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밀알학교

유걸

2023년 10월 25일 3:00PM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일원로 90

오픈하우스 진행 김정임 
* 이 프로그램은 밀알학교 설계에 참여한 김정임 (서로아키텍츠) 소장님의 안내로 진행됩니다.
 

밀알학교의 모든 공간은 아트리움(ATRIUM)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학교의 모든 활동이 지층에 있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공간의 제약으로 4층까지 올려야 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외부(학교의 서쪽)에서 2층으로 직접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일단 2층으로 출입한 경우 3층의 높이만 극복하면 되도록 하고 2층부터 3층과 4층을 연결하는 계단을 각층에서 그 방향을 변화시켜 3층을 올라가는 부담을 심리적으로 축소하려 하였다. 

또 각층의 모든 교실은 복도로 열려있고 이 복도는 아트리움 속에 있게 되어 각층이 한 공간 속에서 연결되게 하고, 또한 1층부터 시작되는 램프(RAMP)가 아트리움 공간을 형성하면서 4층까지 연결되게 하여 학교시설의 모든 공간이 하나로 묶이게 하였다. 신체장애인을 고려하여 엘리베이터도 설치되어 있다. 

한국의 학교 환경은 시설 면에서뿐만 아니라 공간적으로도 극히 열악한 상태라 생각한다. 각 교실은 고립이 된 채 학생들이 학급을 넘어 서로 교제하고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극히 빈곤한 상태이다. 학생들 사이의 교제 범위를 넓히고 또 학생, 선생의 관계도 교실 단위로 폐쇄된 것을 깨뜨리어 학생들의 공동체 생활을 경험하고 교육받을 수 있고 또 창의적으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이 아트리움은 다양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가 된다.

교실동의 외부 마감재를 아트리움으로 끌어들이고 동서 면이 넓은 유리 벽과 칼월(KALWALL) 지붕을 통하여 많은 주광이 들어오게 했다. 이를 통해 실내이면서도 외부와 같은 환경이 만들어 실내가 주는 활동 제약이 없도록 하고 특히 신체적인 움직임이 많이 필요한 자폐 아동들이 전천후 활동을 할 수 있게 하고 장애아동들뿐만 아니라 이 아동들의 부모, 친가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인한 많은 일반인의 진·출입도 여유 있게 해소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될 것이다.

