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이성관

2022년 10월 11일 3:00PM
* 유아 동반 불가능 프로그램
사진_한울건축 제공
사진_한울건축 제공
사진_한울건축 제공
사진_한울건축 제공

탄허대종사(TANHEO GRAND MASTER BUDDHIEST)
한국의 고승이자 불교학자인 탄허 스님은 선교일체의 융합 사상에 의해 선은 교의 뿌리이고, 교는 선에 이르는 율부로서 그 어느 것 하나 없어서는 안 된다는 생각에 불교의 기본 경전을 모두 번역하였고, 경전 강의를 통해 수많은 제자에게 경학 사상을 심어 주었다. 스님의 문도와 추앙하는 모든 이들이 모여 스님의 법음이 전해지는 요람이 될 이곳 기념관을 건립하게 된다. 단순히 스님을 추앙하고 기리는 공간이 아니라 스님의 정신과 사상 그리고 학문을 통해 불자의 길을 수행하는 공간이다. 인재불사와 역경사업에 전념한 스승의 뜻을 기리는 기념관인 동시에 스승의 유지를 이어받아 인재불사를 실천하는 강학공간인 것이다.
 
대지 현황(SITE CONDITIONS)
수서역에서 분당 방향으로 1km 남짓 도보로 15분 거리에 있는 대지는 대모산 북사면의 개발제한구역 내에 자리하고 있다. 부지 전면(북측)으로는 단독주택지와 일부 텃밭이 있으며, 오른편(서측)으로는 근린생활시설이, 그리고 뒤쪽(남측)으로는 교회 대지와 맞닿아 있다.
 
프로그램(PROGRAM)
북향의 좌향, 불리한 여건의 주변 인접 시설들 그리고 개발제한구역에 따른 12m의 높이 제한과 450평이라는 면적 제한 속에서 통상적 기념박물관의 기능 이외에도 경전학당, 불당 및 선원의 기능이 추가로 요구되었다. 불교의 귀중한 진리를 배우고, 동시에 자기 수행을 위한 선교일체의 열린 장소로, 프로그램의 적층과 공간의 가변성을 통해 전시+교육+예불공간 등이 하나로 어우러진 복합공간으로 계획이 필요하였다.
 
 
디자인 관점(DESIGN ISSUE)
 
전통의 재해석 / 은유와 상징의 공간
ㆍ수평적으로 펼쳐진 공간들을 압축, 입체화하여 다층의 집중적 공간으로 전개
ㆍ경사진 진입로와 함께 일종의 여정으로서, 입문의 의미를 지닌 108열주의 길
ㆍ자연광과 전통적인 재료를 활용한 수직적 형태의 닷집과 처마의 현대적 해석
ㆍ전통사찰에서 일련의 과정적 공간들이 겹과 층으로서 압축화되어 체험되는 공간
ㆍ한정된 체적 내에서 극대화된 선형적 공간 경험이 가능한 길과 공간으로서의 건축
 
