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호재(弧齋)

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2023년 10월 27일 3:00PM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의뢰인과 대화하면서 떠오른 생각은 한옥의 중정이었다. 구체적이지는 않았지만, 의뢰인은 전반적으로 여유가 있고 고요한 분위기를 원하고 있었다. 길에서 바로 현관이 보이기보다는 숨겨져 있고, 길지는 않지만, 집의 내·외부에 동선을 느낄 수 있는 구조가 적합하다고 생각했다.
땅은 462.8㎡(140평) 정도로 도심에 있는 단독주택 필지로서는 비교적 큰 편이었다. 3면이 인접 대지와 접하고 북쪽에 도로가 접하는 구조로, 도로 쪽으로 창을 낼 필요가 없는 내부 지향적 형태가 적합한 땅이었다. 
부부는 인근에 가족과 친척이 있어 여러 모임이 많을 것으로 예상했고 방들은 개별적 프라이버시가 충분히 확보되는 계획을 원했다. 남쪽을 향해 열려 있는 ‘ㄷ’자 구조로 배치를 하였다. 도로 쪽 외벽은 반경 50m 정도의 곡선으로 계획되어 전면에서 완만한 곡선이 느껴지고 그 부분에 전면 조경이 계획되어 있다. 집의 이름도 완만한 곡선을 뜻하는 ‘활 호(弧)’ 자를 따서 ‘호재(弧齋)’라고 하였다. 
전체적으로 재료는 집의 분위기와 어울리고 시간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붉은 벽돌을 사용하였다. 전면 곡선 부분은 벽돌의 거친 부분으로 마감하여 내·외부의 차이를 주었고 내부는 일반 벽돌에 가로줄눈으로 시공하였다. 외부에서 벽돌 하나의 재료만 보이도록 디테일을 고민하였다. 그래서 빗물 방지(flashing) 부분과 외부 천장 부분의 금속 디테일에 고민하였고 대부분 선적인 요소로 보이도록 계획하였다. 
중정형 구조로 되어 있어 실 대부분에서 남향으로 창이 나 있고, 맞통풍이 가능한 구조이다.
거실과 주방은 열려 있고 거실의 상부는 층고가 높아 다른 공간과는 차별화된 형태이며 창호, 커튼, 조명의 선택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방과 화장실 등은 개별적인 사용자의 요구를 최대한 고려하여 철저하게 프라이버시가 보장된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수목이 있는 조경과 돌로 마감된 외부는 사용성과 유지관리 측면을 고려하여 계획하였다. 거실의 전면부는 잔디를 심었고 중정 부분은 판석으로 마감하였다.
집의 규모를 고려하여 대문과 현관을 별도로 두었고 대문을 지나 현관으로 가는 여정에 중정을 지나면서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인접한 주택을 고려하여 시야를 막아주면서도 자연을 향해 열려 있는 구조를 고민하여 2층의 테라스를 계획하였다. 3개의 테라스는 내·외부의 소통 공간이며 다양한 휴식과 활동을 담아내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입면은 기본적인 주택의 기능을 충족하면서도 최대한 단정하고 매스감이 느껴지도록 계획하였다.

건축사사무소 공장 사진 김창묵 

건축사사무소 공장
gjarch.com

정우석
인하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정림건축에서 실무를 익혔으며, 2012년 건축사사무소 공장을 설립하였다. 대한민국 건축사로 인하대학교 겸임 교수다. 인간의 기억과 공간 그리고 장소의 가치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건축작업을 하고 있고 주로 주거와 교육 시설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채워가고 있다.

설계: 정우석
설계 담당: 기성윤
위치: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대지면적: 464.1㎡
규모: 지상 2층
건축면적: 184.47㎡
연면적: 249.87㎡ (1층 :156.92㎡, 2층 :92.95㎡)
건폐율: 39.75%
용적률: 53.84%
주차대수: 2대
최고높이: 9.24m
구조: 기초_철근콘크리트 매트기초, 지상_철근콘크리트
단열재: PF보드
외부마감: 외벽_치장벽돌, 지붕_컬러강판
전기·기계 및 설비: 건화 엔지니어링
구조 설계(내진): 최민태
시공: ㈜ 동양
감리: 정우석
공사 기간: 8개월