글 유걸 사진 박영채, 김재경 


밀알학교
miral.sc.kr/index.do

설계연도 및 준공연도 준공 1995년 / 1차 증축 2002년 / 2차 증축 2011년

사진_정멜멜
유걸
1940년에 광주에서 태어났다. 1963년 서울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한 후, 무애건축과 김수근건축연구소에서 실무를 쌓았다. 1967년에 유-아틀리에(U-ATLIER)를 설립하고 〈성북동 K씨 주택〉(1968), 〈정릉 주택〉(1970), 〈정동 제일교회〉(1970) 등 다수의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1970년 12월 미국 덴버(Denver)로 건너간 그는 ‘R.N.L. Architects & Engineers’에서 프로젝트 디자이너로 활동한 후 1979년에 유걸건축연구소(K.Y.Architects)를 개소했다. 1985년부터 진행됐던 〈1988 올림픽 선수·기자촌〉의 설계·감리를 계기로 국내 활동을 다시 시작했다. 〈서세옥 주택〉(1986), 〈강변교회〉(1992-1998), 〈고속철도 천안 종합역〉(1993-2004), 〈밀알학교〉(1995-2008), 〈벧엘교회〉(1999-2005) 등을 발표했고, 2002년부터 2005년까지 경희대학교 건축전문대학교에서 후학을 지도했다. 2006년 ‘아이아크’(INTER-ARCHITECTS)로 사무소 이름을 새롭게 명명하고 파트너십으로 운영체제를 변경했다. 이후 〈배재대학교 프로젝트〉(2002-2010), 〈대덕교회〉(2003-2007), 〈서울시청사〉(2005-2012), 〈트라이보울〉(2007-2010), 〈아산정책연구원〉(2008-2009), 〈다음스페이스 닷 투〉(2012-2013), 〈서울대학교 예술계 복합교육연구동〉(2012-2015) 등을 발표했다. 김수근 건축상과 한국건축가협회상, 미국건축가협회 명예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아이아크의 고문으로 활동하고 있다.
Map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일원로 90
건축가 유걸
일시 2023년 10월 25일 3:00PM
위치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 일원로 90
집합 장소 학교 입구
TOP LIST
OPENHOUSE 한내 지혜의 숲, 장윤규, 신창훈 지역문화재생 이제 서울의 도시재생은 도심 중심의 거창한 도시 구조나 도시 블럭을 개발하고 변화되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작은 지역, 작은 동네를 이해하고, 버려지고 소외된 장소를 찾아내서 재생(Regeneration)함으로써 도시인의 직접적인 삶과 사회적 연대를 회복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이 프로젝트는 작은 공간인 한내 지역 주민커뮤니티 공간을 통해서 지역문화를 재생하려는 제안이다.  한내근린공원은 중랑천변과 나란히 자리잡은 자연체육공원이다. 대지는 한내근린공원의 초입에 위치하며 오래전부터 고장이 나고 버려진 분수대가 방치되어있어 지역주민들과 공원 사이의 단절된 공간이었다. 또한 이 지역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주거집중지역이지만 주민과 아이들을 위한 문화공간이 부재하였다. 버려진 공공공간을 재활하여 한내근린공원의 활기를 되찾고, 작은 주민커뮤니티를 매개로 하여 지역문화와 자연공원을 결합시키는 새로운 프로그램의 공간을 구성하고자 했다. 내부로부터의 건축 공간을 이루는 기본단위는 책꽂이 벽(wall)인 가구적 구조로부터 시작한다. 책꽂이 벽은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이면서 분할하고 배분하는 장치이다. 과거의 벽이 구조적 한계에 의해서 고전적이며 공간적 소통을 막아서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면, 우리가 제안하는 책꽂이 벽은 유동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여 서로 소통하여 통합되고 혹은 적절이 독립되는 이중적인 미로 구조를 재현한다. 책꽂이 벽의 배치와 크기는 프로그램 배치와 구조의 적용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했는데 즉, 가구와 공간과 구조의 조화를 실현하려 하였다. 100평이 안되는 작은 복합문화공간이지만 이곳에 오는 다양한 계층의 마을사람들은 유동하는 공간 곳곳에서 자신들의 목적과 유목성을 동시에 경험한다. 작은 공간은 통합적이며 순환적 공간을 통해 규모의 작음을 극복하고 다변적 가치의 공간으로 발전한다. 지붕을 이루는 삼각 프레임은 책꽂이 벽의 연장이며 미로와 같은 지붕 형태의 다양한 겹침은 그 사이로 자연의 빛을 받아들이는 틈새의 장치라 볼 수 있다. 다중적 코드의 미로공간이 자라나는 지역주민과 아이들의 상상과 창의 그리고 즐거움을 자극하는 공간이 되길 바란다. 글 OHS 사진 윤준환   운생동건축사사무소  http://www.usdspace.com   한내 지혜의 숲 장소 서울특별시 노원구 마들로86(월계동) 한내근린공원내 개관 월-토 도서관   09:00∼18:00         지역아동센터  학기중 10:00∼19:00, 방학중 09:00∼18:00 휴관 매주 일요일, 법정공휴일, 임시공휴일 문의 02-979-7420
OPENHOUSE 서울외국인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도서관, 존홍+P:A(Project : Architecture) 10월 28일 10:30AM
OPENHOUSE 서울 드와이트 외국인 학교 도서관 스파크 오브 지니어스 센터, 존홍 + P:A(Project : Architecture) 10월 27일 4:00PM
OPENHOUSE 밀알학교, 유걸 10월 25일 3:00PM
OPENHOUSE 동화고 삼각학교+어울림동, 나은중+유소래(네임리스건축) 10월 21일 11:00AM
OPENHOUSE 동성고등학교 샛별관, 김지훈, 맹필수, 문동환 11월 5일 2:00PM
OPENHOUSE 동화고 삼각학교 + 동화고 어울림동, 나은중, 유소래 11월 5일 11:00AM
OPENHOUSE 공항고등학교, 이현우 11월 4일 4:00PM
OPENHOUSE 청원초등학교 체육관, 김한중, 이혜서 10월 30일 11:00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