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STUDIO

기록으로서의 창작(Creator as Archivist)

황두진(황두진건축사사무소)+김종신(기린그림)

2023년 10월 26일 7:00PM
서울시 종로구 효자로7길 19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사진_박영채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제공)
사진_박영채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제공)
사진_박영채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제공)
* 목련원에서 진행되는 이번 오픈스튜디오는 황두진 건축가와 김종신 작가가 함께 이야기를 나누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 일시 : 2023년 10월 26일 19:00


건축과 동영상은 창작이면서 동시에 기록이다. 건축은 사회경제적 상황, 지역의 특성, 관련된 사람들 등 다양한 ‘기록’이 체화된 결과이면서 동시에 엄연한 창작물이다. 이는 동영상 또한 마찬가지다. 황두진건축사사무소와 기린그림은 2015년 강남대로의 ‘Won & Won 63.5’를 시작으로 그동안 지속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해오고 있다. 창작과 기록의 양면적 가치를 어떻게 구현해 왔는지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는 시간을 갖는다. 

진행 
18:30~19:00 참석자 집합 및 ice breaking
19:00~ 20:00 황두진+김종신 대담
20:00~ 20:30 질의 및 응답

글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사진 박영채,  텍스처온텍스처

황두진건축사사무소
www.djharch.com
지역지구: 제2종 일반주거지역, 최고고도지구
주요용도: 단독주택, 제2종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379.9m²
건축면적: 188.34m²
연면적: 476.69m²
건폐율: 49.97 %
용적률: 95.74 %
규모: 지하1층, 지상3층
구조: 시멘트 벽돌조+콘크리트 구조
시공사: 이안건설
건축주: 황두진, 고현주
사진_텍스처온텍스처 (황두진건축사사무소 제공)
황두진
건축가 황두진은 서울대와 예일대에서 수학했다. 그는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현대건축의 지평을 넓혀가고 있는 건축가로 평가받고 있다. 한옥을 현대건축의 시각에서 재해석하는 일련의 작업을 해오고 있기도 하다.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시작하여 유럽을 순회한 <메가시티 네트워크 한국현대 건축전>에 참여했고 동 전시회의 전시디자인을 맡아 새로운 개념의 건축 전시를 보여준 바 있다. 주요 작업으로 Won & Won 63.5, 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 스웨덴 동아시아박물관 한국관, 춘원당, 엘주택, 휘닉스 스프링스, 가회헌, 한강교량보행자시설(한남, 잠실, 동작), 갤러리 아트사이드, 웨스트빌리지, 열린책들 등이 있다.  저서로는 <가장 도시적인 삶-무지개떡 건축 탐사 프로젝트>(반비, 2017), <황두진-다공성·구축술·시스템>(열린집, 2016), <무지개떡 건축-회색 도시의 미래>(메디치미디어, 2015), <당신의 서울은 어디입니까>(해냄, 2005), <한옥이 돌아왔다>(공간사, 2006) 등이 있다. 한국건축가협회 특별상 김종성건축상(캐슬 오브 스카이워커스, 2018),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올해의 한옥 대상(목경헌, 2016), 서울특별시건축상 우수상(원앤원 63.5, 2015), 대한민국공공디자인대상 대상(통인시장 아트게이트, 2012), 서울특별시건축상 우수상(더 웨스트 빌리지, 2012), 대한민국 한옥공모전 올해의 한옥 대상(엘주택, 2011), 유네스코 아시아-태평양 문화유산상 공동수상 (북촌 한옥, 2009), 한국건축문화대상 본상(집운헌, 2009), 한국건축가협회 아천상(가회헌, 2007) 등을 수상한 바 있다.

 

김종신
김종신은 런던대학교 골드스미스 컬리지에서 영화연출을 전공하였다. 기린그림의 대표로 2008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작업을 시작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건축관의 이타미 준, 김종성, 김태수 전시영상, 황두진, 김찬중, 가온건축의 건축영상, 방송 다큐멘터리 ‘한국 현대건축의 오늘’ 등을 만들었다. 정다운 감독과 함께 만든 <위대한 계약:파주,책,도시>에 이어 조경가 정영선의 다큐멘터리 개봉을 앞두고 있다.

