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구 질병관리본부(현 서울혁신파크), 유현준 1912년 조선총독부 경무국 위상과에 설치된 세균실에서 시작한 질병관리본부는 해방 후 모범보건소와 중앙보건소 등의 조직변화를 거쳐 1963년 국립보건원으로 조직이 통합되었다. 삼청동에 자리하던 국립보건원이 1960년부터 일부 시설을 당시 논밭이었던 녹번동으로 이전하기 시작하면서 질병관리본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본관은 1962년 12월에 신축, 1963년에 국립보건원, 국립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국립생약시험소 4개 기관이 국립보건원으로 통합하면서 이곳에 입주했으며,본관은 1991년에 철거되었다. 1987년에 현재 본관건물이 마무리되고 이후 폐수처리장, 실험동 등이 여럿 신축되었다. 각 동의 조성연대를 보면, 1동 1989년 준공, 22동, 22-1동 1971년 준공, 4동 1962년 준공, 5동 1972년 준공, 7동 1986년 준공, 16동 1971년 준공, 동물사 및 동물실험실, 곤충사육실, 우편취급국 등 40년에 걸쳐 많은 건물들이 신축되고 철거되면서 질병관리본부는 1960-80년대 건축물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물로 구성되었으며, 2010년 말 충북 오송으로 질병관리본부 시설이 옮기기 시작하면서 본래의 쓰임을 다하게 되었다. 1층 면적 500평에 달하는 본관건물은 건축가 유현준의 설계로 리노베이션되어 청년허브,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의료장비창고, 생물 실험동, 시약창고 등이 옛 모습을 간직한 이곳은  서울혁신파크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활용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김재경
OPENSTUDIO 목련원, 황두진 서울 구도심에 대응하는 건축 탐구, 공간과 구조, 형태를 다양한 기하학적 질서의 틀에서 조율하며 기하학과 구축술에 바탕을 둔 건축 접근을 보여주는 건축가 황두진의 사무실은 서울의 오래된 도심, 통의동에 자리한다. 평범한 주택을 리노베이션해 자신의 사무실과 자택으로 사용하다 별동을 증축해 지하 문화공간과 별실, 그리고 구름다리를 활용한 사무공간을 마련했다. 열리고 닫힌 마당을 중심으로 한 절제된 사무실이다. 한옥을 하나의 가구식 목구조의 구조적 시스템으로 이해하며 그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다양한 실험을 해왔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저술을 통해 건축과 도시에 대한 생각을 펼쳐내고 있다. 이번 오픈스튜디오 프로그램에서는 춘원당, 현대캐피탈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 등 건축가 황두진의 대표작에 대한 설명을 들을 뿐만 아니라, 사무공간과 목련홀 뿐만 아니라 자택도 함께 공개해 둘러본다. 무엇보다 안주인이신 하프시코디스트 고현주 선생님의 작은 하프시코드 연주도 함께 할 예정이다. 오픈스튜디오 후에는 건축가 황두진이 설계한 갤러리 아트사이드를 방문해 둘러볼 예정이다. 사진 박영채
OPENHOUSE <1950-70년대, 초기 아파트를 만나다> 서울의 개발과 도심 아파트의 생존, 가이드 정다은 프로그램 1ㅣ서울의 개발과 도심 아파트의 생존 동대문아파트 - 삼일아파트 - 세운상가 아파트 답사  * 아파트 단지는 공동 주거 영역입니다. 단지 내 공동 영역에 대한 답사가 이루어지며, 사적 영역에는 접근이 어렵습니다. 답사 시 개별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이동과 답사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주거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지금의아파트와 또 어떻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을까. 