공간 안의 공간 / 부유하는 공간
ㆍ선교일체의 공간으로 상호 교감하는 대강당 안에 또 하나의 공간으로 떠 있는 법당
 
가변적 공간 / 공간의 전용ㆍ확장ㆍ공유
ㆍ한정된 공간 간의 극대화된 공간의 전용과 확장을 통해 주어진 프로그램의 해결
 
 
과정적 공간으로서의 건축적 산책(ARCHITECTURAL PROMENADE)
지상 1층은 바로 옆 근린생활시설과 같은 일상적 공간과 맞닿아 있어서 필로티로 처리해 주차장으로 계획하였다. 메인 층은 지상 2층에 자리해 2층으로 접근하기 위한 주 진입로는 일상적 영역과 비일상적 영역을 연결하는 최초의 과정적 공간이 된다. 일주문을 연상케 하는 캐노피와 108 열주를 통해 다른 영역으로의 전이라는 점증적인 공간적 체험을 가능케 했다.
메인홀에 서게 되면 북측으로는 시시각각 변화하는 자연을 머금은 수공간과 조우하게 되며, 그 너머로 대모산이 힐끗 보인다. 남측으로는 자신이 지나온 108 열주 너머로 멀리 도시적 풍경을 마주하게 된다. 메인홀과 북측의 수공간은 또 다른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는 모빌리티(Mobility)를 이용한 가변적 공간으로, 다양한 행사 시 대강당과 연계하여 하나의 커다란 공간으로 작동하게 된다. 3층에 자리한 전시 공간과 예불공간으로 연결되는 계단은 두 번째 과정적 공간이다. 이는 단순히 위아래층을 연결하는 기능적 장치가 아닌 또 다른 공간으로의 전이를 암시하는 상징적 공간이다.
수공간에 면해 설치된 이 계단을 오르면 전시장과 마주하게 된다. 전시장은 제한된 공간의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해 세 단계에 걸친 공간적 체험을 유도하였다. 진입부인 좁고 길다란 공간을 지나 수직적 열주의 공간을 돌아 넓은 메인 전시 공간에 다다르게 된다.
전시장 맞은편에는 예불공간이 자리하고 있다. 목재 루버로 위요되어 있는 브릿지 너머로 천창을 통해 은은하게 스며드는 자연광 아래 놓여있는 석불을 바라보며 진입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세 번째 과정적 공간에 해당한다. 이 예불공간은 커다란 직사각형의 대강당 볼륨 안에 또 하나의 정방형 볼륨으로 떠 있게 된다. ‘공간 안의 공간’으로 모빌리티(Mobility)를 위한 두 번째의 가변적 공간이며, 대강당과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되어 상호 교감하는 선교일체의 공간으로 작동한다.
 
글, 사진_이성관
 
시공사 (주)성영종합건설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
규모 지하 1층,지상 3층 / 대지면적 1,984m² 건축면적 987.0m² / 연면적 1,498.58m² 건폐율 49.74% / 용적률 62.98%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준공년도 2010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공간 소개
탄허기념박물관의 외벽은 금강반야바라밀경(金剛般若波羅密經) 전문으로 장엄(莊嚴)되어 있다. 불자들의 성전(聖殿)이자 학림(學林)임을 나타낸 것이다. 박물관에 들어서면 온 누리에 지혜광명이 가득하기를 기원하는 건립대불사 발원이 곳곳에 배어있음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부처님께서 방편(方便)을 드셨듯이 구조물 하나 문패 하나에도 부처님 가르침과 탄허대종사의 법등(法燈)이 드러나 있다.
 
108()
금강경으로 장엄된 박물관에 들어서려면 우선 108개의 막대 기둥을 지나야 한다. 이는 백팔번뇌를 뜻한다. 번쩍이는 스테인리스 기둥이 아니다. 녹슨 철을 소재로 사용하여 백팔번뇌를 녹여내는 수행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혼탁한 물이 사라지면 청정한 물로 채워지듯이 번뇌 망상이 사라지면 지혜광명이 빛나기 마련이다.
 
보광명전(寶光明殿)
박물관에서 가장 넓은 대강당이다. 부처님께서 화엄경을 설하신 보광명전을 그대로 옮겨 놓겠다는 강한 의지가 표현되어 있다. 남쪽을 향하여 탁 트인 공간을 조성하여 실용성을 높인 것이지만 북방 음기(陰氣)를 막고 남쪽의 양명(陽明)한 기운을 받아들인다는 의미도 담겨있다. 어리석은 중생의 세계를 떠나 밝은 깨달음의 보살경지에 들어가고자[捨愚入聖] 함을 상징한 것이다.
 
일소대(一笑臺)
탄허대종사의 일대기와 유품이 전시된 상설전시실이다. 탄허대종사께서 화엄경을 처음 번역하신 영은사 결사도량의 일소굴(一笑窟)을 상징하여 ‘일소대(一笑臺)’라 하였다. 입구에 설치된 녹슨 달팽이 모양의 조형물은 백팔번뇌를 미처 떨쳐버리지 못한 대중이 대종사의 유지와 사상에 감화를 입어 모든 번뇌를 씻어버리고 큰 원력의 꿈을 가지고 돌아가도록 꾸며진 상징물이다.
 
