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경춘선 숲길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2023년 10월 29일 2:00PM
서울 노원구 공릉동
야외공간을 함께 산책하며 조경을 둘러보는 프로그램입니다. 편한 복장과 신발을 착장하시고 야외 산책이 불편하신 분들은 프로그램 신청에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진행: 이진형(조경가, 조경설계 서안)


경춘선은 춘천상인들이 중심이 되어 우리민족의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만들어졌음에 의의가 있는 근대문화유산이자 살아있는 역사이다. 때문에 공원 설계의 핵심은 철길을 대하는 태도였으며 더불어 지역사회로의 환원, 그리고 도시적 맥락에서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풀어가는 것이었다. 철길, 철교 등 남겨진 근대산업시설은 물론 주변의 푸른 녹지 틀까지 보존을 원칙으로 하고 공원은 지역주민들의 일상 속 공간으로 환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새로운 프로그램을 관입시키거나 방문객을 위한 새로운 조치는 최소화하였다. 그래서 우리는 ‘보존해야 할 것’과 주민들에게 ‘되돌려 주어야 할 것’을 정하였고 ‘기억과 꿈을 가꾸어 가는 경춘선 공원길’이 경춘선의 새 이름이 되었다.
맨 처음 설계를 시작한 1구간은 경춘선의 폭이 겨우 12m 남짓 되는 단독주택 지변으로 주차장에 대한 민원이 심한 곳이었으며 좁은 골목길과 얽혀있는 복잡한 마을의 구조였다. 우리는 주민들의 일상 속으로 공간을 환원시키기 위해 ‘마을의 뜰’을 주제로 벚나무와 살구나무 아래 계절초화와 향토초화로 정원을 만들고 지역주민들이 함께 가꾸는 작은 정원공간을 배려하였다. 그리고 철길변 숲길이 잘 남아있는 곳은 그 공간의 느낌을 강조하며 산책공간으로 돌려주었다.
다음 2단계 구간은 중랑천을 지나는 철교와 함께 공동주택지가 조성된 지역이자 주민들이 산책하던 잣나무 수림과 철길변을 따라 텃밭으로 사용하던 구간으로 도시농업교육프로그램이 자생적으로 진행되던 장소였다. 그래서 지역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커뮤니티 정원과 생산정원이 주제가 되어 소소하게 공간이 만들어졌다. 그리고 중랑천 산책로와 자전거길을 연결한 철교는 옛 모습을 최대한 살려 경춘선의 향수를 간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마지막 3단계 구간은 화랑대역구간이다. 지역주민들의 생활권과 바로 맞닿아 있지는 않지만 즐기기 좋은 여가공간이다. 옛 향수를 고스란히 간직한 화랑대역사는 문화재로 보존하게 되었기에 그 주변의 플랫폼과 철길, 그리고 철길변의 숲 또한 그대로 보존하고 조금 여유로운 공터에 폐기차를 활용한 작은 북카페와 함께 마을의 행사를 위한 공간을 조성했다.
이로써 경춘선숲길은 도시 내 버려졌던 산업시설의 공원화를 통해 도시재생과 지역활성화의 모범적인 사례로 매우 의미가 큰 프로젝트라 할 수 있다.