아파트의 사회적 의미에서 도시에서 차지하는 의미까지, 아파트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활발한 요즘, 오픈하우스의 두번째 프로그램은 1950-70년대에 지어진 초기 아파트를 만나본다.  미쿠니아파트, 유림아파트(충정아파트)는 일제시대 이 땅에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다. 현재 남아있는 충정아파트는 콘크리트로 지은 4층 규모의 중정형 아파트로, 일종의 관사로 지어졌다. 본격적인 아파트가 등장한 것은 1960년대의 일인데, 당시 1950년대는 전후 복구가 중요한 시기로, 국민주택, 외인주택, 상가주택 등 다양한 주택 유형이 연구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좌식과 입식, 장동대의 유무를 두고 논의를 할 만큼 새로운 생활양식에 대한 고민을 하던 시기이기도 하고, 외국 주택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던 때다.  우리나라 기술로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는 종암아파트이며, 1960년대에는 마포아파트가 조성되었으며, 동대문아파트, 정릉아파트와 같은 작은 규모의 아파트도 조성되었다. 삼각지, 회현아파트, 유엔빌리지와 외인아파트가 등장했으며 최초의 노출콘크리트로 눈길을 끈 힐탑아파트가 등장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대단지 아파트 시대로 진입하면서 홍제동 아파트, 화곡동 아파트가 조성되었다.  1968년 반포아파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파트 붐이 일어나게 되는데, 1970년대에는 최초로 중앙난방을 도입한 한강맨션과 공공공간에 대한 고민을처음 반영해 ㅁ자 배치를 만들고 처음으로 조경계획을 한 잠실 아파트 등이 등장했다.  흥미로운 것은 초기의 아파트는 전통과 현대의 생활양식 변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뿐만 아니라, 주거 공간에 대한 전문가들의 고민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특히 단지형 아파트의 경우, 단지 내에서 공공시설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용시설들이 계획되기도 했으며, 단지 내 가로에 대한 고민이 반영되기도 했다.  공동주택의 초기 모습이 담긴 1950-70년대 아파트 답사를 통해 초기 공동주택의 이상과 현실, 아파트 공간을 재발견해본다. 진행 정다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와 서울건축학교를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 어싸일럼, 매스스터디스에서 실무를 쌓았다. 서울시립대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과정 중인 정다은 씨는 30년 이상 지난 한국의 근현대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리서치를 계속해나가고 있다.   
OPENSTUDIO 조병수건축연구소, 조병수 반포동에 자리한 조병수건축연구소는 평범한 상가건물의 3층과 옥상층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혀 예상치못한 공간을 보여준다. 바람, 빛 등 자연을 체험하는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축가는 사무실을 여러 채로 나누어 그곳에 바람과 빛이 통하는 사이공간을 두었다. 건축물은 자연을 경험하는 배경이라는 건축가 조병수의 철학은 그의 사무실 곳곳에서 나타나며, 수많은 재료들은 장인정신에 바탕을 둔 그의 건축을 짐작하게 한다. 지하 전시 공간과 작업 공간, 사무실 등 각각의 공간을 둘러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방문자를 맞을 예정이다.