방산굴(方山窟)
탄허대종사를 가장 많이 닮은 곳이다. 우선은 탄허대종사께서 화엄경을 완역하신 월정사 방산굴의 이름을 붙였다. 사면의 기둥을 없애 허공에 떠 있도록 조성한 것은 대종사의 법명인 탄허(呑虛), 즉 허공을 상징하기 위함이다. 오색단청은 부처님의 오색방광을 상징하며, 서북쪽 하늘은 부처님께서 샛별을 보고 깨달음을 얻으신 성도를 상징한다. 불단이 모셔진 박물관의 중심 공간으로, 북쪽 창문이 동쪽으로는 출입문, 남쪽과 서쪽으로는 하늘문과 이어져서 사방에 막힘이 없음으로써 원융자재(圓融自在)하고 원만구족하신 부처님의 일체무애(一切無碍) 세계를 상징하고 있다. 기획전시실로 쓰이기도 한다.
 
 글_혜거스님

108주(柱)
보광명전(寶光明殿)
일소대(一笑臺)
방산굴(方山窟)
사진_한울건축 제공
이성관
()건축사사무소 한울건축 대표
이성관 대표는 1948년생으로 서울대 건축학과를 졸업(1972년),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한 뒤 정림건축에서 실무를 익혔다. 1982년 미국으로 건너가 콜롬비아 건축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뉴욕 HOK에서 수석디자이너로 다년간 근무했다. 귀국 후 1989년 (주)건축사사무소 한울건축을 설립하였다. 그해 <용산 전쟁기념관> 현상설계 공모에 당선, 이후 국내 수많은 건축상을 받았다. 특히 2008년, 2009, 2010년 한국 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을 3년 연속 수상하였다. 건축가협회 부회장을 역임한 바 있고 2014년 건축의 날 대통령상 받았다. 2017년 올해의 건축가로 선정되었으며, 2019년 대한민국 건축사대회 조직위원장을, 2020년은 대전광역시 초대 총괄 건축가로 위촉되었다. 대표작품으로는 용산 전쟁기념관, 데이콤 강남사옥, 거여3단지아파트, 수입 777, 반포 577, 숭실대 조만식기념관, 엘타워, 탄허기념박물관, 여초서예관, 여주박물관, 서울대 유회진학술기념관 등이 있다. AIA 정회원이다.
건축가 이성관
설계 담당 (주)건축사사무소 한울건축
건축주 안동수
일시 2022년 10월 11일 3:00PM
위치 서울 강남구 밤고개로14길 13-51
집합 장소 일주문(철재캐노피) 앞
인원 20
TOP LIST
OPENHOUSE 서울식물원, 김찬중 서울 강서구 마곡 도시개발지구에 조성된 서울식물원은 식물원과 공원이 결합한 새로운 개념이 도시형 식물원이다. 504,000㎡의 면적에 주제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이 펼쳐져 있다. 이 중 주제원이 식물원, 나머지 셋은 공원 개념으로 설계되었다. 더_시스템 랩에서 디자인한 온실과 식물문화센터는 주제원에 자리하고 있다. 직경 100m의 온실은 전형적인 유리 돔 대신 가운데가 오목한 그릇 형태를 띠고 있다. 일반적인 온실의 경우 천장이 높은 중앙부에 키가 크고 눈에 띄는 식물을 주로 배치해 사용자의 경험 또한 중심으로 집중된다. 가운데가 오목한 경우 온실의 가장자리가 천장의 가장 높은 부분이 되어 시각적으로 개방된 환경을 만들 수 있고, 그에 따라 더 다양한 식물들을 주인공으로 한 배치가 가능해진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더 풍부한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다. 오목한 지붕으로 자연 집수되는 우수는 정화하여 조경 용수로 재활용하도록 하였다.  건물의 주요 구조부는 오목한 단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테두리가 바깥으로 확장되면서 자연스레 꽃과 같은 형상의 기본 구조 프레임이 확정되었다. 기본설계 단계에서는 RC조로 구상하였으나 시공성과 유지 관리 이슈를 고려해, 실시설계 단계에서 철골조로 변경되었다. 식물 세포 형상의 구조로 된 지붕은 ETFE(에틸렌 테트라 플루오로 에틸렌)로 계획하였다. 