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TRU 건축사사무소

조성익

2022년 11월 2일 4:00PM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15길 34, 2층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사진_TRU 건축사사무소
사진_TRU 건축사사무소
사진_TRU 건축사사무소
사진_TRU 건축사사무소

TRU 건축사사무소에는 익숙하지만 낯선 수납장을 볼 수 있다. 식당에서 음식을 담을 때 쓰는 스테인레스 반찬통, '바트'다. 칼국수집 테이블에 꽂힌 깍두기통으로도 낮익은 이 통은 사무실 곳곳에서 수납장으로 쓰인다. 책상 한가운데에 홈을 만들어 바트를 끼우고 연필, 줄자, 메모지 등 사무용품을 넣고 꺼내 쓰거나, 화분처럼 식물을 키우거나 간식을 담는 용기로도 쓴다. 개인물품을 담아두다가 자리를 이동할 때는 이 바트만 통째로 챙겨 옮기면 된다. 규격품이라 활용도도 높다.

TRU 건축사사무소는 '소소한 재미를 모아 함께 일하는 공간을 만든다'라는 콘셉트로 꾸며졌다. 레고 장난감으로 만든 메모판, 달이 뜨는 돔 천장, 모형을 감상하는 볼록거울 등 주변에서 흔히 보는 일상의 물건을 사무실의 필수품으로 재치 있게 돌려쓴다. 오픈스튜디오는 TRU의 '소소한 재미즘'뿐만 아니라 건축가 조성익의 건축 이야기를 듣는 자리로 마련된다.

조성익
조성익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는 서울대학교, 예일대학교 대학원를 거쳐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에서 박사를 받았다. 2010년 TRU 건축사사무소를 열고 건축의 창의적 기획 및 실행에 관한 실무와 연구를 병행하고 있다. 진천 벚꽃집, 운중동 이지하우스, 시몬느 플레그십스토어를 설계했으며, 건축 설계를 통해 발견한 아이디어를 확장하여 건물이 모여서 만드는 도시 경관에 관한 연구를 함께하고 있다.
https://www.trugroup.co.kr

Map서울시 마포구 동교로 15길 34, 2층
건축가조성익
일시2022년 11월 2일 4:00PM
집합 장소건물 입구
TOP LIST
Report 아우르다 하우스, 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오픈하우스 진행 : 정우석 화성의 경계에 위치한 아우르다 하우스는 1층의 중정을 중심으로 나누어진 영역과 공간들이 건축주의 감각 있는 취향으로 채워져 있어 마치 여러 공간을 체험하는 듯합니다.   
Report TRU 건축사사무소, 조성익 TRU 건축사사무소는 '소소한 재미를 모아 함께 일하는 공간을 만든다'라는 콘셉트로 꾸며졌습니다. TRU사무소의 래빗홀과 사무 공간을 둘러보고, 조성익 건축가의 작업 과정과 건축 이야기, 나만의 작은 공간을 꾸미는 법 등의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Report 판교주택, 민우식(민워크샵 건축사사무소) 집의 구석구석에 자연광이 드리우는 판교 주택은 건축가와 건축주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함을 잘 보여주었습니다. 오픈하우스에서 적극적으로 소중한 경험담을 나눠주신 건축주와 함께 해 더 풍성한 시간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Report 양천근린공원 책쉼터, 김정임(서로아키텍츠) 공공건축의 제한된 환경과 조건에서 가지고 가야 하는 중심은 놓치지 않고, 필요한 부분을 조율해 가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평일임에도 많은 시민들이 양천근린공원 책쉼터를 이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며, 김정임 건축가의 보람도 느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코어건축사사무소, 유종수 + 김빈 유종수, 김빈 두 건축가와 함께 코어건축사사무소가 진행한 다양한 분야의 크고 작은 프로젝트는 물론, 재료와 구축 방식, 변화하는 사회 구조에 대응하는 새로운 유형 찾기에 대한 생각 등을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신아키텍츠, 신호섭 + 신경미 신아키텍츠의 공간 옥인옥은 업무와 주거의 조화를 이룬 공간입니다. 신호섭, 신경미 두 건축가의 다양한 작업과 생각을 나눌 수 있는 오픈스튜디오였습니다. 
Report 디아건축사사무소, 정현아 정현아 건축가의 소개로 디아건축의 갤러리와 사무공간을 돌아보았습니다. 공간체계, 재료, 공법, 에너지효율 등 여러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현아 건축가의 사유와 작업을 나누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팩토리얼 성수,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신재연 책임 성수동에서 유동인구가 제일 많은 연무장길 초입의 새로운 얼굴인 팩토리얼 성수는 무채색의 콘크리트 띠로 이루어진 모습으로 눈길을 끌지만, 지하 1층을 입주사들의 사무와 휴식을 위한 공용 공간으로 과감히 활용한 것도 인상적인 공간이었습니다.
Report 사무소효자, 서승모 건축가 서승모는 사람들의 움직임, 행위, 감각의 다양한 결과물로 건축의 물리적 구축을 끌어냅니다. 건축 공간에 대한 전통적인 관점과 태도를 분석하고 이를 반영하는, 감각과 경험이 담긴 그의 건축 이야기를 함께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