기린그림
https://www.giraffe-pictures.com/

Map서울시 종로구 효자로7길 19
건축가황두진(황두진건축사사무소)+김종신(기린그림)
건축주황두진, 고현주
일시2023년 10월 26일 7:00PM
위치서울시 종로구 효자로7길 19
TOP LIST
Report 엑셈 마곡 연구소,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이종우 수석 마곡지구에 들어선 엑셈 마곡 연구소는 네모반듯한 오피스에서 벗어나 심리적 지속가능성, 탄소 저감을 실천하는 친환경성, 창의적 업무 수행 방식을 수용하는 유연함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종우 수석(㈜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과 함께 과감하게 연결된 오피스 공간을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삼진제약 마곡 연구센터,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 김준모(㈜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마곡지구에 들어선 삼진제약 연구소는 주 입면이 서쪽을 향하고 있어, 전망을 확보하면서도 서측일사를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채택한 부풀어 오른 커튼 형식의 입면 디자인과 UHPC를 이용한 패널 제작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Report 로컬스티치 크리에이터타운 서교, (주)간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이효상 오래된 건물과 새로운 문화가 공존하고, 예술가와 창작인들의 집결지인 서교동. 그 속에서 커다란 건물을 앉히기 위한 재료, 형태에 대한 전략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단순한 숙박시설을 넘어서서 지역 커뮤니티의 중심지로, 지역 체험과 개인의 라이프스타일을 탐구할 수 있는 독특한 빌리지를 함께 둘러보았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살롱 드 파리, 박정환 + 송상헌(심플렉스 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박정환 양천구 목동에 위치한 파리공원은 한불 수교 100주년을 기념해 조성되었습니다. 사용자를 위한 설계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며 공원 한바퀴를 둘러보고, 주민 커뮤니티 공간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의 미니멀한 디자인 언어와 설계 디테일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성불사, 조정구(구가도시건축) 성불사는 도심 속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고요한 명상을 즐길 수 있는 장소입니다. 사찰의 건축물은 전통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하면서도 현대적인 감각을 더해, 방문객들에게 고요한 분위기를 제공합니다. 특히, 인왕산과 북악산의 경관을 사찰 내부로 끌어들여 자연과 하나 되는 경험을 선사합니다. 이러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건축가와 관계자들이 기울인 노력과 정성이 곳곳에 배어 있어, 그들의 이야기를 통해 공간의 깊이를 더욱 느낄 수 있었습니다.
Report 집집마당, 신성진 + 손경민(볼드아키텍츠) 오픈하우스 진행 : 신성진, 손경민 집집마당의 대지는 겸재교가 생기면서 남은 폭 2m의 자투리땅과 직사각형 땅을 합친 'ㄴ'자의 모양이었습니다. 건축가는 폭 2m의 땅을 비워두는 방식이 아니라 공중 가로를 설치하여 공간을 활용하였고, 주민들이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을 만들면서 공동체 마을 단위 행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진 근린생활시설입니다. 흔히 볼 수 있는 듯 하지만 독특한 금속 외벽 재료, 공중가로, 건식 마감에 대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습니다.
Report 에이라운드건축사사무소, 박창현 써드플레이스 홍은 1~10까지의 설명과 함께 오래된 동네를 변화시키는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통해 '이웃'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되는 시간이었습니다. 오픈스튜디오를 통해 박창현 건축가의 공동주택에 대한 생각과, 이를 담는 건축에 대한 생각을 나누었습니다.
Report 마일렌슈타인(Meilenstein), 김경도(RoA architects) 마일렌슈타인과 인근의 최근 준공작을 함께 둘러보며 다세대주택이 밀집한 지역 깊숙이 자리한 대지에서의 입면과 내부 공간 등 건물을 어떻게 설계하였는지 들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조호건축사사무소, 이정훈 조호건축사사무소의 이정훈 소장님을 직접 만나 뵙고, 그분의 건축 철학과 작품에 대한 깊이 있는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정훈 소장님은 건축을 단순한 구조물의 설계가 아닌, 사람과 공간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예술로 바라보셨습니다. 소장님의 설명을 통해 건축이 어떻게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또 그 안에서 어떤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지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