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오픈하우스서울 2020 예고편 ㅣ집의 공간

청운동주택, 김현대+Tectonics Lab 사진_신경섭
캐빈하우스, 김창균 사진_나르실리온
가회동주택 및 장 푸르베 하우스, 최욱 사진_남궁선

오픈하우스서울 x 기린그림


‘발코니 확장형’이라는 말은 한국의 대표적인 주거 유형인 아파트의 지향점을 보여줍니다. 외기와 면한 발코니를 실내화하면서 따뜻하고 편리한 내부 공간 위주의 집은 4계절의 더위와 추위를 고려한 방법이기도 하고, 거실의 면적을 늘리는 일이기도 합니다. 면적을 늘리고 단열에 유리한 주거 환경은 관리와 기능에 최적화된 밀폐된 실내를 만듭니다. 하지만 코로나-19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안전하고 편안한 이 집의 공간에 대해 물음을 던지게 됩니다. 

오픈하우스의 첫번째 스페셜 테마인 ‘집의 공간’은 실내 환경에 최적화된 한국 상황에서 다시 생각해보는 집의 요소들을 살펴봅니다. 그동안 방치되었거나, 주목하지 않았으나 다시 생각하게 된 집의 공간과 그 가치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마당, 옥상, 열린 담, 안과 밖의 경계, 공동의 공간뿐만 아니라, 자연과 어우러진 조선의 별서, 집과 도시의 중간 주거까지, 집에 대한 생각을 나누고자 합니다. 
 

임진영(오픈하우스서울 대표) 
 

온라인 프로그램 
영상_하늘과 만나는 마당, 옥상 ㅣ 부암동 주택_ 최두남 
영상_열린 담 ㅣ 케이브하우스_김광수 
영상_공동의 거실 ㅣ 유일주택_최하영, 박창현 
영상_한옥 리노베이션 ㅣ 가회동 한옥 및 장푸르베 하우스_최욱 
영상_안과 밖을 확장하는 반외부공간 ㅣ 새정이마을 주택_정재헌 
영상_은퇴자의 재택근무 ㅣ 청운동 주택_김현대 
영상_흐르는 마당 ㅣ G하우스_서승모 
영상_동네의 접점 ㅣ 해방촌 해방구_임태병, 스튜디오빅미니 
영상_정원과 별서 ㅣ 반계 윤웅렬 별서_김봉렬 
영상_일상과 비일상의 공존 ㅣ 캐빈하우스_김창균 

 
현장 프로그램 (10.19일 예약 오픈) 
11월 8일  오전 11시        서드플레이스 홍은2_박창현 
11월 8일  오후   1시        서드플레이스 홍은2_박창현 
11월 8일  오전   3시        서드플레이스 홍은2_박창현 


 


기린그림

김종신 감독, 정다운 감독이 설립한 기린그림은 건축을 주제로 다큐멘터리, 전시 영상, TV 프로그램, 아카이브 등의 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건축 영상/영화 제작 스튜디오입니다. 인간의 삶을 담는 공간으로서의 건축에 대한 애정으로 ‘공간과 사람’을 영상으로 담는 작업을 하고 있으며, <이타미준의 바다>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경계인의 삶을 살아간 재일교포 건축가를 통해 건축과 삶에 대한 잔잔한 감동을 안긴 바 있습니다.

“아키토피아의 실험”, <한국현대건축의 단면들> 기록 영상, 국립현대미술관 건축가 김태수 전시영상을 제작했으며, 20회 전주국제영화제(CGV아트하우스 - 배급지원상)을 수상한 <이타미준의 바다> 제작했습니다. <파주출판도시:파주, 책, 도시>로 2020년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한국경쟁부문에 올랐습니다.

김종신은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컬리지에서 영화연출을 전공하였다. 기린그림의 대표로 2008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작업을 시작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건축관의 이타미 준, 김종성, 김태수 전시영상, 황두진, 김찬중, 가온건축의 건축영상, 방송 다큐멘터리 ‘한국 현대건축의 오늘’ 등을 만들었다.
정다운은 중앙대학교 영화학과, 케임브리지대학교 건축대학원 ‘건축과 영상’ 코스를 졸업했다. 중앙대학교 영화학과에서 ‘공간연출’을, 서울시립대, 홍익대학교 건축대학원에서 ‘건축과 미장센’을 강의하였다. 건축 영화, 영상 제작사인 기린그림 대표로 2018년 건축 다큐멘터리 ‘이타미 준의 바다’를 개봉했으며, <위대한 계약:파주,책,도시> 개봉을 앞두고 있다. 
 