OPENSTUDIO 숭실대 학생회관, 최문규 숭실대 캠퍼스의 중앙에는 건물들에 에워 쌓인 광장이 있고 남서측의 운동장 쪽으로 열려 있다. 새로운 학생회관의 대지는 어느 정도 포화 상태에 이른 숭실대 운동장 주변의 좁은 땅으로 광장보다 약 12m정도 낮고 오래 전에 지어진 노후화된 스탠드가 감싸고 있었다. 스탠드를 철거한 자리에 지어질 연면적 2만㎡의 규모의 새로운 학생회관은 땅에 비해 너무 커다란 볼륨이어서 가까이 있는 건물과 전체 캠퍼스에 적지 않은 영향을 줄 수밖에 없었다. 여러 대안을 거쳐 요구 볼륨을 만족시키면서도 물리적 존재감을 줄여 주변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낮고 넓게 펼쳐진 지금의 안이 만들어졌고 건물이면서 스탠드이고 또 통로가 되는 건물로 진화하였다. 새 건물은 주변에 있는 건물이 이미 가지고 있던 조망과 채광을 가리지 않고 건물 사이에 새로운 도시적 관계를 만들어 낸다. 건축이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하나의 오브제를 만드는 것을 너머 주변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만들어 질 때 건축으로부터 도시적인 공공성이 만들어 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발견한 것이다. 외부로서의 건축 중앙광장에 접한 대지는 크게는 12m이상의 단차가 나기 때문에 보통의 단면 계획을 할 경우 건물의 반은 완전히 지하에 묻히게 된다. 대지 조건을 역으로 활용하여 모든 실에 자연환기와 채광이 가능하도록 동측과 남측에 삼각형 모양의 커다란 공간을 둠으로써 각기 다른 독특한 외부공간이 만들어졌다. 중앙광장과 운동장을 이어주는 중앙의 계단은 동맥처럼 전체 건물을 이어주는 역할을 하면서 또한 채광과 환기를 해결한다. 이러한 과정은 건축이 무엇을 만드는 것인가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완성된 형태와 내부 공간이 중심이 되는 건축에 반해 학생회관은 내부와 외부가 연결되는 관계를 만드는 시도이기 때문이다. 여기 저기 만들어진 발코니와 데크는 건축은 단순히 내부를 만드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넉넉한 외부를 만들어 내는 것이기도 하다는 생각을 보여준다. 25개가 넘는 출입구는 학생회관이 건물이면서 공간을 연결하는 길이자 외부로 나가는 경계임을 보여주고 이 수많은 구멍들을 통해 건축과 도시의 경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사진 남궁선
OPENHOUSE 어린이대공원 꿈마루, 조성룡, 최춘웅 1970년대에 지어진 서울컨트리클럽하우스는 건축가 나상진의 설계로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된 건물이다. 네 개의 굵은 콘크리트 쌍기둥 뼈대가 지붕을 떠받히고 있는 구조로 12x24m의 큰 지붕, 수평으로 길게 뻗어나간 상판 구조로 구성된 강렬한 조형성을 갖고 있다. 37년간 방치되던 건물이 철거 직전 건축가 조성룡의 자문으로 리노베이션이 결정되면서, 1970년과 2011년이라는 두 개의 시간이 공존하는 건축물로 다시 태어났다. 건축가 조성룡과 최춘웅은 기존 건축물의 강렬한 골조를 살리고, 그 사이 덧대어진 부분을 덜어내었으며, 새로 신축하는 부분은 붉은 벽돌, 내후성 강판, 철판, 유리, 목재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해 기존 방식과 구분되도록 했다. 리노베이션을 통해 두 시대가 공존하고 건축물 자체가 시간의 박물관이 된 건축물이다. 이번 오픈하우스서울 프로그램에서는 건축가 조성룡의 건 축 설명을 따라 건축물을 둘러볼 뿐만 아니라, 2층 피크닉 공원에서 건축가 조성룡의 강의도 함께 열릴 예정이다.
