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조병수건축연구소, 조병수 반포동에 자리한 조병수건축연구소는 평범한 상가건물의 3층과 옥상층을 사용하고 있지만, 전혀 예상치못한 공간을 보여준다. 바람, 빛 등 자연을 체험하는 경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건축가는 사무실을 여러 채로 나누어 그곳에 바람과 빛이 통하는 사이공간을 두었다. 건축물은 자연을 경험하는 배경이라는 건축가 조병수의 철학은 그의 사무실 곳곳에서 나타나며, 수많은 재료들은 장인정신에 바탕을 둔 그의 건축을 짐작하게 한다. 지하 전시 공간과 작업 공간, 사무실 등 각각의 공간을 둘러볼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방문자를 맞을 예정이다.
OPENSTUDIO 비트윅스, 조병수 * 조병수 씨의 퀸마마 마켓 오픈하우스가 현장 사정으로 청담동 비트윅스 건축물로 변경되어 알려드립니다.  비트윅스는 두 개의 박사 사이로 공용공간을 만들었으며, 콘크리트와 레진, 유리라는 재료의 효과적인 사용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영상물을 레진과 유리에 투영해서 다양한 표정을 만들어낸 건축물입니다.  비트윅스 지하층은 높은 천장고 덕에 유치원 체육실로 쓰이던 공간이었는데, 이 공간을 건축 가구 전시관으로 사용하기 위해 약간의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막혀있던 중층공간을 트고, 계단으로 연결하여 분리되어 있던 세 공간을 하나의 연속된 공간으로 조직하고 있습니다.  조병수 건축연구소 오픈스튜디오 진행 후 청담동 비트윅스로 이동하여, 건축물을 돌아보는 시간을 갖습니다. 
OPENSTUDIO 문훈발전소, 문훈 통속적이고 도발적인 이미지, 유치함을 가장한 직설적인 상상력을 펼쳐내는 건축가 문훈의 빨간 사무실. 그곳에는 기존의 건축을 가볍게 넘어서는 자유로운 표현이 가득하다. 건축가 문훈은 마치 무당처럼 한국 사회의 정서적 에너지를 끌어내 건축 안에 담고 표현하고자 할 뿐만 아니라, 현실에서는 중력에 매인 건축이 가상공간에서는 언제든 하늘로 날아오를 것같은 상상력을 펼쳐낸다. 그가 말하는 ‘액션 건축’이다. 건축이 생명체가 되는 상상, 이 과장된 몸짓에는 건축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 화려함, 감성을 전달하려는 건축가의 의도가 담겨 있다. 붉은 기운으로 가득한 그의 사무실은 그 자체로 건축가 문훈의 놀이터. 다양한 모형, 스케치 등으로 가득한 사무실에서 그의 건축에 대한 이야기를 듣는 자리가 마련된다.
