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프라즈나의 집

임형남, 노은주

2018년 10월 13일 1:00PM
경기도 과천시 문원동
‘프라즈나의 집’은 숲으로 둘러싸여 있는 집이다. 마치 집이 숲으로 들어가는 배처럼 보인다. 땅의 형상도 배처럼 생긴 오각형이다. 그리고 그 배의 선수에는 백 년쯤 되었을 것이라 짐작되는 감나무가 속을 비운 채 하늘을 향해 수많은 가지를 들어 올리고 있다. 건축주는 네 식구와 반려견이 살 집이며, 주거 공간과 별도의 작업실이 따로 있었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했다. 그리고 땅에 있는 멋진 감나무가 잘 보존되길 바란다고도 했다.
이 집을 이루는 가장 중요한 내용은 ‘성찰’이다. 부인은 차(茶)를 공부하고 차를 마시며, 남편은 업무 시간 외에는 불교를 공부하고 좌선을 한다. 가장 먼저 집의 전면에 차를 마시는 공간을 두었고, 집의 가장 깊숙한 곳에 좌선을 위한 공간을 배치했다. 그리고 일상생활을 위한 방들과 식당, 욕실 등으로 구성했다.
북쪽으로 갈수록 더 높아지는 대지 조건을 이용해 각 공간을 조금씩 다른 높이에 앉혔다. 그렇게 되면 공간들은 각자의 좌표가 생기고, 각각의 정체성도 생길 것이라고 여겼다. 그리고 감나무를 둘러싸며 집의 기능들을 붙여 나갔다. 감나무는 집의 중심이 되며 몇 개로 나뉜 집의 덩어리들을 모은다. 가운데 마당을 중심으로 방들은 땅 경계에 가깝게 물러났고, 그 방들은 안팎을 아우르는 어떤 움직임으로 다시 묶인다. 마치 불교에서 말하는 윤회의 동선처럼 집을 관통하게 만드는 선을 그었다. 방들과 마당, 테라스는 통로를 통해 이어진다. 말하자면 집의 시작과 끝, 내부와 외부가 이어지며 서로 맞붙어 있는 것이다. 집의 주요 공간과 감나무 사이에는 한 사람이 겨우 몸을 누일만한 목조로 만든 작은 명상 공간을 두었다.
‘프라즈나의 집’은 산이 집으로 들어오고 집이 산에 안기며, 집의 안과 밖이 서로 얽혀있는 집이다. 주인은 산과 가장 가까운 곳에 초막을 짓고 그 안에서 세상을 관조한다. 그리고 무작위의 공간들을 꿰어나가는 동선이 이 집의 핵심이다. 불교가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깨달음’에 있다. 그 깨달음은 경계가 없는 지혜를 얻어 욕망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이다. 세상의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서로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절대적인 상이나 절대적인 위치는 없다. 모든 존재는 실체이며, 또한 그림자이고 영혼이며 육체이기도 하다.
집이라는 공간 역시 하나의 길이라고 하면 그 길은 깨달음이나 지혜로 이르는 길일 수도 있고, 인간의 불완전성을 완전하게 만들기 위해 걸어가는 길이기도 하다.
*프라즈나(prajna): 지혜를 뜻하는 산스크리트어로 여기서 지혜란 현명하다는 의미가 보다 확장되어, 모든 것을 막힘 없이 두루두루 알면서도 경계가 없는, 이를테면 가장 이상적인 지혜를 의미한다. 즉 ‘인간이 진실한 생명을 깨달을 때 얻어지는 지혜’다. 다른 종교와 달리 불교의 목표는 내세에 대한 구원이나 현세의 지복이 아니라 욕망을 버리고 깨달음을 얻는 것이다. 해탈을 통해 반야를 얻는 것이 불교의 가장 큰 줄기다. 그것은 앞으로만 전진하기보다 잠시 뒤로 물러나 세상을 보는 것이고, 욕망이 기억을 거치며 생겨난 여러 가지 왜곡된 혼돈을 걷어내는 것이다. 혹은 그런 과정을 거치며 걸어가는 길이기도 하다.

가온건축 사진 김용관


가온건축(studio_GAON)
임형남과 노은주 땅과 사람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둘 사이를 중재해 건축으로 빚어내는 것이 건축가의 역할이라 생각한다. 1998년부터 함께 가온건축을 운영하고 있다. ‘가온’이란 순우리말로 가운데라는 뜻과, 집의 평온함(家穩)이라는 의미를 함께 가지고 있다. 가장 편안하고, 인간답고, 자연과 공존하는 집을 만들고자 한다.
금산주택, 루치아의 뜰, 신진말 빌딩, 존경과 행복의 집, 언포게터블, 미장아빔 등을 설계했다. 적십자 시리어스 리퀘스트, 유니세프 관련 청소년 시설, 북촌길-계동길 탐방로 등 도시 사회 관련 설계를 진행했다. 조선일보, 세계일보 등에 건축 관련 칼럼을 연재하고 있고, <그들은 그 집에서 무슨 꿈을 꾸었을까>,  <사람을 살리는 집>,  <나무처럼 자라는 집>,  <작은 집, 큰 생각>, <이야기로 집을 짓다>, <서울풍경화첩> 등 11권의 저서를 냈다.


