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청원초등학교 체육관

김한중, 이혜서

2022년 10월 30일 11:00AM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506

작은 중정에서 체육관을 증축하다
서울의 북쪽 끝, 도봉산 자락의 청원학원 캠퍼스는 두 개의 운동장을 중심으로 초등학교와 여자고등학교, 중학교와 남자고등학교로 구성되어 있다. 두 운동장 중 규모가 작은 쪽이 청원초등학교의 외부공간으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 운동장은 남측과 서측으로는 초등학교 교사동, 북측으론 여고 교사동, 동측으로는 학원 전체의 급식실로 둘러싸인 중정이다. 이 작은 운동장의 편안한 공간감과 그 쓰임을 유지하며 새로운 공간을 증축하기 위해서는 체육관이라는 기능과 모순되게도 작은 집이 필요했다. 
새롭게 중정의 일부를 차지하게 될 집은 작은 아이들에게 위압적이지 않은 만만함이 필요했으며 동생들에게 운동장을 양보한 언니, 누나의 공간에 미치는 환경적 변화도 최소화되어야 했다. 한편으론 5개 층의 교사동에서 시시때때로 내려다보이는 중정은 풍경으로써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학생들의 일상에서 새롭게 추가되어야 할 풍경은 더 푸르르고 보다 즐거운 것일 필요가 있었고, 자연으로서 정원과 새로운 입면으로서 지붕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게 했다. 

-1.8m
체육관의 높은 층고를 고려할 때, 새로운 공간의 높이는 기존의 급식실과 비슷했고 이는 중정의 공간 높이는 그대로인 상태에서 한쪽 변이 20m 줄어드는 상황을 의미했다. 작은 마당에서 올려다볼 3층 규모의 건물은 더더군다나 시선의 높이가 어른에 비해 낮은 아이들에게 위압적인 풍경으로 다가올 수 있었다. 우리는 우선 건물의 시작점을 -1.8m 낮추어 큰 건물의 1/3을 땅속에 묻었다. 어른의 키만큼 낮아진 체육관의 바닥은 위요되어 보호받는 공간감을 만드는 동시에, 건물 네 면의 창을 통해 외부와의 공간적 연속성을 확보한다. 
바닥이 낮아진 만큼 거대하게 경사진 진입 마당은 너른 폭 그대로 실내 공간으로 이어지며 쉬 드나들 수 있는 옅은 경계를 만든다. 실내에서 경사진 마당이 만드는 풍경은 더욱 입체적이고 풍성한 자연으로 다가온다. 한편으로 운동장에서 바라보는 체육관은 낮은 일층 집 높이의 벽과 살짝 띄워진 알록달록한 지붕을 갖는 작은 집으로 느껴진다. 아치, 치장, 내력 벽돌쌓기의 구축법을 솔직히 드러낸 이 벽은 표면에 다양한 패턴을 만들며 자칫 작은 재료가 만들어내는 거대한 인상을 피한다.

3개의 집으로 둘러싸인 마당
새로운 체육관의 공간은 각각의 재료를 갖는 세 개의 집이 모여 디귿자 마당을 만들고, 그 마당을 지붕으로 간단히 덮는 구성을 하고 있다. 방풍 구조의 출입구와 실내 벤치, 방송설비 공간과 같은 기능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벽돌집은 운동장과 새로운 마당 사이를 구획하고, 화장실을 갖는 연분홍 화강암 집은 작은 골목을 만들며 급식동과 경계를 만든다. 넓적하게 낮은 짙은 색 화강암 집은 여고와 이 마당 사이에 놓여, 마당 쪽에서는 체육 창고의 기능을, 여고 쪽에서는 진입로와 연결된 작은 테라스 공간을 만든다. 마당으로서 체육관 공간은 자연스럽게 바깥과 이어지며 거대한 빈 공간이 아닌 작은 집들로 둘러싸인 작은 외부공간으로 느껴진다.
마당을 보호하는 지붕은 광장의 천막과 같이 부유해야 했기에, 콘크리트 기둥에서 작은 철골 기둥으로 지면과의 연결을 감추었고, 3개의 집과 지붕이 만들어내는 경계는 투명한 유리로 간단히 메꿨다. 전면으로는 거대한 슬라이딩 도어를 두어 경사진 정원을 통해 바깥에서 안으로 공간과 동선이 이어질 수 있도록 했고, 운동장 측 창에서는 푸른 하늘, 여고 측 창에서는 언니, 누나들의 생활 모습, 급식실 측 창에서는 캠퍼스 골목의 분주한 움직임이 보이도록 했다. 마당을 덮은 지붕에 의해 자연스레 안팎에 걸친 집들은 실내와 실외의 공간감을 더욱 연속적인 것으로 느끼게 만든다.