글 사진 조경설계 서안


위치: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
면적: 연장6.3Km    
설계년도: 2014~16    
범위: 계획, 기본/실시설계
©조경설계서안
이진형(조경가, 조경설계 서안)
이진형 소장은 조경설계 서안(주)에서 처음 설계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작업하고 있는 조경설계가이다. 그가 서안에서 진행한 주요작품은 선유도공원, 청계천복원사업, 여의도샛강조성사업, 광화문광장조성사업, 세종시 호수공원, 실학생태공원, 경춘선공원화사업과 같이 도시인프라과 관련된 프로젝트가 주를 이루며 그 작업 속에서 조경이 만나는 ‘도시와 사회의 관계’에서 실천적인 전략을 탐구하고 있다.
satla.co.kr
Map 서울 노원구 공릉동
건축가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일시 2023년 10월 29일 2:00PM
위치 서울 노원구 공릉동
집합 장소 녹천중학교 정문 신한은행atm 앞(좌측지도)
인원 20
TOP LIST
Report 고석공간, 김수근 오픈하우스 진행: 안창모 <고석공간>은 건축가 김수근이 그의 누나인 김순자 여사와 매형 박고석 화백을 위해 설계한 집, 그가 설계한 마지막 주택입니다. 안창모 교수님과 함께 김수근의 건축 유산을 제대로 돌아보고, 예술적 내력이 오늘의 집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이야기함으로써, <오래된 집>의 가치와 의미를 나누어 보았습니다.
Report 스튜디오 히치 오픈스튜디오, 박희찬(스튜디오 히치)
Report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 민현준(홍익대학교)+(주)건축사사무소엠피아트 오픈하우스 진행: 민현준 서울시 산악문화체험센터는 산악인들의 플랫폼이자 도전정신을 기를 수 있는 청소년들의 교육 공간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결합하여 故 박영석 대장을 기념하고 그의 도전정신을 보여주고자 하는 메인 홀의 공간, 외적으로는 강한 산의 형상이면서, 동시에 내적으로는 청소년들과 산악인들의 가변적이고 가벼운 텐트 같은 아지트가 되기 바랬던 건축가의 의도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Report 도예가의 스튜디오 하우스 '란트샤프트', 심근영 (아키텍츠 601) 오픈하우스 진행: 김선제, 심근영 란트샤프트는 도예작가이자 디자이너 부부인 건축주의 작업공간과 집이 때론 독립적으로 때론 함께 호흡하는 흐름으로 이어져있는 곳입니다. 김선제, 심근영 건축가와 함께 예술가의 삶을 담은 주택을 만나보았습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
Report 콤포트 서울, 문주호(경계없는작업실) 오픈하우스 진행: 문주호 기존 소월길 접근로들과 같이 물리적 단차를 극복하는 단순한 장치의 성격을 넘어, 누구에게나 열린 새로운 길이 되어 사람들이 모이고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작동하는 콤포트 서울을 문주호 건축가의 설명과 함께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경춘선 숲길,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오픈하우스 진행: 이진형(조경가, 조경설계 서안) 정영선 선생님이 가장 애정을 갖는 경춘선 숲길은 사유하고 산책하는 도심의 산책길을 보여주었습니다. 이진형 조경가와 함께 걸으며 어떻게 숲길을 만들어내고자 했는지 이야기를 나누었습니다.
Report 건축가 김중업의 사직동 주택, 김중업 1983년에 지어졌으며 1980년대 주택 설계 특징을 잘 담고 있는 김중업의 사직동 주택의 문을 다시 열었습니다. 2021년 오픈하우스 행사를 통해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으며 보존을 결정하게 된 사직동 주택의 활용 방향성에 대해서도 함께 생각해 보았습니다.
Report 어드저스터블 스튜디오(Adjustable Studio), 한지영, 황수용(LIFE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황수용 부암동의 어드저스터블 스튜디오는 건축가를 위한 작업공간 외에도 지역의 일원으로 사회의 접점이 될 수 있는 공간을 같이 담으려는 건축가의 마음이 깃들어 있습니다. 황수용 건축가와 함께 부암동 속에서 지역과 함께 성장하고자 하는 목표가 담긴 공간을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선유도공원,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오픈하우스 진행: 배정한(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선유도는 정영선 선생님의 대표작으로 꼽힙니다. 이곳에는 산업 유산을 재구성한 건축가 조성룡의 작업과 함께 시간에 따라 공간과 경관의 변화를 어떻게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제안이 담겨 있습니다. 2002년 문을 연 후 지금까지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선유도 공원을 배정한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교수님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며 산책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