설계 임형남, 노은주 in studio_GAON
설계 담당 이상우, 손성원, 이성필, 이한뫼, 문주원, 이민우
번역 이민혜
용도 단독주택
대지면적 355㎡
건축면적 164.13㎡
연면적  199.29㎡
규모 지상 3층
높이  9.6m
건폐율  46.24%
용적률  56.14%
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일반목구조
외장 스터코 마감
감리 건축사사무소 가온건축
설계기간 2015.03-2015.09
시공기간 2015.10-2016.07
Map 경기도 과천시 문원동
건축가 임형남, 노은주
설계 담당 이상우, 손성원, 이성필, 이한뫼, 문주원, 이민우
일시 2018년 10월 13일 1:00PM
집합 장소 과천 한결어린이집 입구(경기도 과천시 문원동 320-9)(지도는 집합장소로 표시함)
인원 20
TOP LIST
OpenHouse 솔로하우스, 김범준 10월 15일 3:00PM
OpenHouse 부암동 하우스, 최두남 10월 14일 3:00PM
OpenHouse 라일락 옥상집, 조성익 10월 13일 3:00PM
OpenHouse 프라즈나의 집, 임형남, 노은주 10월 13일 1:00PM
OpenHouse 연희동 J Studio House, 서승모 10월 13일 10:30AM
OpenHouse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최욱 시장공관을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 센터로 리노베이션한 것이다. 1941년에 준공된 적산가옥(옛 시장공관)의 외관은 당시 근대식 일본 본토 주택의 전형을 갖추고 있으나 구조 및 벽체 구성 등의 기술적인 부분은 재래식 구법과 한국인의 솜씨 등이 혼재된, 일본에서는 보기 어려운 혼합형 건축물이다. 한양도성 혜화동 전시안내센터 계획은 세계유산제도를 존중하여 다음과 같은 원칙으로 리노베이션하였다. 원형에서 증·개축된 부분은 제거하여 원형 배치 회복을 원칙으로 한다. 기둥 및 천장 등의 주요 부재의 원형은 보존하고 구조보강용 부재와 기타 새로운 재료는 원형의 구조, 구법 및 재료와 구별되도록 한다. 대지와 건물의 관계를 유지하되, 지속가능한 사용을 위하여 사회적으로 유용한 목적을 위한 활용(전시안내센터로서의 기능)을 추구한다. 글 원오원아키텍츠  사진 ONE O ONE factory 원오원아키텍츠 http://101architects.com 최욱 1963년생.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 건축대학(dottore in arch.)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macdowell colony (u.s.a.), Valparaiso foundation (spain)에서 펠로우쉽을 받았다. 현재 ONE O ONE architects의 대표이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7년 선전-홍콩 비엔날레에 초대되었으며 대표작으로 학고재 갤러리, 두가헌,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 등이 있다.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가 2013 DFAA(Design For Asia Awards)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으로 2014 김종성 건축상을 수상하였다.
OpenHouse 가회동 백인제 가옥 서울시 민속문화제 제22호인 백인제가옥은 종로구 북촌(가회동)에 자리하고 있으며 1913년 건립된 근대 한옥으로 지난 2009년 서울시가 백인제(백병원 설립자) 유족으로부터 인수 후 보수공사를 거쳐,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건축 당시의 생활상을 복원 연출한 역사가옥박물관이다. 전통한옥과 다르게 사랑채와 안채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건축재료로 압록강 흑송,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안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된 특징이 있는 일제강점기 대형(2,460㎡) 한옥으로 북촌에서 유일하게 실내까지 관람이 가능한 가옥이다. 북촌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2,460㎡의 대지 위에 당당한 사랑채를 중심으로 넉넉한 안채와 넓은 정원이 자리하고, 가장 높은 곳에는 아담한 별당채가 들어서 있다. 