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BUNKER 대방 청소년 문화의 집

조진만(조진만 건축사사무소)

2023년 10월 26일 4:00PM
서울시 동작구 여의대방로 36길 71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 내부 엘리베이터가 없어 이동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동작구 대방동의 벙커는 조성 시기가 불분명한 군용 시설이다. 가로 45m, 세로 12m, 높이 10m의 지하 공간은 빼곡히 들어선 아파트단지 옆 대방 공원의 안에 조용히 묻힌 채 완전히 도시에서 숨겨진 공간이다. 군용 목적이 사라지자 한동안 주류업자가 와인 저장고로 쓰다 이후 공원의 관리용 자재창고로 방치되어 있었다. 주변에는 20곳의 학교들이 밀집한 곳이나 마땅히 청소년들을 위한 놀이 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상태에서 벙커를 활용해서 매력 있는 놀이터를 만들면 좋겠다는 기획에서 프로젝트는 출발하였다. 근래 벙커를 활용한 프로젝트들이 주목을 받은 것도 한몫했다. 제주도의 빛의 벙커라든지 여의도 벙커를 고친 갤러리가 그러한 사례이다. 하지만 모두 활용 면에서 정적이고 일방향적 관람으로 동적이고 활발한 공동체 소통 공간으로 활용된 적은 없었다.

벙커라는 비일상적이고 특수한 환경에 어떻게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함께할 수 있는 스포츠와 창작활동, 교육과 휴식을 위한 장소를 만들 것인지가 주어진 과제였다. 벙커라는 특별한 스케일의 공간이 가지는 특성을 활용해 모두에게 열린 ‘숲속, 우리들의 비밀기지’라는 주제 속에 입체광장, 길과 방들로 구성된 ‘작은 지하도시‘의 형식을 적용하였다. 도시의 형식이라는 것은 공적인 길과 광장을 따라 연결된 다양한 사적 용도의 방들은 시간이 흘러도 기본 골격은 유지한 채 다채로운 용도로 변용할 수 있다.

상하층으로 구획된 벙커의 바닥 일부를 해체하여 하나로 통합하고 다락을 매달아 세 개 층 공간의 깊이를 만들었다. 1층에는 가상현실을 접목해 다양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ICT 스포츠시설과 다목적 공연장이 있다. 2층으로 가면 아이들이 다양한 모임과 미디어 창작 활동을 할 수 있는 방들을 만날 수 있다. 3층 공중에 매달은 다락 카페는 공중정원을 품는다. 벙커의 앞마당에는 경사지를 활용한 ‘숲속 문화마당’이 생긴다. 녹지화된 스탠드와 앞마당은 공연, 휴식 등 다양한 의미의 소통이 이루어지는 열린 쉼터이다.

조진만 건축사사무소

조진만 건축사사무소
jo-jinman.com

BUNKER 대방 청소년 문화의 집
bunker.or.kr

이용대상: 청소년 누구나
운영시간: 화~토요일 09:00~21:00, 일요일 09:00~18:00
*월요일, 신정, 명절, 선거일은 정기휴관

조진만
조진만은 한양대학교와 칭화대학교에서 수학하였다. 한국, 네덜란드 건축사를 취득하고 한양대학교와 Talyor's University에서 건축을 가르쳤다. 
제 역할을 잃어버린 공간들에 새로운 가치를 부여하고, 관습화된 공간을 창의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에 주목하며 문체부 젊은 건축가상, 국토부 신진건축가상, 김수근 프리뷰 건축상, 미국 아키텍춰럴 레코드 Design Vanguard상, 서울특별시 건축상, 세계건축상 등 여러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저서 '그를 만나면 그곳이 특별해진다' (쌤앤파커스 출판사)는 2022년 세종도서 학술부분에 선정되었다. 