OPENHOUSE 구 질병관리본부(현 서울혁신파크), 유현준 1912년 조선총독부 경무국 위상과에 설치된 세균실에서 시작한 질병관리본부는 해방 후 모범보건소와 중앙보건소 등의 조직변화를 거쳐 1963년 국립보건원으로 조직이 통합되었다. 삼청동에 자리하던 국립보건원이 1960년부터 일부 시설을 당시 논밭이었던 녹번동으로 이전하기 시작하면서 질병관리본부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본관은 1962년 12월에 신축, 1963년에 국립보건원, 국립방역연구소, 국립화학연구소, 국립생약시험소 4개 기관이 국립보건원으로 통합하면서 이곳에 입주했으며,본관은 1991년에 철거되었다. 1987년에 현재 본관건물이 마무리되고 이후 폐수처리장, 실험동 등이 여럿 신축되었다. 각 동의 조성연대를 보면, 1동 1989년 준공, 22동, 22-1동 1971년 준공, 4동 1962년 준공, 5동 1972년 준공, 7동 1986년 준공, 16동 1971년 준공, 동물사 및 동물실험실, 곤충사육실, 우편취급국 등 40년에 걸쳐 많은 건물들이 신축되고 철거되면서 질병관리본부는 1960-80년대 건축물의 전형을 보여주는 건물로 구성되었으며, 2010년 말 충북 오송으로 질병관리본부 시설이 옮기기 시작하면서 본래의 쓰임을 다하게 되었다. 1층 면적 500평에 달하는 본관건물은 건축가 유현준의 설계로 리노베이션되어 청년허브,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의료장비창고, 생물 실험동, 시약창고 등이 옛 모습을 간직한 이곳은  서울혁신파크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활용을 준비하고 있다. 사진 김재경
OPENHOUSE <1950-70년대, 초기 아파트를 만나다> 서울의 개발과 도심 아파트의 생존, 가이드 정다은 프로그램 1ㅣ서울의 개발과 도심 아파트의 생존 동대문아파트 - 삼일아파트 - 세운상가 아파트 답사  * 아파트 단지는 공동 주거 영역입니다. 단지 내 공동 영역에 대한 답사가 이루어지며, 사적 영역에는 접근이 어렵습니다. 답사 시 개별 주민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이동과 답사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우리나라 주거 유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아파트는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지금의아파트와 또 어떻게 다른 모습을 가지고 있을까. 아파트의 사회적 의미에서 도시에서 차지하는 의미까지, 아파트에 대한 논의가 어느 때보다 활발한 요즘, 오픈하우스의 두번째 프로그램은 1950-70년대에 지어진 초기 아파트를 만나본다.  미쿠니아파트, 유림아파트(충정아파트)는 일제시대 이 땅에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다. 현재 남아있는 충정아파트는 콘크리트로 지은 4층 규모의 중정형 아파트로, 일종의 관사로 지어졌다. 본격적인 아파트가 등장한 것은 1960년대의 일인데, 당시 1950년대는 전후 복구가 중요한 시기로, 국민주택, 외인주택, 상가주택 등 다양한 주택 유형이 연구되던 시기라고 할 수 있다. 좌식과 입식, 장동대의 유무를 두고 논의를 할 만큼 새로운 생활양식에 대한 고민을 하던 시기이기도 하고, 외국 주택의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던 때다.  우리나라 기술로 지어진 최초의 아파트는 종암아파트이며, 1960년대에는 마포아파트가 조성되었으며, 동대문아파트, 정릉아파트와 같은 작은 규모의 아파트도 조성되었다. 삼각지, 회현아파트, 유엔빌리지와 외인아파트가 등장했으며 최초의 노출콘크리트로 눈길을 끈 힐탑아파트가 등장하기도 했다. 본격적인 대단지 아파트 시대로 진입하면서 홍제동 아파트, 화곡동 아파트가 조성되었다.  1968년 반포아파트를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아파트 붐이 일어나게 되는데, 1970년대에는 최초로 중앙난방을 도입한 한강맨션과 공공공간에 대한 고민을처음 반영해 ㅁ자 배치를 만들고 처음으로 조경계획을 한 잠실 아파트 등이 등장했다.  흥미로운 것은 초기의 아파트는 전통과 현대의 생활양식 변화를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 뿐만 아니라, 주거 공간에 대한 전문가들의 고민이 담겨있다는 것이다. 특히 단지형 아파트의 경우, 단지 내에서 공공시설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도록 다양한 공용시설들이 계획되기도 했으며, 단지 내 가로에 대한 고민이 반영되기도 했다.  공동주택의 초기 모습이 담긴 1950-70년대 아파트 답사를 통해 초기 공동주택의 이상과 현실, 아파트 공간을 재발견해본다. 진행 정다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와 서울건축학교를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 어싸일럼, 매스스터디스에서 실무를 쌓았다. 서울시립대 대학원 건축학과 석사과정 중인 정다은 씨는 30년 이상 지난 한국의 근현대건축에 대한 관심으로 리서치를 계속해나가고 있다.   
