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은혜공동체협동조합주택

김태영, 김현준

2018년 10월 20일 2:00PM
서울시 도봉구 도봉로191가길 20
은혜공동체 협동조합주택은 도봉산 아래 안골에 위치하며, 다세대주택과 근린생활시설의 복합 용도로 지상3층, 지하1층 규모다. 47인의 14가족을 위한 거주공간과 이들을 엮어주는 공유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 은혜공동체는 ‘부족’이라는 독특한 사회적 가족의 형식을 10년 동안 실험해 왔다. 거주 단위로서 4개의 부족이 모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대가족 개념이다. 일상생활을 같이 하는 의미에서 가족의 결속력을 갖지만, 그 경계와 구성이 유연하다.
1층 현관에 들어서면 건물 곳곳에 위치한 공유공간을 자유롭게 거닐 수 있다. 각 부족 거실은 각각의 정체성을 갖지만, 다른 부족에게 항상 열려있다. 개인 책들은 1부족 거실에, 어린이 책들은 2부족 거실에 모아 놓고 함께 읽는다. 두 부족 공간의 사이에 위치한 테라스도 양쪽 집에 문이 있어 거실을 서로 연결한다.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새로운 건축 실험은 공간위상(topology)을 바꾸는 연결과 흐름, 순환에 집중된다. 스킵플로어(반층) 계단을 통해 네 부족의 공간을 수월하게 이동하게 한다.
현관문은 늘 열려 있으며 거실은 중앙의 코어에 가깝게 배치했다. 4개의 거실은 도서관, 카페, 작업실, 사랑방, 영화 및 게임공간 등 부족의 독특한 성격을 반영한다. 남, 동으로 배열된 사적인 공간은 순환복도로 거실과 연결되며 동선 선택과 우회가 자유롭다. 1층, 지하1층, 옥탑에는 전 부족이 함께 사용하는 공유공간이 위치한다. 소나무 숲을 조망하는 1층 카페는 공동체 일원인 바리스타가 운영하며, 1층의 게스트하우스가 인접한다. 갤러리 겸 지하 계단실이 연결하는 집회실과 다목적홀은 다양한 소그룹 활동과 방과후 학교, 공동체 식탁프로그램을 수용한다. 50개에 달하는 소그룹 활동도 부족의 경계를 넘는 자발적인 활동이다. 식사, 육아, 일, 교육, 휴식, 놀이, 토론, 공부, 독서, 노래, 연주 등을 함께 하는 다채로운 공유 일상은 마치 작은 마을과 같다.
동쪽, 서쪽, 북쪽에 위치한 3개의 선큰 정원은 지하에 채광과 환기의 역할을 담당한다. 옥탑카페는 4계절의 식재 스케줄이 계획된 허브정원을 향해 열려있다. 다락의 경사를 반영한 옥상데크는 순환 산책로를 제공하는데 마치 도봉산자락의 형상과 닮아 있으며, 일상과 거리를 둔 자연과 대면한 쉼을 제공한다. 새로운 공간의 탐험을 위해 소유를 훌훌 털어 버린 여행자의 삶을 지향하는, 은혜공동체와의 공유 여정이다.

김태영, 김현준  사진 노경


김태영
서울대학교 건축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 건축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위상적 관점을 이용해 공동체의 새로운 삶의 방식을 구현하는 공유공간 조직, 공공공간의 재조직에 관심이 있다. 2002년부터 2013년까지 런던에 거주하며 다국적기업 겐슬러에서 유럽, 중동, 동남아시아에 이르는 호텔, 주거, 오피스 등의 복합시설의 마스터플랜 및 건축프로젝트에서 리드 디자이너의 역할을 수행하는 한편 건축교육을 병행했다. 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에 부교수로 재직중이며, 은혜공동체협동조합주택(2018 서울시건축상최우수상)를 비롯한 다수의 공동체주택, 성동책마루(2018 공공건축상우수상), 정선토속음식전수관, 정선생활문화센터 등의 공공건축물의 신축 및 리모델링 설계를 협업했다.