위치: 동작구 여의대방로 36길 71
지역지구: 제 1종 일반주거지역
대지면적: 9,547.3m2
도로현황: 12미터 전면도로
연면적: 1,491.5m2
건축면적: 해당없음 / 지하시설
건폐율: 0% / 지하시설
용적률: 0% / 지하시설
구조: 철근콘크리트 + 철골조
층수: 지하3층
외부마감: FRP그레이팅, 투수성포장 / 비고: 조경 재료
설비개요: EHP, 히트펌프
주차개요: 6대 (1491.5/233 = 6.4대)  / 비고: 233당 1대
조경개요: 8,476.27m2 / 비고 : 대방근린공원내 위치

Map서울시 동작구 여의대방로 36길 71
건축가조진만(조진만 건축사사무소)
설계 담당조진만
일시2023년 10월 26일 4:00PM
위치서울시 동작구 여의대방로 36길 71
집합 장소입구 앞 야외 스탠드
TOP LIST
Report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김성한 오픈하우스 진행 : 김성한 오호리에와 갤러리의 중심지로, 한국 근현대 미술문화 자료를 수집하고 연구하는 중요한 시설입니다. 이곳은 시민들이 직접 자료를 아카이빙하고 연구하며 전시하는 성장형 미술문화복합공간입니다. 지형에 맞춰 병렬로 배치된 탈중심적 공간으로, 마을 어디서든 접근 가능한 형태를 지향합니다. 어반 리빙룸(Urban Livingroom)으로서 누구나 편하게 방문하여 문화 활동을 통해 자원을 공공화하고 활성화하는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공존하며, 지역 커뮤니티를 위한 다목적 강당과 커뮤니티 러닝스페이스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김성한 건축가의 소개로 공간을 함께 둘러보는 소중한 시간이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난호재, 조정구(구가도시건축) 오픈하우스 진행 : 조정구 난호재는 여가와 휴식을 위한 작은 별서로, 현재는 쇼룸과 대여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대지 20평, 건축면적 14평의 공간으로, 여유로운 분위기를 위해 공간을 재배치하였습니다. 세미나실과 서재로 구성된 내부는 필요에 따라 개방적이거나 친밀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외벽 타일 패턴과 색상을 반영하여 조화로운 디자인을 구현하였으며, 갤러리와 작은 방은 모던하고 예술적으로 설계된 공간을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NEW논현사옥, 김정임((주)서로아키텍츠) 오픈하우스 진행 : 김정임   NEW 논현사옥은 도심 속에서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독특한 공간 경험을 제공합니다. 건물은 최대 용적률을 확보하면서도 그린스페이스를 통해 골목에 숨통을 틔워주고, 다양한 레벨 디자인으로 사용자 활동을 연결합니다. 알루미늄 아노다이징과 노출콘크리트의 조화는 세련된 외관을 만들어내며, 내부의 개방적 업무공간은 창의적 사고와 협업을 촉진합니다. 지하층의 시사회실과 카페라운지는 구성원들에게 휴식과 교류의 공간을 제공하며, 도심 속 비밀정원 같은 매력을 더합니다. 오픈하우스를 통해 전체적으로 회사의 정체성을 반영하면서도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멋진 NEW 논현사옥을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사진_이강석
Report 에이오에이 아키텍츠 오픈스튜디오, 서재원
Report 지요 건축사사무소, 김세진 지요 건축사사무소를 방문하여 종이의 면으로 시작한 건축이 존재의 개별성과 감각의 보편성을 가지고 스스로 깊이 있는 것으로 변화하는 것에 대한 건축가의 생각과 그의 작업에 대해 들으며 유익한 시간을 보냈습니다. 
Report 경계없는작업실 건축사사무소, 문주호 경계없는작업실을 창업하여 공간이야기를 통해 도시의 지형을 새롭게 바꾸는 것에 도전하고 있는 문주호 건축가를 만나 그의 작업과 건축 철학에 대해 들을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주)서로아키텍츠, 김정임 최근 양천공원 책쉼터와 넘은들공원 책쉼터 등 시민들의 큰 사랑을 받는 공간을 만들어내고 있는 김정임 건축가를 만나, 오늘의 오피스 플래닝에 대한 생각부터 주택 설계, 자연의 경관을 건축 일부로 풀어낸 쉼터까지 건축가 김정임의 건축을 스튜디오에서 직접 만나보았다.
Report 반계 윤웅렬의 별서, 김봉렬 오픈하우스 진행  : 김봉렬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Report SKM Architects, 민성진(SKM Architects) 20여 년간 민성진 소장이 정성껏 가꿔온 작은 정원을 지나 모형들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이 가득한 사무실로 들어섰습니다. 건축가 민성진 소장이 펼쳐내는 이야기는 이번에도 어김없이 열정적이고 흥미진진했습니다. 사진 SKM Archit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