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과 공존하는 특수학교

현장 프로그램 ㅣ 밀알학교

유걸

2021년 11월 6일 10:00AM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일원로 90
사진_김용관

오픈하우스 진행 김정임 
* 이 프로그램은 밀알학교 설계에 참여한 김정임 (서로아키텍츠) 소장님의 안내로 진행됩니다.

 

밀알학교의 모든 공간은 아트리움(ATRIUM)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학교의 모든 활동이 지층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공간의 제약으로 4층까지 올려야 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외부(학교의 서쪽)에서 2층으로 직접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단 2층으로 출입한 경우 3층의 높이만 극복하면 되도록 하고 2층부터 3층과 4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각층에서 그 방향을 변화시켜 3층을 올라가는 부담을 심리적으로 축소하려 하였다. 

또 각층의 모든 교실은 복도로 열려있고 이 복도는 아트리움 속에 있게 되어 각층이 한 공간 속에서 연결되게 하고, 또한 1층부터 시작되는 램프(RAMP)가 아트리움 공간을 형성하면서 4층까지 연결되게 하여 학교시설의 모든 공간이 하나로 묶이게 하였다. 신체장애인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어 있다. 

한국의 학교 환경은 시설 면에서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극히 열악한 상태라 생각한다. 각 교실은 고립이 된 채 학생들이 학급을 넘어 서로 교제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극히 빈곤한 상태이다. 학생들 사이의 교제 범위를 넓히고 또 학생, 선생의 관계도 교실 단위로 폐쇄된 것을 깨뜨리어 학생들의 공동체 생활을 경험하고 교육받을 수 있고 또 창의적으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 아트리움은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교실동의 외부 마감재를 아트리움으로 끌어들이고 동서 면이 넓은 유리 벽과 칼월(KALWALL) 지붕을 통하여 많은 주광이 들어오게 했다. 이를 통해 실내이면서도 외부와 같은 환경이 만들어 실내가 주는 활동 제약이 없도록 하고 특히 신체적인 움직임이 많이 필요한 자폐 아동들이 전천후 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장애아동들뿐만 아니라 이 아동들의 부모, 친가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한 많은 일반인의 진·출입도 여유 있게 해소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글 유걸 사진 김용관, 박영채, 김재경 