사진_웹진 REVERSE 제공
TOP LIST
OPENHOUSE 마곡문화관, 안창모+최춘웅 양천수리조합 마곡문화관으로 거듭난 구 양천수리조합 내 배수펌프장은 1928년 6월 30일 준공되어 현존하는 근대 산업시설물 중 유일한 농업관련 시설물로서 2007년 11월 등록문화재 제363호로 등록되었다. 양천수리조합은 1923년 설립된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 마곡리, 가양리, 등촌리, 염창리, 양서면 내발산리, 송정리, 방화리 내 총 595정보를 몽리구역으로 하는 수리조합으로, 총 길이 1680칸의 방수제를 축조하여 구역을 보호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그 기능을 계속 유지했으나, 1980년대 이후 주변 지역이 도시화하면서 1991년 용도 폐지되었다. 건축면적은 350㎡이며 22.5mx15.5m 크기의 콘크리트 기단부 위에 왕대공 트러스로 지붕이 구성된 목조 건축물이 보존 및 복원되었다. 배수장 내부에 수로가 관통하고 각 수로에 펌프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1993년 소유 기관인 한국농촌공사가 건축물을 임대하여 공장으로 활용되면서 기단부 부분이 복개되었고, 배수로 측 수로를 막고 있던 철재갑문들도 모두 사라졌다. 수직적 영역의 분리 건축적 복원과 더불어 배수펌프장의 농업 기반시설로서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을 본 과제의 중요한 목적으로 정했다. 지상 위로 드러나 있는 목조 구조체가 주변 지역을 향한 상징성과 실용적인 시설보호의 기능성을 위한 건축물이었다면, 지하 구조체는 배수펌프장의 실체로서 주변 지역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해 복원되어야 할 역사의 흔적이라고 판단했다. 지하 구조체의 보존 상태는 물론 존재 여부에 대한 확증이 없었으나 문헌자료들에 의존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사라진 지하 공간을 다시 발굴하고 물의 공간으로 회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목조 구조체가 중심이 되는 역사적 경관을 최대한 유지하는 동시에 새로운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었다. 또한, 배수펌프장의 건축과 주변 조경을 다양한 시점에서 보고 경험할 수 있는 입체적 공간 조성을 가능하게 했다.  계획의 기본원칙으로 배수펌프장을 3개의 차별화된 수직적 영역으로 분리했다. 상부 목조건축물은 복원 영역으로 문화재로서 충실한 복원을 우선시하고, 기단부는 증축영역으로 자유롭게 변형했으며, 마지막으로 지하 공간은 발굴 영역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배수펌프장의 원도면과 기록 사진에 의거하여 지하에 숨어 있는 수로 및 콘크리트 지하 구조체를 발굴하고 내부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신축 당시 도면을 근거로 기본계획을 세운 후 정확한 상황 파악을 위한 발굴 작업 후 현황에 맞추어 계획을 보완했다.  지하 배수로는 문화재에 포함되지 않지만, 배수펌프장의 정체성 유지를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하 공간을 최대한 발굴하고 활용하는 것은 지상 구조체를 복원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방문객들은 물의 통로를 따라 배수펌프장을 경험하고 거친 표면의 물성과 천창으로 유입되는 빛의 조화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글, 사진 최춘웅 마곡문화관 개관 화-일 10:00 ~ 17:30 휴관 월요일 입장료 무료 문의 02-2104-9716 웹사이트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lookaround/botanicGarden_03.do
OPENHOUSE 대양역사관, 스티븐 홀+이인호 10월 27일 2:00PM
SPECIAL 호암미술관 전통정원 ‘희원(熙園)’,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10월 27일 1:00PM
OPENHOUSE 그래픽, 김종유(오온건축사사무소) 10월 27일 11:00AM
OPENHOUSE 리브랩(LibLab), 프로덕티브 주식회사+문도호제+스튜디오 커먼굿 10월 27일 10:00AM
OPENHOUSE 기지 박서보주택, 조병수(BCHO Partners) 10월 27일 10:00AM
OPENSTUDIO 기록으로서의 창작(Creator as Archivist), 황두진(황두진건축사사무소)+김종신(기린그림) 10월 26일 7:00PM
OPENSTUDIO ㈜조성욱건축사사무소, 조성욱 10월 26일 4:00PM
OPENHOUSE 엑셈 마곡 연구소,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10월 26일 4: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