OPENHOUSE 서울성공회 성당 성공회성당은 성공회 서울교구 주교좌 성당으로 1922년 주교인 마크 트롤로프 3대 주교가 착공하여 건축가 아서 딕슨, 영국인 브로크 감독으로 지어졌다. 로마네스크 양식의 3층 교회건물로, 십자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있다. 기초부와 뒷면 일부는 화강성을 사용했으며, 나머지 벽체는 붉은 벽돌을 사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건축물의 전체적인 균형감과 조화가 뛰어나며 지붕과 처마는 한국의 전통 건축을 차용한 것이 특징이다. 특히 내부의 스테인드글라스는 단순하고 절제된 형태의 조형적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당시 전체 계획의 일부만 완성되었던 성공회성당은 1991년 창립 100주년을 기념해 증축계획을 세우다 이후 아서 딕슨의 원 설계도를 찾아 건축가 김원의 설계 감독으로 증축되었다. 서울에 현존하는 유일한 로마네스크 건물로 1988년 세계건축가들이 선정한 가장 아름다운 건축물 중 하나로 꼽히기도 했다. 사진 광장건축 홈페이지
OPENSTUDIO <1950-70년대, 초기 아파트를 만나다> 한강과 아파트 단지, 가이드 정다은 프로그램 2ㅣ한강과 아파트 단지 한강맨션 - 이촌시범 중산아파트 - 여의도 시범아파트 답사  * 아파트 단지는 공동 주거 영역입니다. 단지 내 공동 영역에 대한 답사가 이루어지며, 사적 영역에는 접근이 어렵습니다. 답사 시 개별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이동과 답사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주거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지금의아파트와 또 어떻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을까. 아파트의 사회적 의미에서 도시에서 차지하는 의미까지, 아파트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활발한 요즘, 오픈하우스의 두번째 프로그램은 1950-70년대에 지어진 초기 아파트를 만나본다.  미쿠니아파트, 유림아파트(충정아파트)는 일제시대 이 땅에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다. 현재 남아있는 충정아파트는 콘크리트로 지은 4층 규모의 중정형 아파트로, 일종의 관사로 지어졌다. 본격적인 아파트가 등장한 것은 1960년대의 일인데, 당시 1950년대는 전후 복구가 중요한 시기로, 국민주택, 외인주택, 상가주택 등 다양한 주택 유형이 연구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좌식과 입식, 장동대의 유무를 두고 논의를 할 만큼 새로운 생활양식에 대한 고민을 하던 시기이기도 하고, 외국 주택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던 때다.  우리나라 기술로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는 종암아파트이며, 1960년대에는 마포아파트가 조성되었으며, 동대문아파트, 정릉아파트와 같은 작은 규모의 아파트도 조성되었다. 삼각지, 회현아파트, 유엔빌리지와 외인아파트가 등장했으며 최초의 노출콘크리트로 눈길을 끈 힐탑아파트가 등장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대단지 아파트 시대로 진입하면서 홍제동 아파트, 화곡동 아파트가 조성되었다.  1968년 반포아파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파트 붐이 일어나게 되는데, 1970년대에는 최초로 중앙난방을 도입한 한강맨션과 공공공간에 대한 고민을처음 반영해 ㅁ자 배치를 만들고 처음으로 조경계획을 한 잠실 아파트 등이 등장했다.  흥미로운 것은 초기의 아파트는 전통과 현대의 생활양식 변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뿐만 아니라, 주거 공간에 대한 전문가들의 고민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특히 단지형 아파트의 경우, 단지 내에서 공공시설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용시설들이 계획되기도 했으며, 단지 내 가로에 대한 고민이 반영되기도 했다.  공동주택의 초기 모습이 담긴 1950-70년대 아파트 답사를 통해 초기 공동주택의 이상과 현실, 아파트 공간을 재발견해본다. 진행 정다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와 서울건축학교를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 어싸일럼, 매스스터디스에서 실무를 쌓았다. 서울시립대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과정 중인 정다은 씨는 30년 이상 지난 한국의 근현대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리서치를 계속해나가고 있다. 
OPENSTUDIO SKM 건축사사무소, 민성진 SKM 건축사사무소의 전면에는 작은 정원을 두어 주변 가로 풍경에 생동감을 주고 있다. 2개층 높이의 회의실과 빛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사무실 공간에는 수많은 모형이 가득하다. 세부적인 공간의 경험과 체험에서 오는 감동을 놓치지 않기 위해 무수히 많은 모형으로 실험을 하는 사무실의 특징을 보여주는 장소다. 힐튼 남해 골프& 스파 리조트, 아난티 클럽하우스, 순천레이크힐스, 자이갤러리 등 건축가 민성진의 건축 이야기를 듣는 자리를 마련한다. 사진 송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