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서울 드와이트 외국인 학교 도서관 스파크 오브 지니어스 센터

존홍 + P:A(Project : Architecture)

2023년 10월 27일 4:00PM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62길 21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 학교 보안 지침상 참가자의 개인정보(이름, 전화번호)가 학교에 공유됩니다. 프로그램 참가 신청은 개인 정보 사용에 동의함으로 간주되며, 신청 완료된 분들은 현장에서 신분증을 꼭 지참하셔야 참여 가능합니다. 
* 사진 촬영 시 학생들은 찍히지 않도록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학교 도서관 디자인에서의 주안점은 다양성을 신장시키고 유지하는 것이다. 여러 학년의 학생들이 함께 사용하는 도서관에서는 많은 측면의 다양성이 발생한다: 도서관은 학생들의 신체적 성장과 지적 성장, 다분야의 교육 과정, 그리고 문화적, 사회적인 고유성을 지원해야 한다. 

드와이트 스파크 오브 지니어스 센터(Dwight Spark of Genius Center)는 초, 중, 고교 각각의 시설을 하나의 협력적인 영역으로 통합한 도서관이다. 다양한 공간 생태계는 각 교육 과정을 위한 영역에 강력한 정체성을 부여하여 모든 수준의 학생들이 소유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프로그램 간의 교차는 연령대에 걸쳐 전반적인 연대감을 심어준다. 

선형의 ‘자라나는 책장(growing bookshelf)’은 도서관의 상징적인 중심이다. 유치원생 및 초등학생들은 동쪽 끝의 낮은 책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 책장 주변에는 볕이 드는 학습공간과 놀이 공간이 있고, 놀이 공간 안에는 해먹과 여러 가지로 기능하는 스타디움이 존재한다. 선형 책장은 중앙부에서 학생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자라나고, 위로 자라나는 책장들은 위에 나무집이 있는 작은 도시를 연상시킨다. 책장은 고등학생을 위한 구역까지 점점 커진다. 이 구역에서 학생들은 하나의 캡슐처럼 생긴 아늑한 학습공간에서 집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두 개의 공유된 구역은 모든 학생을 통합한다: 수직적인 차원에서 두 개 층을 아우르는 높이의 북 타워는 지식을 기념비적이지만, 재미있는 형태로 쌓아 올린다. 수평적인 차원에선, 모듈형 가구가 특징적인 입구 옆 다기능 영역이 다양한 편안한 그리고 안정된 학습 환경을 지원한다.

 Project : Architecture   사진 존홍


Project : Architecture
projectarchitecture.com
 
존홍
존홍은 건축가이며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이자 프로젝트 아키텍처(Project : Architecture)의 디렉터이다. 그의 작업은 건축과 도시학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도면, 소재, 이론 및 계산이라는 매체를 한 데 모은다. 존홍의 작업은 Architectural Record, Metropolis Magazine, The New Yorker, 및 Space Magazine을 비롯한 주요 언론매체에서 다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2014년과 2016년 베니스 비엔날레(Venice Biennale) 등의 국제 행사에도 전시되었다. 미국건축가협회(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ure)에서 수여하는 AIA Awards를 17회 수상한 바 있으며, 그 외에도 Architectural Record’s Design Vanguard 상, Architectural League NY에서 the Emerging Voices Award 및 Holcim 재단에서 Sustainable Construction Award 등을 수상했다. 가장 주목할 만한 저서  및 학술활동으로는 『융합하는 흐름: 한국의 현대건축과 도시학』(Convergent Flux: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Urbanism in Korea, 2012), 『새로운 주거방식의 조각들: 한국 현대사회의 도시주거』 (Fragments of a New Housing Language: Contemporary Urban Housing in Korea, 2016) 그리고 큐레이터로서 참여한 『서울 비엔날레』(Seoul Biennale, 2017) 및 『활동하는 도시들』(City as Verb, 2020)이 있다.  하버드 GSD (Harvard Graduate School of Design)에서 부교수(2007~14)를 역임했고, 펜실베니아 대학을 비롯해 주요 대학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했다. 하버드 GSD에서 건축학 석사를 취득했고, 버지니아 대학에서 건축학 학사를 취득했다.



