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수원화성 (1)](https://cdn.ohseoul.org/azc5wnsny36oaz7mh5zv3nnb.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수원화성 (2)](https://cdn.ohseoul.org/watbeyhop3ggzwtqc3ogm4ol.webp)
이동 동북공심돈 → 동북포루 → 방화수류정 → 북동포루 → 장안문 → 서북공심돈 → 화서문
*이동 동선은 현장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도슨트투어 진행 이상해 교수
수원 화성은 조선 정조대왕의 강력한 의지로 건설된 신도시이자 성곽으로, 1794년 착공해 1796년에 완공되었다. 성곽 길이는 약 5.7km이며, 동서남북에 창룡문·화서문·팔달문·장안문 네 개의 대문과 암문, 수문, 군사적 방어시설 등 40여 개 시설물이 설치되었다. 정조의 정치·경제·사회적 이상이 담긴 화성은 규격 전돌을 대량 생산해 표준화와 생산성 혁신을 이룬 유적이기도 하다.
한국전쟁 때 성곽과 누각이 훼손되었으나 1970년대 보수사업과 1990년대의 세계유산 등재 준비 과정을 거쳤고, 199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후 정기적 모니터링과 장단기 복원계획에 따라 지속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성곽 내부·외부의 건축행위도 엄격히 규제된다.
현재 수원 화성과 관련 시설물 8건이 국가 및 시·도 지정문화유산으로 보호되고 있다. 화령전은 정조 사후 어진을 모신 영전으로, 운한각·이안청·복도각이 2019년 보물로 지정되었다. 또한 대문 중 팔달문과 화서문은 국가 지정 보물이며, 네 개 문 모두 옹성을 갖추어 방어와 위용을 강화했다. 동북쪽 방화수류정과 서북공심돈 역시 국가 지정 보물로서
성곽 방어체계의 독창성과 가치를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오픈하우스는 평소 공개되지 않은 공심돈 내부를 공개해 함께 둘러볼 예정이다.
참고문헌 수원건축문화이야기 사진 국가 유산청, 수원시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수원화성 (3)](https://cdn.ohseoul.org/cdvgee3z6l2qlarxp7youazs.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수원화성 (4)](https://cdn.ohseoul.org/5r64s2hjibo5kzive3lduh4y.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수원화성 (6)](https://cdn.ohseoul.org/2z6kcq5tdygoxxyxcpi72ubd.webp)
이상해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성균관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 한국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국민대학교 석좌교수, 문화재청 문화재위원회 위원장,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술로는 『종묘』(공저), 『한국의 세계문화유산』(공저), 『서원』, 『우리건축 100년』(공저), 『궁궐•유교건축』, 『한국의 서원문화』(공저), 『땅의 깨달음 한국건축』(공저) 등이 있고, 영문판으로는 Dwellings, Settlements and Tradition (co-author); Asia’s Old Dwellings: Tradition, Resilience, and Change (co-author); Seowon: The Architecture of Korea’s Private Academies; Korean Villages and Their Cultures (co-author); Wisdom of the Earth: Korean Architecture (co-author) 등이 있다.
- 주소
- 경기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320-2
- 건축가
- 진행_이상해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 일시
- 2025년 10월 31일 7:00AM
- 집합 장소
- 동북공심돈 표지 앞
- 코스
- 동북공심돈 → 동북포루 → 방화수류정 → 북동포루 → 장안문 → 서북공심돈 → 화서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