에서 동대문 DDP는 하나의 앵커 역할을 잘하고 있지 않나 생각해요.

DDP가 자하 하디드의 유작이 되었습니다. 말하신 대로 자하 하디드의 한계도 있지만, 어떤 건축적인 의미가 있다고 보는지 궁금해요.
사실 저는 자하 하디드가 프랭크 게리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건축가라고 생각해요. 프랭크 게리와 피터 아이젠만 두 건축가가 기술적으로 개발해 놓은 토대 위에 있는 거죠. 아이젠만이 컴퓨터 에디드 디자인 필드(computer-aided design field, CAD)를 거의 개척하다시피 했고 거기에 프랭크 게리가 컴퓨터 애디드 매뉴팩처링(computer-aided manufacturing)이라는 캐드캠까지 완성해 비정형 건축을 현대식으로 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면서 자하 하디드는 그 위에 우아하게 꽃을 피웠다고 생각해요. 확실히 자하 하디드의 곡선과 프랭크 게리의 곡선은 느낌이 달라요. 본인만의 색깔을 꽃피웠다고 생각하고 그것이 자하 하디드 건축의 특징이죠. 

DDP에서 다루었으면 하는 전시나 콘텐츠로 어떤 게 있는지 듣고 싶습니다. 
‘아트 바젤’ 같은 대규모 미술 행사가 열렸으면 좋겠어요. 홍콩 바젤을 가보면 그곳 컨벤션홀이 DDP보다 못한 것 같아요. 그런데도 그런 공간에 도시 전체를 들썩거리게 할만한 아트 이벤트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 부러웠어요. 전 세계에서 내로라 하는 아티스트들, 갤러리들이 모이죠. 특히 우리나라 경우에는 아트에 대해서 세금을 안 내고, 배송도 잘되고 세금도 투명하고 그래서 아트 산업을 일으키기에 상당히 좋은 조건이에요.
동대문 주변 상권의 향으로 DDP를 너무 패션 위주로 생각하는 게 아닌가 싶어요. 패션에서 더 밑으로 내려가 디자인과 아트라는 기초가 있을 때 훨씬 더 가치가 있어요. 마치 순수과학이 있을 때 엔지니어링이 빛을 발하는 것처럼요. 우리는 지금 너무 엔지니어링에만 포커스가 맞춰져 있다는 생각을 해요. 아트 바젤 같은 행사를 유치하면 엄청난 임팩트가 있을 것 같아요. 키아프 같은 행사도 코엑스에서 하는 것보다 DDP가 더 낫지 않을까 싶어요. 코엑스도 물론 좋은 공간이지만 역시나 DDP는 장소성이 훌륭한 곳이니까요.
DDP에 가면은 구멍가게에서 팔 것 같은 물건도 많고 너무 소상공인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 같아 안타까워요. 예를 들어 보통 아레나라고 하면 공연이 막 돌아가야 하잖아요? 아레나에 월드클래스의 아티스트가 와서 공연하면 그곳이 빛이 나는 거죠. 런던 오투(O2) 아레나 같은 곳을 보면 유투(U2)부터 레이디 가가까지 역대 공연한 아티스트가 가득 붙어있어요. DDP 정도 클래스의 건축이라면 월드 클래스의 아티스트라든지 패션쇼나 월드 프리미엄, 하다못해 ‹어벤져스: 엔드 게임› 시사회 같은 이벤트를 많이 유치하면 건물이 더 빛날 것 같아요. 쉽지 않겠지만 여러 행사를 연결해서  ‘와, 저기는 꼭 한번 가보고 싶다’ 그런 큰 판을 만드는 게 중요할 것 같아요. OHS

진행 임진영
TOP LIST
SPECIAL OPENHOUSE Seoul BAG X 2개 3월 24일 11:59PM
SPECIAL OPENHOUSE Seoul BAG + BADGE SET 3월 24일 11:59PM
SPECIAL OPENHOUSE Seoul BAG 3월 24일 11:59PM
SPECIAL OPENHOUSE Seoul BADGE 3월 24일 11:59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밤│DDP의 유령, DDP 도슨트 3월 24일 8: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낮│DDP를 둘러싸고 있는 시층과 다국적성을 찾아서, 김시덕 3월 24일 4: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밤│DDP 천문대 (어린이 프로그램), DDP 도슨트+서울시립과학관 3월 23일 8: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낮│DDP의 안과 밖, 이정훈 3월 23일 4: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밤│천문: DDP에서 바라본 밤하늘, DDP 도슨트+서울시립과학관 3월 22일 8: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