서울 드와이트 외국인 학교 도서관
Dwight Spark of Genius Center: Spark of Genius Center
건축가: 존 홍(서울대학교 건축학과)
위치: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62길 21
시공: din 건축

Map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62길 21
건축가존홍 + P:A(Project : Architecture)
일시2023년 10월 27일 4:00PM
위치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62길 21
집합 장소학교 앞
TOP LIST
Report 이맥스시스템 사옥, 조남호+임기웅(솔토지빈 건축사사무소) 환경과 에너지 분야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회사로 도약을 준비하는 이맥스시스템. 그 사옥을 조남호 소장님의 안내로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서울 AI 허브, 이승택, 임미정(stpmj)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업무 공간은 어떤 모습이어야 할까? 서울 AI 허브는 그 답을 보여줍니다. 다양한 산업 간의 협업과 공유로 시너지를 만들어내는 이곳을 찾아, 메가 플로어에 창의적으로 조직된 공간들을 살펴보았습니다
Report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리노베이션, 김승회(경영위치 건축사사무소) 건축가의 섬세한 손길로 새롭게 태어난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을 찾았습니다. 성지의 품격을 고스란히 지키면서도 현대적 필요를 반영한 리노베이션은, 옛것과 새것의 아름다운 조화를 보여주었습니다.
Report 오목공원, 박승진(design studio loci) 목동의 대표적인 거점 공원인 오목공원(1989)은 30여 년이 넘는 세월 동안 나무들은 자랐지만, 휴식 공간이 부족했습니다. 조경가 박승진은 '어반 퍼블릭 라운지' 콘셉트로 회랑과 등받이 의자를 설치하고, 보행로를 줄이는 대신 더 풍성한 숲을 조성했습니다.
Report WGNB, 백종환  ‘같은 것을 보되 다른 생각을 하라’는 슬로건 아래, 우리 일상의 다양한 영감과 공간적 디자인을 연결해 새로운 관점에서의 공간을 추구하는 WGNB 스튜디오를 방문했습니다.  
Report (주)종합건축사사무소 시건축, 류재은 2024 서울시 건축상 민간부문 우수상 수상작 ‘원서작업실’(류재은 건축사. ㈜건축사사무소 시건축)을 설계한 건축사사무소를 둘러보며 그동안  ㈜건축사사무소 시건축에서 진행된 프로젝트들과 그 이면의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Report 기지 박서보주택, 조병수(BCHO Partners) 오픈하우스 진행 : 정윤석 팀장 기지 박서보 주택은 박서보 화백의 예술 철학이 반영된 공간으로, 단색화의 조화와 절제가 건축에 구현된 특별한 주택입니다. 그의 작품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된 이 주택은 예술과 건축이 만나는 독특한 공간을 제공합니다. 박서보 화백의 삶과 예술적 여정을 이해하며 공간을 바라볼 수 있었습니다.
Report 원오원아키텍스, 최욱 원오원아키텍스는 일상의 소품부터 인테리어, 잡지 출판, 건축까지 폭넓은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건축가로서 갖는 태도와 작업에 관한 최욱 건축가의 이야기를 듣고, 지금까지 작업해왔던 프로젝트에 대해 일부 들을 수 있었습니다. 층별로 성격이 다른 공간을 둘러보며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보았습니다.
Report 家 · 꿈, 최하영(마인드맵 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 최하영 동네 사람들의 공유지처럼 활용되던 오래된 동네의 빈 땅에 건물을 설계하면서 들었던 생각을 나누었습니다. 건축주를 배려하는 마음을 담아, 소품부터 공간까지 세심하게 설계된 부분들을 둘러보고 마지막으로 사계절을 경험할 수 있는 조경을 감상하며 프로그램을 마무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