김현준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런던에 거주하며, AA스쿨 디플로마 과정을 마치고 SOM London, Gensler London, TMA (Tony Meadows Associates)에 근무하면서 다양한 건축, 도시, 환경 관련 프로젝트를 경험했다. 도시에서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의 충돌과 공존의 관심은 <뉴욕, 런던, 서울의 도시재생>(공저)에서 스트리트마켓의 창발적 원류, 지속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졌다. 최근 공동체를 위한 주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공용과 전용으로 구분되는 획일적 공간 관계에 질문을 던지며 ‘같이 사용하는 공유공간’의 연결을 위상학적 방법으로 시도하고 있다. 현재 국립강원대학교 건축학과에 재직 중이며, 은혜공동체협동조합주택(2018 서울시건축상최우수상), 푸른마을협동조합주택, 판교K&L하우스, 성동책마루(2018 공공건축상우수상), 정선토속음식전수관, 정선생활문화센터 등 신축 및 리모델링 설계를 협업했다.
Map 서울시 도봉구 도봉로191가길 20
건축가 김태영, 김현준
일시 2018년 10월 20일 2:00PM
집합 장소 서울시 도봉구 도봉로191가길 20
인원 20
TOP LIST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스페셜 프로그램 원효로 예수성심성당과 옛 용산신학교, E. 코스트 신부 9월 22일 1:00PM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스페셜 프로그램 [투어] 아침 산책, 사직동에서 만난 국제 교류 공간 1 9월 22일 10:00AM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스페셜 프로그램 원효로 예수성심성당과 옛 용산신학교, E. 코스트 신부 9월 21일 1:00PM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스페셜 프로그램 원효로 예수성심성당과 옛 용산신학교, E. 코스트 신부 * 9월 16일 오후 2시부터 참가 신청 가능  * 이 프로그램은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와 연계한 스페셜 프로그램입니다.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티켓 혹은 방문 스탬프를 소지하셔야 입장 가능합니다.(입장 시 현장 확인) * 프로그램 신청 시 오픈하우스 웹사이트 회원가입이 필수(가입 시 휴대폰 본인 인증)이며 신청한 본인만 참여 가능합니다. 참가비는 무료이나 노쇼 방지를 위해 예약금 결제 후 참석 시 반환합니다. 자세한 방법은 How to를 참고해주세요.  2019년 9월 21일 (토) 13:00 2019년 9월 22일 (일) 13:00 프로그램 예상 시간 : 1시간 내외 프로그램 진행  김정신(단국대학교 건축학과 명예교수)  원효로 예수성심성당 현재 성심기념관과 성심여고의 부속성당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물은 원래 용산신학교와 신학교 부속성당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1885년 원주 부엉골에서 개교한 예수성심신학교(현 가톨릭대학교 신학부의 전신)가 1887년 용산 원효로에 이전한 후 신학교 교사동은 1892년부터(현재 남아있는 성심기념관은 1911년 건축), 예수성심성당(신학교 부속 성당)은 1902년에 세워졌으며, 이 성당 출입구 안쪽 상부에 있는 명문에는 김대건 신부의 이니셜 A. K. 및 그의 생존기간(1821-46)이 로마자로 표기되어 있다. 신학교 부속성당인 예수성심성당(사적 제 521호)은 1902년에 세워졌으며, 프랑스인 코스트(E. Coste) 신부가 설계·감독 했다. 언덕을 이용하여 지었기 때문에, 남쪽 언덕 아래는 3층이고 수녀원 쪽은 2층이 된다. 주로 이용하는 출입구가 중앙이 아니라 한쪽으로 치우쳐있어 비대칭의 모습을 이루었다. 건물의 내부는 제단과 예배석만 있는 단순한 교회형식이지만, 뾰족아치로 된 창문이나 지붕위의 작은 뾰족탑은 전체적으로 약식화된 고딕풍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 이 성당은 신학교 부속 성당(chapel)이기 때문에 일반 교구성당과는 평면형식이 다르다. 정면 입구에 배랑(narthex)이 없으며, 출입구는 제단 쪽 양 측면에 나있고 제의실이 제단 반대측 입구에 설치되어 있다. 