특수소재로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유리보다 20% 이상 높고 내오염성이 뛰어나며,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이다.  온실은 기후환경을 기준으로 지중해관과 열대관, 2개 구역으로 나뉜다. 외부 산책로로부터 원형의 둘레를 따라 온실로 입장하게 되면, 바닥 레벨의 산책로를 거닐며 다양한 식물의 전시를 관람하며 중앙의 코어와 상층부의 스카이워크를 통해 더 가까운 거리에서 식물을 대면하여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글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사진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SH공사   ㈜더시스템랩건축사사무소 https://www.thesystemlab.com 서울식물원 개관 화-일 평시(3~10월) 09:30~18:00(17:00 매표 마감)                  동절기(11~2월) 09:30~17:00(16:00 매표 마감) 휴관 월요일 입장료 5000원 ※ 입장료 적용 구간 : 온실 및 주제정원 (열린숲, 호수원, 습지원은 상시 무료 개방) 문의 02-2104-9716 웹사이트 https://botanicpark.seoul.go.kr/front/main.do
OPENHOUSE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조진만 도서관을 매개로 도시와 숲을 연결하다 ‘내를 건너 숲으로 도서관’은 은평구 신사동 비단산 근린공원 초입에 있으며, 주변에 여섯 개의 학교와 주거지가 밀집한 곳이다. 부지 전면은 도로, 후면은 비단산, 좌우 양측으로 초등학교와 놀이터가 있다. 대지는 약 9m의 고저 차를 가지고, 인근 주민들에게 산책로와 놀이터, 다목적 야외 쉼터로 매우 유용하게 쓰이고 있었다. 새로운 도서관은 기존의 열린 공간 영역들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그것이 가지는 다양한 교육적, 문화적 프로그램을 주변의 자연과 더 긴밀히 관계 짓는 방식에 초점을 두었다. 설계는 도서관 야외 계단을 통해 단절된 공원으로 가로에서 직접 진입할 수 있게 하고, 숲속 기존 편의시설들을 도서관의 상부에 도서관의 부속 공간들과 연계하여 재구성했다. 이로써 도서관이 가로, 놀이터, 숲의 모든 방향에서 경계 없이 연결되고 내부 프로그램들은 자연스레 공원 속으로 확장되는 개념을 구상했다. 건축 볼륨의 대부분이 기존 산자락 지형의 일부처럼 구성되어 산책로와 사이사이 휴게 공간을 형성하고 숲 일부가 도시로 돌출되듯 최소한의 볼륨이 노출되어 있다. 덕분에 건축은 비단산에서 도시로 자연스럽게 연결된다. 도서관은 따로 메인 홀이 없으며 공원의 각기 다른 레벨에 맞추어 모두 6개의 출입구를 가지며 모든 방향으로 열려 있다. 어느 레벨에서든 마주치게 되는 입구를 열면 입체적으로 펼쳐진 지식의 공간과 바로 마주하게 되며, 반대로 어디에서 나와도 숲으로 동선이 연결된다. 이 도서관은 놀이터에서 놀다가, 공원을 산책하다, 학교 하교길에 언제라도 가볍게 들러 이웃들과 만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책을 볼 수 있는 곳으로, 지역 커뮤니티의 사랑방이자 (책) 장터와 같은 새로운 유형을 제안했다.  땅에 묻히거나 혹은 땅으로부터 솟아오른 부분은 콘크리트로, 주요 지반이 암반인 비단산과 연속성을 갖는다. 상부 주요 자료 및 열람을 위한 공간은 내부로 직사광선을 여과시키는 역할과 함께 숲의 연속으로서 강화섬유레진 그레이팅을 사용했다.  ‘내를 건너 숲으로 도서관’은 기존 내부 지향적 동선의 효율성과 상징적 대공간이라는 관습적인 공공도서관의 유형에서 탈피했다. 건축을 매개로 도시-자연-사람-지혜가 상호 분절 없이 연속된 풍경 속에 끊임없이 펼쳐지는 소통과 관계성의 건축이다. 