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CIAL

영상 ㅣ 운중동주택

조병수

2020년 11월 6일 2:00PM
* 11월 6일 영상이 공개됩니다.
서울 교외 지역 주택 개발지에 혼재하는 무감각적인 여러 집으로 둘러싸인 대지에 하얀 큐브를 쌓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였다. 주변의 조형적 문맥과 더불어 대지 남북에서 차이가 나는 5M 정도의 높이 차이는 복잡한 주변 환경 속에서도 사용자가 어떻게 대지 내에서 쾌적한 조망환경을 경험하게 할 것이냐는 새로운 건축적 목표를 만들어 냈다. 만약 북쪽에 2층 높이의 건물이 위치한다면 사용자의 대지 내에서는 3층 건물 높이의 볼륨으로 읽힐 것이다. 쌓인 하얀 큐브의 볼륨은 이러한 조망과 프로그램배치의 적정선을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사용자가 더 나은 조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남쪽 방향의 볼륨을 줄이고 2층과 3층은 서로가 하나로 이어진 볼륨으로 읽힐 수 있도록 디자인함과 동시에 2층에서 가로가 내려다보이는 곡선 프레임의 개구부를 계획했다. 건물의 남동쪽 조망은 주변의 비감성적인 조형들로 인해 더욱 혼돈되고 무질서한 전망을 만들고 있어 적절히 사용자와 그 사이를 차단해주어야 했다. 앞서 설명된 곡선 프레임의 개구부 벽체가 자연스럽게 상승하여 해당 부분의 조망을 차단해주면서 내부로는 아늑한 테라스 공간을 형성되도록 했다. 동일한 입면 디자인 언어는 2층에 있는 침실과 화장실에 환기 채광을 위해 상단부의 곡선 프레임과 하단부의 평평한 표면으로 표현하였다.

긴 장방형의 대지 형태와 남-북측 대지 높이의 차이로 남-북측 각각에 출입구를 계획하였다. 남측에서 접근하여 건물 중앙에 위치한 계단실을 따라 올라오면, 2층 중앙부 서쪽에 위치한 건물의 외측 벽과 유리창 사이의 중정 테라스 공간으로 들어오는 자연광을 느끼며 건물 내 수직 이동을 할 수 있다. 주택 내부에서 사적인 움직임이 외부의 시야로부터 완전히 차단되지만 자연 채광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에서 이뤄지게 된다.

이처럼 각각의 층마다 남측-서측으로 작아지며 조절되는 흰색 큐브의 볼륨들은 다양한 형태의 중정 테라스를 만들어 낸다. 흙마당에 식재된 나무조경으로 이뤄진 중정, 나지막하게 물이 흐르는 중정, 작은 화분들이 놓인 공간까지 자연과 함께하는 사이 공간으로 존재한다. 이 공간들은 건물 실내와 외기를 구분하는 벽과 전체적인 볼륨을 조정하는 외측부의 콘크리트 벽 사이에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사용자에게는 프라이버시를 외부보행자에게는 보이는 각도마다 자연요소들과 함께 하는 건물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북측에서 접근하는 동선은 2층 실내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동선과 외부 계단을 통해 3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좁은 동선과 연결된다. 남·북측 각각의 접근로를 받아들이는 곡선의 개구부는 상층부에서 쾌적한 조망을 위해 사용했던 디자인언어와 그 방향성을 함께하며 건물 전체의 감성적인 조형미를 계획하였다. 조망과 접근을 위한 디자인에서 의도한 외관의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조형감은 내부 계획에도 함께 고려되었다. 서측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외벽은 내부에 추가적인 구조 보강재가 필요 없도록 계획되어 사용자가 추가적인 구조 벽체를 느낄 수 없도록 하였다. 장방향의 평면계획 상 각각의 프로그램들이 수평적으로 길게 배치되지만 각 공간이 건물 외부로부터의 자연채광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자연과 건축의 적절한 결합은 물리적인 것뿐만 아닌 효율적인 구조 및 건축 평면 계획으로부터 환경적인 부분에서도 경험되어진다.

건물에 어디에서든 최대한의 자연의 빛이 곡선프레임의 개구부로 스며들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평면과 입면의 구성은 동시에 진행되며 개구부로부터 들어온 자연과 쾌적한 조망을 위한 계획은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게 적절히 조절되었다. 단순하게 쌓아 올린 하얀색 박스들은 이처럼 주변 환경을 거스르지 않으며 배치되고 대지에 새로운 감정적*감성적 조형미를 더할 수 있도록 그 볼륨들이 결정되었다. 프라이버시를 위한 벽체로 둘러싸여 있지만, 그 형태는 친밀하며 내부에서는 자연을 단순하면서도 소박하게 경험할 수 있게 하였다.