그럭저럭 만만한 집
우리는 새롭게 지어지는 이 체육관이 아이들에게 단순히 신체활동의 배경으로, 놀이를 위한 거대한 장난감으로 느껴지기를 바랐다. 경사진 마당을 달려 그대로 쑥 들어가는 체육관의 공간을 통해 아이들의 활동은 제약과 전환 없이 그대로 안으로 연결된다. 운동장 쪽 벽돌에 숨어있는 작은 공간을 통해 놀며 쉬며 건물과 아이들이 만나고 친해진다. 교사동 안에서 바라보일 지붕 또한 알록달록한 색채로 아이들을 향해 환영과 축제의 제스처를 취한다. 그럭저럭 가지고 놀 만하고 만만한 공간들을 통해 아이들의 일상에서 자연스레 한 배경으로 자리 잡는 공간들을 상상한다.

김한중 사진 노경

사진_그라운드아키텍츠
김한중(그라운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2007.2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학사
2009.2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석사
2012.5~2015.5 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 근무
2015.6~2017.6 피그건축사사무소 소장
2017.6~현재 그라운드아키텍츠 건축사사무소 소장
2017.9~현재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강의
사진_건축사사무소눅
이혜서(건축사사무소 눅)
2010.02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과 학사 
2009.12~2016.11 (주)건축사사무소 원오원아키텍츠 근무
2017.04~현재 건축사사무소 눅 대표
2020~2022 서울특별시 종로구 마을건축가
용도: 교육연구시설 (체육관)
대지면적: 42,005.20㎡
건축면적: 726.33㎡
연면적: 726.33㎡
규모: 지상 1층
구조: 철근콘크리트, 철골구조
설계 기간: 2020.3~2020.10
준공 일자: 2021.10.19.
시공사: 동양도시개발 주식회사
건축주: 학교법인 청원학원
Map 서울특별시 노원구 한글비석로 506
건축가 김한중, 이혜서
건축주 학교법인 청원학원
일시 2022년 10월 30일 11:00AM
집합 장소 학교 정문 앞
TOP LIST
Report 고석공간, 김수근 오픈하우스 진행: 안창모 <고석공간>은 건축가 김수근이 그의 누나인 김순자 여사와 매형 박고석 화백을 위해 설계한 집, 그가 설계한 마지막 주택입니다. 안창모 교수님과 함께 김수근의 건축 유산을 제대로 돌아보고, 예술적 내력이 오늘의 집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야기함으로써, <오래된 집>의 가치와 의미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Report 스튜디오 히치 오픈스튜디오, 박희찬(스튜디오 히치)
Report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 민현준(홍익대학교)+(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오픈하우스 진행: 민현준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는 산악인들의 플랫폼이자 도전정신을 기를 수 있는 청소년들의 교육 공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결합하여 故 박영석 대장을 기념하고 그의 도전정신을 보여주고자 하는 메인 홀의 공간, 외적으로는 강한 산의 형상이면서, 동시에 내적으로는 청소년들과 산악인들의 가변적이고 가벼운 텐트 같은 아지트가 되기 바랬던 건축가의 의도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Report 도예가의 스튜디오 하우스 '란트샤프트', 심근영 (아키텍츠 601) 오픈하우스 진행: 김선제, 심근영 란트샤프트는 도예작가이자 디자이너 부부인 건축주의 작업공간과 집이 때론 독립적으로 때론 함께 호흡하는 흐름으로 이어져있는 곳입니다. 김선제, 심근영 건축가와 함께 예술가의 삶을 담은 주택을 만나보았습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
Report 콤포트 서울, 문주호(경계없는작업실) 오픈하우스 진행: 문주호 기존 소월길 접근로들과 같이 물리적 단차를 극복하는 단순한 장치의 성격을 넘어, 누구에게나 열린 새로운 길이 되어 사람들이 모이고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작동하는 콤포트 서울을 문주호 건축가의 설명과 함께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경춘선 숲길,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오픈하우스 진행: 이진형(조경가, 조경설계 서안) 정영선 선생님이 가장 애정을 갖는 경춘선 숲길은 사유하고 산책하는 도심의 산책길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진형 조경가와 함께 걸으며 어떻게 숲길을 만들어내고자 했는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Report 건축가 김중업의 사직동 주택, 김중업 1983년에 지어졌으며 1980년대 주택 설계 특징을 잘 담고 있는 김중업의 사직동 주택의 문을 다시 열었습니다. 2021년 오픈하우스 행사를 통해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으며 보존을 결정하게 된 사직동 주택의 활용 방향성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 보았습니다.
Report 어드저스터블 스튜디오(Adjustable Studio), 한지영, 황수용(LIFE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황수용 부암동의 어드저스터블 스튜디오는 건축가를 위한 작업공간 외에도 지역의 일원으로 사회의 접점이 될 수 있는 공간을 같이 담으려는 건축가의 마음이 깃들어 있습니다. 황수용 건축가와 함께 부암동 속에서 지역과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목표가 담긴 공간을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선유도공원,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오픈하우스 진행: 배정한(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선유도는 정영선 선생님의 대표작으로 꼽힙니다. 이곳에는 산업 유산을 재구성한 건축가 조성룡의 작업과 함께 시간에 따라 공간과 경관의 변화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제안이 담겨 있습니다. 2002년 문을 연 후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선유도 공원을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님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산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