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다니엘열방학교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8)](https://cdn.ohseoul.org/sjios2jehxulajgmrhqebxbu.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다니엘열방학교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14)](https://cdn.ohseoul.org/6c2ohtyuwenlwznzaekrdycc.webp)
도슨트투어 진행 임윤지 소장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공장에서 교회로, 그리고 학교로
다니엘열방학교는 수원 예인교회에서 운영하는 대안학교이다. 공업지대에 있던 공장을 예인교회의 공동체 터전으로 바꾸는 일은 5년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 단계로 공장은 유치원과 교회 교육관으로 개조되었으며, 단순한 공간 조직은 교회와 유치원으로 진화하는 데 편리한 바탕이 되었다. 이후 3년 뒤 주차장이었던 영역에 다니엘열방학교를 신축하고 예인교회 공동체의 공간을 최종적으로 완성했다. 공장지대 한복판에 지역 공동체의 중심 공간과 미래를 위한 학교를 만들어가는 지난 5년의 과정은 무척 보람된 시간이었다.
교회 공동체와 함께하는 학교 프로그램
교회, 유치원, 다니엘열방학교 사이에는 옥외공간을 최대한 확보해 공동체의 외부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했다. 광장을 중심으로 학교·유치원·교회의 활동이 모이고 흩어진다. 광장에서 넓은 계단을 통해 이어지는 다니엘열방학교 2·3층에는 체육관을 배치했다. 체육관은 예인교회 공동체 누구나 이용하기 좋은 위치에 두고자 한 것이다. 그 결과 공동체 공간은 입체적으로 확장되었고, 이러한 관계는 단면을 통해 더욱 명확히 드러난다.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다니엘열방학교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9)](https://cdn.ohseoul.org/yzg7ycy7asem6u4aoiqvtj7j.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다니엘열방학교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11)](https://cdn.ohseoul.org/zwv46n7ztiorr7hnyvv5ibmb.webp)
트랙(Track)
학교의 개별 공간과 공동 공간의 관계를 구축하는 장치로 ‘트랙’을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광장을 중심으로 유치원, 다니엘열방학교, 교회 교육관이 트랙의 형태로 이어졌다. 다니엘열방학교 2·3층의 특별교실과 체육관은 트랙을 따라 조직되며, 중심공간과 체육관은 하나로 통합된다. 4·5·6층의 학교 공간 또한 트랙의 형식으로 구성된다. 트랙은 충분한 넓이와 다양한 형태를 지니며, 학생들이 휴식·교육·놀이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트랙을 이어주는 중심공간
각 층의 트랙은 열린 중심공간으로 연결된다. 상부로 개방된 중심공간에는 계단이 놓여 있으며, 이 열린 계단을 통해 각 층의 트랙과 동선이 이어진다. 중심공간을 통해 다니엘열방학교는 하나의 공동체로 통합된다. 넓은 계단은 수업과 예배 공간으로 사용되며, 책꽂이를 두어 도서관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트랙과 중심공간은 서로 트이고 이어지며 생활, 휴식, 수업을 아우르는 총체적 삶의 바탕이 된다.
입체적인 마당
각 층의 트랙과 개별 공간을 통합하는 것은 중심부의 마당이다. 3개 층으로 열린 중정은 각 층마다 테라스를 만들어 입체적인 마당을 구성한다. 학생들은 중정을 통해 모든 공간을 새로운 방식으로 경험한다. 중심공간이 활동의 공간이라면 중정은 이완의 공간이다. 중정은 빛과 바람과 함께 고요한 정지의 시간을 선사한다. 다니엘열방학교는 각 층마다 다른 형태의 외부 공간을 향유한다. 저층부의 테라스, 발코니, 옥상 마당, 상층부 루프 테라스까지 다양한 방향과 형식의 마당이 생활을 풍성하게 한다.
구조의 체계와 디테일
저층부에 체육관과 같은 대공간을 두는 일은 새로운 구조 형식을 요구했다. 체육관 상부 교실들의 칸막이 벽을 활용해 2층 높이의 트러스를 만들었으며, 이를 통해 자유로운 대공간을 확보했다. 중심공간, 트랙, 주차장 구획의 요구로 구조 기둥의 위치를 일치시키기 어려웠기에, 사선 기둥을 사용해 각 층의 구조 조건을 충족시켰다. 사선 트러스와 구조 기둥은 내·외부에 드러나 다니엘열방학교의 특징을 보여주는 은유적 장치가 된다.
노출된 철골과 콘크리트 구조, 목재와 벽돌의 칸막이, 알루미늄 창호는 재료 본연의 특성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다니엘열방학교가 추구하는 교육의 꿈처럼, 학교의 재료와 디테일은 진실함·겸손함·정교함을 표상한다. 구조와 디테일은 삶의 바탕이자 동시에 표상을 만들어내는 건축의 언어이다.
글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사진 김재경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다니엘열방학교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건축가](https://cdn.ohseoul.org/q7pq6rigzri2ykbo7cleonk3.webp)
김승회
건축가 김승회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S.O.M.과 한국의 서울건축에서 실무를 거친 뒤 1995년 (주)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으며,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대학교 교수로 재직했다.
그는 지방 소도시의 보건소 연작을 통해 한국 공공건축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렸으며, 대표작으로는 일산주택, 서초동주택, 이우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롯데부여리조트, 라파엘센터 등이 있다. 서울시건축상, 한국건축가협회상, 건축문화대상, 대한건축학회 무애건축대상, 김수근문화상(2009) 등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제10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에 작가로 참여하기도 했다.
김승회는 사회적 조건과 도시의 암울한 상황을 직시하고, 건축을 통해 그 현실을 뛰어넘을 해법을 모색하는 건축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용산과 같은 도시 공간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우리 시대를 위한 주거 탐구를 멈추지 않고 있다.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다니엘열방학교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다이어그램](https://cdn.ohseoul.org/g44k4kooubcut6pam4bprimm.webp)
용도: 종교시설
대지면적: 3,740㎡
건축면적: 2,095.95(기존 1,139.81㎡, 증축 956.14㎡)
연면적: 10,137.49㎡(기존 3,197.10 ㎡, 증축 6,940.39㎡)
규모: 지상 6층, 지하 3층
건폐율: 56.04%
용적률: 193.87%
구조: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철골철근콘크리트조
외부마감: 갈바륨강판, 유리
내부마감: 석고보드, 자작나무합판, 시멘트벽돌
구조설계: 윤구조기술사사무소
시공: 이안알앤씨
기계설계: 정인엠이씨
전기설계: 지성설계컨설턴트
설계기간: 2017.03 ~ 2017.11
시공기간: 2017.12 ~ 2019.03
발주처: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인교회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매영로 269번길 15
- 건축가
- 김승회(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 설계 담당
- 경연성, 김기홍, 노동완
- 일시
- 2025년 11월 1일 6:00AM
- 집합 장소
- 학교 앞마당 (그랜드스테어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