글 코어건축사사무소 사진 신경섭   내를 건너서 숲으로 도서관 장소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 17길 50 내를건너서숲으로도서관 개관 화-금 09:00~20:00 토-일 09:00~18:00 휴관 월요일, 공휴일, 기타 도서관 사정에 의한 임시휴관일 문의 02-307-6701~2 웹사이트 https://www.nslib.or.kr/ 조진만 조진만은 한양대학교와 베이징의 칭화대학교에서 수학하고 이로재와 OMA에서 실무를 익혔다. 한국, 네덜란드 건축사를 취득하고 한양대학교 겸임교수이자 서울시 공공건축가로도 활동하며 고가하부 종합 활용계획 수립, 낙원상가 공용공간 개선 설계, 창신동 채석장 전망대, 산새마을 두레주택, 한강 유수지 활용방안 연구, 문화가 흐르는 서울광장, 도시건축센터 운영계획 수립 등을 담당하였다. 젊은 건축가상, 신진 건축가상, 서울시 건축상, 대한민국 공공건축상, 김수근 프리뷰상 등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전쟁기념관, 이성관 10월 13일 3:00P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성수책마루-성동구 의회랑-성동책마루, 김태영, 김현준, 장수정 10월 12일 2:00P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탄허대종사기념박물관, 이성관 10월 11일 3:00PM
OPENHOUSE 한남뜨락, 천장환 서울의 중심부와 한강 이남을 연결하는 한남1고가차도는 서울의 주요 교통축으로서 행정구역상 하나인 한남동을 반으로 나누어 양쪽에 전혀 다른 분위기의 동네가 자리 잡도록 만들었다. 다양한 문화와 즐길 거리가 널린 이태원의 거리는 남산을 바로 앞에 두어 녹지가 많아 보이지만 막상 보행자가 돈을 내지 않고 앉아서 즐길 열린 공공공간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고 고가하부에서 이태원의 가로 체계 흐름이 단절되어 이곳은 사람들이 찾지 않는 삭막한 공간이 되었다.  멀리서 바라보기만 하는 남산을 끌어와 쏟아지는 햇빛을 받으며 남산의 숲속을 걷는 듯한 경험을 만들기 위해 자연을 추상화한 꽃잎 모양 구조물 9개를 설치하고 여러 방향의 보행로에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흘러들도록 하였다. 주변 블루스퀘어와 가까운 곳에 카페랑 화장실을 만들고 외부에 자유롭게 앉을 수 있는 외부공간을 많이 만들어서 서로 즐겁게 소통하는 생동하는 도시공간이 되기를 기대했다. 6m 지름의 날개로 이루어진 꽃잎 모양 구조물은 척박한 환경의 고가하부에 자연을 끌어오기 위해 추상화된 ‘인공의 자연’이다. 구조물 사이로 빛나는 LED 조명은 사람들에게 낮에는 햇빛이 나뭇잎 사이로 쏟아지는 숲을 거니는 느낌을 주고, 밤에는 별빛이 쏟아지는 들판을 거니는 듯한 느낌을 준다.  약 15평의 카페 공간은 꽃잎 모양 구조물과 같은 6각형의 투명한 유리 박스로 되어 있다. 이곳은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기다리거나 지나가는 보행객들에 잠시의 휴식공간을 제공하고 기존 지형을 극복하기 위해 만든 건물 하부 계단은 기다림, 만남, 휴식 또는 버스킹 등의 공간으로 사용된다. 배의 난간을 닮은 계단의 난간은 한남대로를 지나는 차들을 보며 마치 막 출항하는 배 위에 홀로 올라탄 듯한 기분을 느끼게 한다. 글 천장환 사진 신경섭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성북 선잠박물관-성북구립 최만린 미술관, 이은경 10월 8일 2:00PM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오픈하우스서울 여주박물관, 이성관 마암과 남한강, 여주 역사의 근원 여주는 과거에 황려현으로 불렸는데, 이는 남한강 물살이 바위에 부딪혀 솟아오르는 모습이 누런 말(황마), 검은 말(여마)과 닮았다고 하는 고전에서 유래한다. 그리고 그 바위를 마암이라 불렀다. 대지 앞을 흐르는 남한강과 그 건너에 있는 마암은 여주 역사와 정체성의 근원이라 할 수 있다.   