신자석 바닥도 원래는 제대를 향해서가 아니라 중앙축을 향해 좌우에서 아레나(arena) 형식으로 단을 지어 내렸다. 지금은 평평한 마룻바닥으로 바뀌었고, 제의실은 벽을 터서 신자석으로 쓰이고 있다. 대신 한동안 제의실이 좌측 외부에 부가되어 복도로 연결되었으나, 보수・복원공사를 통해 철거되고 1층방(과거 신부방)을 제의실로 사용하고 있다. 정면의 지붕은 가파른 맛배지붕이며, 후면의 앱스(apse)는 5각으로 꺾여있다. 규모에 비해 다소 육중한 버트레스가 각 베이마다 설치되어 있고 버트레스 꼭데기에는 피나클로 장식하였다. 규모와 폭에 비해상대적으로 높은 천장, 제대부의 천장 구성, 간결하면서도 정교한 디테일 등 고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건축당시 제단 뒷벽 5개의 아치창에는 중세풍의 스테인드글라스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한국전쟁 시멸실되었고, 1985년 故 이남규에 의해 제단 뒷벽 5개의 아치창의 달드베르와 양 출입구 상부의 엔티크글라스 원형창이 설치되었다. 성심학원의 오랜 숙원이었던 스테인드그라스 창의 보수복원 사업은 2013년 달드베르의 제단 창이 보수되었고, 나머지 양 측면 및 남측 창은 2015년 스위스출생의 마르크 수사(Fr. Marc)와 헤이리 유리재 공방에 의해 제작 설치되었다. 글 : 김정신 옛 용산신학교 최초의 신학교였던 베론 신학당(1855년)은 1866년 폐쇄당하고, 여주 부엉골 신학교가 현재 신학교 부지로 옮겨와 1887년 용산 예수성심신학교가 세워졌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가톨릭 신학교 건물로 의미가 깊다. 용산신학교 건물은 1911년에 완공되어 1942년까지 대신학교 교사로 사용되었다. 이 건물은 외부가 조지아 양식으로 장식된 2층 붉은 벽돌 구조로 사적 제520호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1956년부터 성심수녀회 수녀원으로 사용하기 시작해 현재 성심수녀회 관구 사무실과 성심기념관 및 역사 자료실로 사용하고 있다. 옛 용산신학교 건물의 설계자가 코스트 신부로 알려져 있으나 코스트 선종(1896)과 건물의 완공 시기(1911)가 큰 차이가 있는 등, 여러 정황상 코스트 설계로 보기 어렵다는 학계 주장이 있다.  글 : 김정신 사진 : 문화재청, 성심수녀회, 김정신 제공
2019 서울도시건축비엔날레 스페셜 프로그램 정동교회 정동교회는 1898년 준공한 우리나라 최초의 본격적인 개신교 교회이다. 사적 제256호이다. 미국공사관, 이화학당, 배재학당과 인접했던 곳이며, 기독교 전파와 교육 사업이 이 일대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빅토리아식 예배당으로 붉은 벽돌을 사용한 건물이다. 본래는 십자형으로 115평이었으나 1926년 증축 때 양쪽 날개부분을 넓혀서 현재는 175평의 네모난 모양을 이루고 있다. 원래 건물은 그대로 두고 양 날개 부분만 늘려지었기 때문에 건물의 원래모습에는 손상이 없다. 벽돌쌓기를 하였으며, 곳곳에 아치형의 창문을 내어 고딕양식의 단순화된 교회당 모습을 이루고 있다. 돌을 다듬어 반듯하게 쌓은 기단은 조선시대 목조 건축의 솜씨가 배어있어 주목된다. 이 교회당의 종은 장식없는 내부 기둥들의 겉모습과 함께 소박한 분위기를 지니기 있다. 소박한 분위기를 지니고 있는 북미계통의 단순화된 교회건물이다. 출처 및 사진 제공 : 문화재청   주소 서울시 중구 정동길 46 이용 시간 제한 없음 휴관일 없음 이용 요금 무료 안내 www.chungdong.org
OpenHouse 제따와나 선원, 임형남, 노은주 10월 21일 10:00AM
OpenHouse 은혜공동체협동조합주택, 김태영, 김현준 10월 20일 2:00PM
OPENHOUSE 한국 이슬람교 서울 중앙성원 용산구 한남동에 위치한 서울중앙성원은 한국 정부의 배려와 이슬람 국가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1874년 착공, 1976년 개원한 한국 최초의 이슬람 성원이다. 1층의 사무실과 대회의실, 2층의 남자 예배실, 3층의 여자 예배실이 설치되어 있으며, 부속건물로 이슬람센터가 있다. 높은 첨탑은 예배를 알리는 ‘아잔’을 낭송하는 곳이며, 건물 상단에는 녹색 글씨로 ‘알라후 악바르(신은 위대하다)’라는 아랍어가 쓰여 있다. 내부 예배실 천장의 돔을 통해 햇빛이 들어오며 붉은 카페트에 선이 그려져 서로의 어깨를 나란히 하고 예배를 드릴수 있도록 했다. 건축물 곳곳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이슬람교와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