OPENSTUDIO 춘원당, 황두진 복잡하게 얽힌 서울 종로구 돈의동 일대에 1953년부터 자리한 춘원당은 7대째 맥을 잇는 유서깊은 한의원으로, 서울 구도심을 지킨다는 강한 의식을 갖고 있다. 기존 건물 앞으로 지어진 ‘춘원당’은 지하의 문화공간, 치유의 공간, 그리고 상층부의 박물관까지 복합적인 공간이다. 건축가 황두진은 기존 건물 가장 안쪽에 숨어있던 탕전실을 건물 전면에 상징적으로 노출시켜 강렬한 탕전기를 통해 시적인 느낌을 전달하려 했다. 이를 통해 춘원당은 마치 건물의 심장이 드러난 듯 살아숨쉬는 인상을 전달한다. 가장 오래된 동네에서 새로운 것을 잉태하고자 하는 건축가의 믿음을 보여주기도 한다. 사진 박영채
OPENHOUSE 어린이대공원 꿈마루, 조성룡, 최춘웅 1970년대에 지어진 서울컨트리클럽하우스는 건축가 나상진의 설계로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구성된 건물이다. 네 개의 굵은 콘크리트 쌍기둥 뼈대가 지붕을 떠받히고 있는 구조로 12x24m의 큰 지붕, 수평으로 길게 뻗어나간 상판 구조로 구성된 강렬한 조형성을 갖고 있다. 37년간 방치되던 건물이 철거 직전 건축가 조성룡의 자문으로 리노베이션이 결정되면서, 1970년과 2011년이라는 두 개의 시간이 공존하는 건축물로 다시 태어났다. 건축가 조성룡과 최춘웅은 기존 건축물의 강렬한 골조를 살리고, 그 사이 덧대어진 부분을 덜어내었으며, 새로 신축하는 부분은 붉은 벽돌, 내후성 강판, 철판, 유리, 목재처럼 시간이 지나면서 변화할 수 있는 재료를 선택해 기존 방식과 구분되도록 했다. 리노베이션을 통해 두 시대가 공존하고 건축물 자체가 시간의 박물관이 된 건축물이다. 이번 오픈하우스서울 프로그램에서는 건축가 조성룡의 건 축 설명을 따라 건축물을 둘러볼 뿐만 아니라, 2층 피크닉 공원에서 건축가 조성룡의 강의도 함께 열릴 예정이다.
OPENSTUDIO 와이즈 건축, 장영철, 전숙희 금호동의 다세대주택 밀집지역에 직접 설계한 다세대주택에 자리한 와이즈건축 사무실은 주변의 다양한 풍경에 대응하는 담백한 표정을 가지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로 마감한 외관이 인상적이지만 1층은 비워내고 동네 사람들이 머물다 갈 수 있는 작은 평상을 내어놓고 있다. 복층으로 된 2,3층은 모형과 도면으로 둘러싸인 그들의 작업장이 된다.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ABC 사옥>, <ㄱㅁ 주택> 등의 작업을 이어오고 있으며, 대한민국 젊은건축가상과 서울시 건축상을 수상한 바 있다. 건축가 장영철, 전숙희 부부건축가가 들려주는 건축 이야기를 함께 할 기회다.
OPENSTUDIO 커퓰러(서울컨벤션센터), 김헌 1989년에 문을 연 도심공항터미널의 4층에서 7층은 커다란 아트리움으로 조성되었지만, 사무공간에 둘러싸여 활기를 잃은 곳이다. 이곳을 임대받은 건축주가 이 아트리움까지 임대하면서 아트리움 공간에 끼어들어간 건축물이 되었다. 기존 건축물의 보에 접촉해 힘을 전달하는 얇은 철골구조물을 세웠으며, 건축가 김헌은 이를 ‘카트리지 건축’이라고 부른다. 강하면서도 가벼운 재료를 쓰기 위해 5mm 두께의 돌을 가공하고 나무 보드의에 붙인 초박형 외피를 만들었으며, 강렬한 사선이 리듬을 만들어 내외부 공간을 역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사진 박완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