글 조병수, 이치훈 사진 Sergio Pirrone


조병수
1994년에 조병수건축연구소를 개소한 이후 ‘경험과 인식’, ‘존재하는 것, 존재했던 것’, ‘ㅡ자 집과 ㄱ자 집’, ‘현대적 버나큘라’, ‘유기성과 추상성’ 등을 주제로 건축 활동을 이어왔다. 하버드대학교, 콜럼비아대학교,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대학교와 연세대학교, 몬태나대학교, 하와이대학교 등 여러 대학에서 설계와 이론을 가르친 바 있다. 대표작으로 파주 어유지 동산, 수곡리 ㅁ자 집, 땅집 등이 있다. 한국건축가협회상, 미국건축가협회상, AR House awards (Highly commended) 등을 수상하였다.

조병수건축연구소
http://www.bchoarchitects.com/bcho.html
사진 _ 김재경
Map * 11월 6일 영상이 공개됩니다.
건축가 조병수
건축주 이병곤
일시 2020년 11월 6일 2:00PM
위치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운중동
TOP LIST
Report 호암미술관 전통정원 ‘희원(熙園)’,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오픈하우스 진행: 김수정(조경설계 서안) ‘희원(熙園)’은 한국 정원의 정서를 현대적으로 담아낸 정영선 선생님의 대표작입니다. 한국 정원의 원형에 대한 섬세한 접근이 보이는 대표적인 정원을 정영선 선생님과 김수정 조경설계 서안 수석디자이너와 함께 산책했습니다.  
Report 그래픽, 김종유(오온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김종유 건축가는 주변의 다세대 주택들과 완전히 분리시켜 온전히 책에 집중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자 창문을 없앴고, 건축물 내/외부의 소재로 사용된 세라믹 패널들은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냈습니다. 김종유 건축가와 함께 그래픽의 공간을 만나보았습니다.
Report 기지 박서보주택, 조병수(BCHO Partners) 오픈하우스 진행: 정윤석(BCHO Partners) 매해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아 온 기지 박서보주택이 올해도 문을 열었습니다. 조병수 건축가는 박서보 화백의 묘법 시리즈에서 보여준 반복과 중첩에 매료되어 단순함, 깊이감, 그리고 미세한 변화가 숨쉬는 건물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어수선한 주변 환경에서 보호하되 안에서 열려있는 건물, 그리고 그 안에서 과감하게 열리는 코너창과 장 스팬의 캔틸레버가 품는 경관을 만나봅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   
Report 리브랩(LibLab), 프로덕티브 주식회사+문도호제+스튜디오 커먼굿 오픈하우스 진행: 임태병(문도호제) <리브랩>은 청소년 중심 도서관입니다. <라이브러리 티티섬>을 설립, 운영중인 ‘도서문화재단 씨앗’이 새롭게 만든 실험적인 도서관을 임태병 건축가와 함께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기록으로서의 창작(Creator as Archivist), 황두진(황두진건축사사무소)+김종신(기린그림)
Report BUNKER 대방 청소년 문화의 집, 조진만(조진만 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조진만 <BUNKER 대방 청소년 문화의 집>은 조성 시기가 불분명한 군용 시설인 동작구 대방동의 벙커를 지역의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시설로 바꾸었습니다. 도시의 숨겨진 벙커라는 비일상적이고 특수한 환경, 비일상적인 스케일을 활용한 ‘작은 지하도시’이자 청소년들을 위한 공간을 조진만 건축가와 함께 둘러보았습니다.
Report 엑셈 마곡 연구소, 김찬중(㈜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오픈하우스 진행: 홍효정 수석(㈜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마곡지구에 들어선 엑셈 마곡 연구소는 스크린 업무를 주로하는 업무 공간에 눈부심 현상을 줄여줄 안정된 빛 환경, 또 심리적 지속가능성, 탄소 저감을 실천하는 친환경성, 창의적 업무 수행 방식을 수용하는 유연함까지 고려하고 있습니다. 홍효정 수석(㈜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과 함께 과감하게 연결된 오피스 공간을 둘러보았습니다. 사진 이강석(오픈하우스서울) 
Report 조성욱건축사사무소 오픈스튜디오, 조성욱
Report 원오원아키텍스 오픈스튜디오, 최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