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성장시대의 거대한 위세,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진행_김영준(도쿄대학 공학계연구과)
2025년 10월 27일 5:00AM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참가비 10,000원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2)

사진_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사진_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 

*투어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진행 김영준 연구원(도쿄대학 공학계연구과)


투어 코스

반포지구대앞 집합 → 하차장 → 지하1층 → 본청사 지상1층 대합실 → 지상10층 옥상정원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은 1970년대부터 서울과 지방을 잇는 버스 여객 및 화물을 수송하는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 최대, 서울의 대표적인 버스터미널이다. 많은 시민들이 이용하는 종합터미널이자 ‘민족 대이동’이라 표현되는 귀성·귀경길의 중심지로 서울시민들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장소이다.

 

1975년에 서울강남고속버스터미날주식회사를 설립한 후 1976년부터 2011년까지 철근콘크리트조의 최저 지상 1층, 최고 지상 10층의 터미널이 준공되었다. 1976년에 강북을 경유하는 고속버스 103대를 처음으로 운행했으며 1977년에는 강남터미널을 기종점으로 운행하기 시작했다. 1979년에 ‘서울고속버스터미날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했고 1980년에는 하차장, 1981년에는 본관이 준공되었다.

 

1992년에 우등 고속버스가 운행되었으며 1998년에는 3층 꽃상가가 개장했다. 2000년에는 영동선을 인수 통합 운행(영동, 동해선 9개 노선)했으며 2005년에는 신관, 영동선대합실, 화물집하장, 자동세차장을 준공했다. 2006년에는 정비고, 2010년에는 본관 건물 10층 옥상에 하늘공원을 조성했다. 2010년에 지하철 9호선 연결통로를 건설했다.

 

2005년 8월 서울고속버스터미널 본관 건물은 지하 1층, 지상 10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장 후 한동안 2~3층도 승강장으로 운영했다. 2014년에는 1층의 승차홈의 정비와 함께 권역별 노선을 조정하였으며, 본관의 상업시설도 새단장을 하였다. 2015년 고속버스 화물을 통합하여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현재는 1층만 승강장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1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은 의류·혼수품·화훼·웨딩홀 등의 상가로 운영되고 있다. 

 

오픈하우스서울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미래유산

사진_서울미래유산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3)

서울고속버스터미널 투어소개

1978년에 착공되어 1981년 10월에 준공된 서울고속버스터미널(이하 ‘고속터미널’)은 4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서울의 주요 관문이자 교통 결절점, 그리고 복합용도공간으로 기능해 왔다.

 

건축면적 24,217㎡, 연면적 107,619㎡에 이르는 거대한 덩치는 오랜 세월 동안 고속버스로 서울을 처음 방문하는 이들은 물론이요, 주변 거주자들에게도 쉽게 익숙해지지 않는 - 가깝고도 먼 이웃 같은 - 공간으로 남아 있다. 준공 당시 언론은 고속터미널을 두고 ‘동양 최대의 버스 터미널’이라 칭송하였으며, 1층 뿐만 아니라 3층과 5층에서도 승하차가 가능한 ‘입체적 터미널’로 의도되었지만, 불과 준공 10년 뒤부터 3층 승차장의 안전 문제가 대두되었으며 준공 30년을 맞이한 2010년대에 들어서는 이전 및 지하화가 끊임없이 검토되는 등, 반쯤은 ‘골칫덩이’ 취급을 받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너무나 거대한 덩치와 이곳에 부여된 서울의 관문이라는 기능-혹은 정체성-덕분에, 오늘 이 순간에도 10만 명이 넘는 이들이 이곳을 드나들며, 여전히 ‘살아있는 공간’으로서의 고속터미널이 지속되고 있다.

 

현재 고속터미널을 이용하는 이들의 동선은 거의 대부분이 지하 1층의 상가 및 음식점, 그리고 지상 1층의 승하차장에서 마무리된다. 당초 의도되었던 ‘독창적인 기념건축물’의 입체적 공간 대부분이 아쉽게도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프로그램에서는 40여 년 전의 설계의도를 돌아보며 고속터미널의 진면목을 음미하고자 한다.

 

김영준 사진 김영준 제공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김영준제공 (2)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1)
서울고속버스터미널 김영준제공 (3)

프로필 김영준

김영준

김영준은 SNS에서 ‘서울의 현대를 찾아서’(@journey.to.modern.seoul)라는 개인 아카이빙 프로젝트를 통해 근대건축, 맨홀, 고가도로 등 도시 경관을 기록해 오고 있다. 일제강점기 서울의 도시계획사를 주제로 일본 도쿄대학교 도시공학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현재 동 대학 특임연구원이자 모리기념재단 도시정비연구소 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사진집 『A Journey to Modern Seoul 도시: 서울』(Poets & Punks, 2023), 에세이집 『파일드-타임라인 어드벤처』(오늘의풍경, 2017, 공저)를 출간했으며, 도시인문 탐구그룹 비영리단체 8991SCALE의 창립 멤버로 활동하고 있다.

 

journey.to.modern.seoul


서울고속버스터미널

설계: 완종합건축설계사무소

위치: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용도:  운수시설, 상업시설, 업무시설 

연면적:  244,457㎡


 

주소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건축가
진행_김영준(도쿄대학 공학계연구과)
일시
2025년 10월 27일 5:00AM
집합 장소
반포지구대 앞(서울시 서초구 신반포로 190)
코스
반포지구대앞 집합 → 하차장 → 지하1층 → 본청사 지상1층 대합실 → 지상10층 옥상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