Map 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건축가 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설계 담당 기성윤
일시 2023년 10월 27일 3:00PM
집합 장소 기타공원(경기도 김포시 장기동 1721)
인원 12
TOP LIST
OPENHOUSE [추가 예약] 테크노플렉스(Technoplex), 포스터 앤 파트너스(Foster+Partners) 10월 27일 3:00PM
OPENHOUSE 호재(弧齋), 정우석(건축사사무소 공장) 10월 27일 3:00PM
OPENHOUSE 마곡문화관, 안창모+최춘웅 양천수리조합 마곡문화관으로 거듭난 구 양천수리조합 내 배수펌프장은 1928년 6월 30일 준공되어 현존하는 근대 산업시설물 중 유일한 농업관련 시설물로서 2007년 11월 등록문화재 제363호로 등록되었다. 양천수리조합은 1923년 설립된 경기도 김포군 양동면 마곡리, 가양리, 등촌리, 염창리, 양서면 내발산리, 송정리, 방화리 내 총 595정보를 몽리구역으로 하는 수리조합으로, 총 길이 1680칸의 방수제를 축조하여 구역을 보호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 그 기능을 계속 유지했으나, 1980년대 이후 주변 지역이 도시화하면서 1991년 용도 폐지되었다. 건축면적은 350㎡이며 22.5mx15.5m 크기의 콘크리트 기단부 위에 왕대공 트러스로 지붕이 구성된 목조 건축물이 보존 및 복원되었다. 배수장 내부에 수로가 관통하고 각 수로에 펌프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1993년 소유 기관인 한국농촌공사가 건축물을 임대하여 공장으로 활용되면서 기단부 부분이 복개되었고, 배수로 측 수로를 막고 있던 철재갑문들도 모두 사라졌다. 수직적 영역의 분리 건축적 복원과 더불어 배수펌프장의 농업 기반시설로서 정체성을 회복하는 것을 본 과제의 중요한 목적으로 정했다. 지상 위로 드러나 있는 목조 구조체가 주변 지역을 향한 상징성과 실용적인 시설보호의 기능성을 위한 건축물이었다면, 지하 구조체는 배수펌프장의 실체로서 주변 지역의 정체성을 정립하기 위해 복원되어야 할 역사의 흔적이라고 판단했다. 지하 구조체의 보존 상태는 물론 존재 여부에 대한 확증이 없었으나 문헌자료들에 의존하여 설계를 진행하였다. 사라진 지하 공간을 다시 발굴하고 물의 공간으로 회복하여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목조 구조체가 중심이 되는 역사적 경관을 최대한 유지하는 동시에 새로운 실내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었다. 또한, 배수펌프장의 건축과 주변 조경을 다양한 시점에서 보고 경험할 수 있는 입체적 공간 조성을 가능하게 했다.  계획의 기본원칙으로 배수펌프장을 3개의 차별화된 수직적 영역으로 분리했다. 상부 목조건축물은 복원 영역으로 문화재로서 충실한 복원을 우선시하고, 기단부는 증축영역으로 자유롭게 변형했으며, 마지막으로 지하 공간은 발굴 영역으로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했다. 배수펌프장의 원도면과 기록 사진에 의거하여 지하에 숨어 있는 수로 및 콘크리트 지하 구조체를 발굴하고 내부 공간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신축 당시 도면을 근거로 기본계획을 세운 후 정확한 상황 파악을 위한 발굴 작업 후 현황에 맞추어 계획을 보완했다.  지하 배수로는 문화재에 포함되지 않지만, 배수펌프장의 정체성 유지를 위해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하 공간을 최대한 발굴하고 활용하는 것은 지상 구조체를 복원하는 것 이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방문객들은 물의 통로를 따라 배수펌프장을 경험하고 거친 표면의 물성과 천창으로 유입되는 빛의 조화를 느낄 수 있게 되었다. 글, 사진 최춘웅 마곡문화관 개관 화-일 10:00 ~ 17:30 휴관 월요일 입장료 무료 문의 02-2104-9716 웹사이트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lookaround/botanicGarden_03.do
OPENHOUSE 대양역사관, 스티븐 홀+이인호 10월 27일 2:00PM
SPECIAL 호암미술관 전통정원 ‘희원(熙園)’, 정영선(조경설계 서안) 10월 27일 1:00PM
OPENHOUSE 그래픽, 김종유(오온건축사사무소) 10월 27일 11:00AM
OPENHOUSE 리브랩(LibLab), 프로덕티브 주식회사+문도호제+스튜디오 커먼굿 10월 27일 10:00AM
OPENHOUSE 기지 박서보주택, 조병수(BCHO Partners) 10월 27일 10:00AM
OPENSTUDIO 기록으로서의 창작(Creator as Archivist), 황두진(황두진건축사사무소)+김종신(기린그림) 10월 26일 7:00P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