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2)](https://cdn.ohseoul.org/o24rq2bj57ecbp3qvzdneqp4.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5)](https://cdn.ohseoul.org/riiynileo4ov7zr3mhn6yjwh.webp)
두 개의 세계, 차원의 전환
성북동 우손갤러리에는 두 개의 세계가 존재한다. 외부는 콘텍스트, 시간, 유사성과 긴밀히 연관되고, 내부는 프로그램, 공간, 상이함의 단어와 맞닿아 있다. 계획의 기본 방향은 상반된 두 세계의 특성을 분명히 하고 증폭하는 데 있었다.
경사지붕의 형상은 유지하되 창은 기존과 유사한 붉은 벽돌로 메웠다. 이는 원래의 형태와 조형성을 드러내 갤러리로서의 존재감을 고려한 것이다. 내부는 방들의 집합에서 하나의 열린 공간으로 바꾸었고, 벽은 작품을 위한 백색의 바탕면이 되었다. 마감은 간결히 처리하고, 재료의 만남은 표정을 지워 중립적으로 만들었다.
철골 기둥을 외벽에 숨기고, 층고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철골 보를 드러낸 것은 이 프로젝트가 지닌 기술적 제안이다. 갤러리로서의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내부 재료의 물성과 감각은 의도적으로 최소화했으나, 외벽의 붉은 벽돌은 시간과 함께 더욱 도드라졌다.
‘우손갤러리 서울’에 담긴 두 세계는 각기 정체성을 가지면서도 유연하게 서로 전환되기를 기대한다.
글 지요건축사사무소 사진 남궁선
지요건축사사무소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14)](https://cdn.ohseoul.org/zn2qmcbnrn3o2o5jafck4owa.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17)](https://cdn.ohseoul.org/ixhqc4dfbi7qeqdqwzachrx6.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4)](https://cdn.ohseoul.org/wwufcyoopfkcicpeyynlqawv.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15)](https://cdn.ohseoul.org/jbgcvdj3fluei6jjqq3abe5z.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16)](https://cdn.ohseoul.org/g7ds7h6nrhtheud6gcwdidfz.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3)](https://cdn.ohseoul.org/sglhcffzlcunf62ptru2ckvf.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6)](https://cdn.ohseoul.org/gwtooqboxvoiox44n7wbbv27.webp)
![[리사이징] OH 우손갤러리 서울 지요건축 (13)](https://cdn.ohseoul.org/w3rsgzlkz3yupm2nclegesc4.webp)
김세진
김세진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2015년 지요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종이의 면에서 시작한 건축이 존재의 개별성과 감각의 보편성을 지니며 스스로 깊이 있는 것으로 변화하는 과정에 관심을 두고 있다.
서울시 공공건축가를 역임했으며, 서울대학교 설계 스튜디오에 출강한 바 있다. 2020 젊은건축가상, 2022 한국건축문화대상 신진건축사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또한 서울시립미술관 <노실의 천사>, 리움미술관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호암미술관 <한 점 하늘_김환기>, 베니스 스탐팔리아 재단 <유영국: 무한 세계로의 여정> 전시를 디자인했다.
의뢰인: 김은아
- 주소
- 서울 성북구 선잠로2나길 9, 우손갤러리 서울
- 건축가
- 김세진(지요건축사사무소)
- 건축주
- 김은아
- 일시
- 2025년 10월 29일 6:00AM
- 집합 장소
- 건물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