밀알학교
miral.sc.kr/index.do

설계연도 및 준공연도 준공 1995년 / 1차 증축 2002년 / 2차 증축 2011년
 

사진_정멜멜
유걸
1940년에 광주에서 태어났다. 1963년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무애건축과 김수근건축연구소에서 실무를 쌓았다. 1967년에 유-아틀리에(U-ATLIER)를 설립하고 〈성북동 K씨 주택〉(1968), 〈정릉 주택〉(1970), 〈정동 제일교회〉(1970) 등 다수의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1970년 12월 미국 덴버(Denver)로 건너간 그는 ‘R.N.L. Architects & Engineers’에서 프로젝트 디자이너로 활동한 후 1979년에 유걸건축연구소(K.Y.Architects)를 개소했다. 1985년부터 진행됐던 〈1988 올림픽 선수·기자촌〉의 설계·감리를 계기로 국내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서세옥 주택〉(1986), 〈강변교회〉(1992-1998), 〈고속철도 천안 종합역〉(1993-2004), 〈밀알학교〉(1995-2008), 〈벧엘교회〉(1999-2005) 등을 발표했고, 2002년부터 2005년까지 경희대학교 건축전문대학교에서 후학을 지도했다. 2006년 ‘아이아크’(INTER-ARCHITECTS)로 사무소 이름을 새롭게 명명하고 파트너십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했다. 이후 〈배재대학교 프로젝트〉(2002-2010), 〈대덕교회〉(2003-2007), 〈서울시청사〉(2005-2012), 〈트라이보울〉(2007-2010), 〈아산정책연구원〉(2008-2009), 〈다음스페이스 닷 투〉(2012-2013), 〈서울대학교 예술계 복합교육연구동〉(2012-2015) 등을 발표했다. 김수근 건축상과 한국건축가협회상, 미국건축가협회 명예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아이아크의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Map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일원로 90
건축가 유걸
일시 2021년 11월 6일 10:00AM
위치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일원로 90
TOP LIST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밤│DDP의 유령, DDP 도슨트 3월 24일 8: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낮│DDP를 둘러싸고 있는 시층과 다국적성을 찾아서, 김시덕 3월 24일 4: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밤│DDP 천문대 (어린이 프로그램), DDP 도슨트+서울시립과학관 3월 23일 8: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낮│DDP의 안과 밖, 이정훈 3월 23일 4: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밤│천문: DDP에서 바라본 밤하늘, DDP 도슨트+서울시립과학관 3월 22일 8: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밤│DDP의 유령, 정모 3월 21일 8:00PM
DDP 10주년 스페셜 투어 DDP의 낮과 밤, 서울디자인재단+오픈하우스서울 자하 하디드가 내세운 DDP의 디자인 콘셉트는 ‘환유의 풍경’이다. 자하 하디드는 복잡하게 얽힌 동대문 일대의 도시 조직 흐름을 하나로 통합하고 공원과 건축물이 일체화된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 내고자 했다. 거대하고 유려한 곡면의 건축물은 주변의 흐름을 끌어들이는 8개의 길이 엮어내고, 공원과 일체화해 다양한 높이에서 땅의 흐름을 잇는 역동적인 공간을 만들어 낸다. DDP 10주년을 기념해 서울디자인재단은 오픈하우스서울과 함께 스페셜 프로그램 <DDP의 낮과 밤>을 선보인다. 어느새 우리의 일상으로 자리 잡은 DDP의 풍경을 다른 시간대에 낯설게 봄으로써 DDP가 주변 도시 조직과 어떻게 만나고 있는지, 역사적 층위가 어떻게 엮여 있는지, 또 역동적인 공간이 어떤 풍경과 인상을 만들어 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낮과 밤’이라는 시간 설정은 꺼지지 않는 동대문 일대의 도시 야경에 대한 그리움이자 새로운 활력에 대한 가능성을 모색한다. 낮 시간의 일상을 낯설게 보고, 또 고요하고 적막한 밤 시간대의 공간 탐험을 통해 DDP 고유의 공간감을 누리는 프로그램으로 DDP의 건축적 의미도 재조명해 본다. 오랜 시층으로 쌓인 DDP 주변의 역사적 내력과 DDP 내부의 유적을 상세히 들여다보는 시간도 함께 한다. DDP의 여러 갈래 길이 도시 조직으로 어떻게 확장되는지, 그 안에 600여 년의 시간이 어떻게 쌓여 있는지 중첩된 지도를 통해 안내할 예정이다. 무엇보다 서울시립과학관과 함께 DDP의 달과 별을 관측하는 천문 프로그램을 통해 도시의 밤을 누린다. 글_OHS DAY 1 우리가 몰랐던 DDP의 풍경 (3월 21일, 목) 낮 4시┃DDP의 건축 실현, 정모 건축가 밤 8시┃DDP의 유령, 정모 건축가   DAY 2 사라진 시간의 조각 잇기 (3월 22일, 금) 낮 4시┃DDP 주변의 유구 탐색, 우동선 한예종 교수 밤 8시┃천문 : DDP에서 바라본 밤하늘, DDP 도슨트+서울시립과학관   DAY 3 DDP에 뜬 달과 별 (3월 23일, 토) 낮 4시┃DDP의 안과 밖, 이정훈 건축가 밤 8시┃DDP 천문대 (어린이 프로그램), DDP 도슨트+서울시립과학관   DAY 4 DDP를 둘러싼 시간의 켜 (3월 24일, 일) 낮 4시┃DDP를 둘러싸고 있는 시층과 다국적성을 찾아서, 김시덕 도시문헌학자 밤 8시┃DDP의 유령, DDP 도슨트   [참가 신청]  오픈하우스서울 웹사이트에서 3월 17일 오후 2시부터  회원 가입 및 인증 필수  동시 접속으로 빠르게 마감되므로 미리 회원 가입과 인증, 결제를 준비해주시기 바랍니다. 모든 행사는 무료이며, 노쇼 방지를 위해 예약금 결제, 참가 후 결제 취소로 환불됩니다.  예약금은 신용카드로 결제 가능합니다. 참가 신청에 대한 자세한 안내는 이곳에서 확인 바랍니다.      [유의사항 안내]  모든 프로그램은 기록과 홍보를 위해 사진촬영이 진행됩니다.  프로그램 참가 신청은 사진 촬영에 대한 동의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어린이 프로그램은 보호자의 예약 아래 보호자 1명+초등학생 1명을 대상으로 하며, 보호자를 동반해야 참여 가능합니다.  DAY 2 <천문: DDP에서 바라본 밤하늘>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며 미취학 아동 1명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관측에 보호자와 함께 미취학 아동이 참여가능하나 성인 대상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서울디자인재단 www.ddp.or.kr 오픈하우스서울 ohseoul.org/  
OPENHOUSE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 민현준(홍익대학교)+(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10월 29일 2:00PM
SPECIAL 서울식물원_온실, 김찬중 서울 강서구 마곡 도시개발지구에 조성된 서울식물원은 식물원과 공원이 결합한 새로운 개념이 도시형 식물원이다. 504,000㎡의 면적에 주제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이 펼쳐져 있다. 이 중 주제원이 식물원, 나머지 셋은 공원 개념으로 설계되었다. 더_시스템 랩에서 디자인한 온실과 식물문화센터는 주제원에 자리하고 있다. 직경 100m의 온실은 전형적인 유리 돔 대신 가운데가 오목한 그릇 형태를 띠고 있다. 일반적인 온실의 경우 천장이 높은 중앙부에 키가 크고 눈에 띄는 식물을 주로 배치해 사용자의 경험 또한 중심으로 집중된다. 가운데가 오목한 경우 온실의 가장자리가 천장의 가장 높은 부분이 되어 시각적으로 개방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다양한 식물들을 주인공으로 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더 풍부한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다. 오목한 지붕으로 자연 집수되는 우수는 정화하여 조경 용수로 재활용하도록 하였다.  건물의 주요 구조부는 오목한 단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테두리가 바깥으로 확장되면서 자연스레 꽃과 같은 형상의 기본 구조 프레임이 확정되었다.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RC조로 구상하였으나 시공성과 유지 관리 이슈를 고려해, 실시설계 단계에서 철골조로 변경되었다. 식물 세포 형상의 구조로 된 지붕은 ETFE(에틸렌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로 계획하였다. 특수소재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유리보다 20% 이상 높고 내오염성이 뛰어나며,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다.  온실은 기후환경을 기준으로 지중해관과 열대관, 2개 구역으로 나뉜다. 외부 산책로로부터 원형의 둘레를 따라 온실로 입장하게 되면, 바닥 레벨의 산책로를 거닐며 다양한 식물의 전시를 관람하며 중앙의 코어와 상층부의 스카이워크를 통해 더 가까운 거리에서 식물을 대면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글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사진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SH공사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thesystemlab.com 서울식물원 개관 화-일 09:30~18:00(17:00 매표 마감) 휴관 월요일 입장료 대인 5000원, 청소년 3000원, 소인 2000원 ※ 입장료 적용 구간 : 온실 및 주제정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은 상시 무료 개방) 문의 02-2104-9716 웹사이트 botanicpark.seoul.go.kr/front/main.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