축으로 주변과 관계 맺기 기존 박물관은 남한강을 향해서 배치돼 있고, 전면이 남한강으로 트여있다. 신축 박물관은 이를 해치지 않기 위해 축에서 비켜나 있고, 강 건너편 마암과의 연결축을 형성하면서 배치되어있다.   풍경 속 조형물로서의 박물관 확 트인 경관 속에서 건물이기보다 풍경 속 조형물로 인지되도록 하였다. 여주, 남한강 이곳, 유유한 시간의 누적을 퇴적층으로 보고 건물은 퇴적층 수면 위로 드러난 검은 상자로 은유시켰다.   시민의 쉼터, 일상 속의 문화공간 건물 로비와 홀에 접한 메인 공간에 카페를 배치함으로써 일상에서 휴식을 찾아온 사람들이 자연스레 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조경 경계를 개방해서 박물관이 열린 쉼터가 되도록 하였다.   남한강 전경 끌어들이기 수공간에 접한 카페의 상부는 켄틸레버로 들려 있어서 가로로 긴 틈이 생기고, 그 틈을 통해 남한강과 여주 시내 전경이 한눈에 들어오게 함으로써 여주의 존재와 역사를 되새기도록 하였다.   박스 속 역동적 공간 카페에 접해서 3개 층으로 뚫린 메인 홀이 있다. 홀 내 관람 동선을 입체적으로 계획함으로써 자칫 정적일 수 있는 입방체 공간 속에서 관람자의 움직임이 역동적으로 느껴지도록 하였다.   물과 하늘, 유리의 반사 검은 유리면은 하늘을 반사해 여주의 현재와 미래를 드러내려 했고, 남서쪽 모서리의 잘린 삼각면은 여주의 근원인 남한강 상류를 비추어 여주의 과거 시간을 유감 시키려 하였다.   글, 사진_이성관     위치 경기도 여주시 신륵사길 6-12 용도 문화 및 집회시설(Cultural Facility) 구조 철근콘크리트 층수 지상 3층, 지하 1층 대지면적 12,339㎡ 건축면적 1,150㎡ 연면적 1,918.35㎡ 건폐율 9.32% 용적률 12.25 % 외부마감재 마천석 버너구이, 코르텐, 개비온 시공사 주식회사 연우 준공일자 2016.10.24    
OPENHOUSE 은평생활문화센터, 최재원 은평생활문화센터 - 주민문화생활의 무대, 주택에서 피자집으로, 피자집에서 문화센터로 주택으로 지어진 건물은 연신내역 주변의 상업화로 피자집으로 활용되었고, 은평구에 매입되어 생활문화센터로 새롭게 변신하게 되었다. 조적조 건물로 안전진단을 통해 구조적인 철골 보강을 했지만 자유롭게 벽을 털거나 이동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최대한 기존 방과 벽을 활용해 원하는 공간들을 배치해야 했다. 기존 주택의 구조를 최대한 활용하여 지하 1층에는 합주가 가능한 음악연습실을, 2층에는 녹음과 편집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1층은 교육 및 휴게를 할 수 있는 다목적 공간으로 계획하였다. 덧붙이기 – 흔적 남기기 기존 건물에 새로운 재료를 감싸기보다는 최대한 기존 재료를 존치하고, 필요한 곳에만 덧붙이는 방식으로 계획했다. 방음 성능을 요구하는 연습실이나 녹음실 등에 기능에 맞는 마감을 더하고 대부분의 공용 공간들은 기존 건물의 마감을 뜯어낸 그대로의 모습이 드러나도록 했다. 새로 만들어질 카페 카운터, 계단의 철판 등은 구로 철판으로 기존 재료와 구조 보강재와의 관계를 고려했다. 기존 주택의 외부 재료는 대부분 그대로 남기고 외부 캐노피를 통해 새로운 켜를 만들어냈다. 주민 생활의 무대 상업 거리에 위치하는 문화센터의 가장 큰 장점은 거리를 지나는 사람들이라 생각했다. 거리의 활기를 문화센터에 끌어들이고 싶었고, 건물과 도로 사이의 공간을 무대와 공간으로 계획했다. 바닥에서 반 층 정도 올라간 1층 높이를 활용한 넓은 계단과 무대와 같은 공간은 주민들이 작은 공연을 하거나 쉬어 갈 수 있는 공간이 된다. 생활문화센터가 주민들의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하고 함께 모여서 문화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글 최재원 사진 타별(tab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