전통적인 한옥의 아름다움을 유지하면서도 근대적 변화를 수용하여, 건축 규모나 역사적 가치 면에서 윤보선 가옥과 함께 북촌을 대표하는 건축물로 꼽힌다. 1907년 경성박람회 때 서울에 처음 소개된 압록강 흑송(黑松)을 사용하여 지어진 백인제 가옥은 동시대의 전형적인 상류주택과 구별되는 여러 특징들을 갖고 있다. 사랑채와 안채를 별동으로 구분한 다른 전통한옥들과는 달리 두 공간이 복도로 연결되어 있어, 문 밖으로 나가지 않아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일본식 복도와 다다미방을 두거나 붉은 벽돌과 유리창을 많이 사용한 것은 건축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반영한 것이다. 또한 사랑채의 일부가 2층으로 건축되었는데, 이는 조선시대 전통한옥에서는 보기 힘든 백인제 가옥만의 특징이다. 글 사진 서울시 제공 장소 서울시 종로구 북촌로 7길 16(가회동) 이용시간 09:00~18:00 (입장마감 17:30)  ※ 자유관람시 외부 관람만 가능 휴관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개관), 1월 1일 관람인원 안내해설 1회 15명, 자유관람 동시관람객 100명 이용요금 무료 예약 서울시 공공서비스 예약시스템(http://yeyak.seoul.go.kr) 이용 및 현장접수 병행(문의 724-0200, 0232) 백인제 가옥 http://www.museum.seoul.kr/www/guide/vis/BIJHShow/BIJHIntro.jsp?sso=ok
OpenHouse 계동 배렴가옥 계동 배렴 가옥(등록문화재 제85호)은 서울・경기지방에서 많이 보이는 튼 ㅁ자형 근대 한옥(대지 257.9㎡, 연면적 98.78㎡)으로 1940년대에 지은 집이다. 민속학자 석남 송석하(1904~1948)가 말년을 보냈고, 1959년부터 1968년까지 화가 배렴이 기거하였다. 제당 배렴(1912~1968)은 실경수묵산수로 대표되는 독자적인 화풍을 완성한 화가로 해방 후 전통회화의 전통성을 되찾는 데 힘썼다.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홍익대학교 교수 등 미술계 중진으로 활발하게 활동하였다. 배렴이 살던 시기에는 사랑채로 들어가는 별도의 출입구(솟을대문)가 있었고, 대문과 안마당 사이에는 담을 두어 대문을 들어왔을 때 안채가 바로 보이지 않도록 하였다. 목련나무, 감나무, 매화나무 등 나무를 키웠으나 지금은 목련나무만 남아있다. 배렴이 이 집에서 세상을 뜬 뒤 가족들이 1983년까지 살았고, 이후 몇 차례 주인이 바뀌었다. 2001년 SH공사에서 매입한 뒤 임대하였고, 숙박시설로 활용되면서 원형이 많이 훼손되었다. 2017년부터 서울시가 역사가옥으로 개방하기 위해 공간 구성을 새롭게 하였다. 2018년 배렴 50주기를 맞아 열리고 있는 기획전 ‘수묵에 묻힌 인생’에는 배렴의 초기 작품과 세상을 뜨기 전 마지막 해에 그린 산수화, 손때가 묻은 붓과 안료, 처음 공개되는 조선미술전람회 훈장과 상장 등 유품이 전시된다. 장소 서울시 종로구 계동길 89 이용시간 10:00∼18:00 휴관일 매주 월요일, 공휴일 문의 02-765-1375 https://blog.naver.com/00hanok http://instagram.com/00hanok 글 사진 내셔널 트러스트
OpenHouse 백남준 기념관, 최욱 서울 종로구 창신동에 위치하는 백남준 생가 터 중 일부를 서울시가 매입하여 서울시립박물관의 기획으로 만들어진 곳이 백남준 기념관이다. 대상지의 건축물은 50여 년이 지난 도시형 한옥으로 백남준 생가의 흔적은 없고 필지의 일부를 점유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 장소는 주민공동체와 서울시립미술관이 공존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카페는 주민공동체가 운영하며 공간은 주민들의 사랑방의 역할을 하며 기념관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운영한다. 마당은 두 협의체의 공유공간이다. 한옥을 기념관으로 만들며 세운 원칙들은 다음과 같다. 한옥의 목조 주요 부재를 드러냄을 우선으로 한다. 창호나 실내 칸막이 등 필요 기능에 의해 형성된 과거의 형태에 집착하지 않는다. 도시형 한옥의 생명은 마당을 구심점으로 이루어짐으로 마당과 내부와의 연계에 집중하여 단면 계획에 섬세한 정성을 기울인다. 내외부 공간은 신발을 신고 다니므로 재료의 연계 및 구법을 통일시킨다. 지역의 오랜 기억을 가진 도로 측에서 보이는 외부공간의 변화를 최소화하고 실내는 목적에 효과적인 구법을 구사하여 최대한 개방감을 만든다. 마당과 하늘 사이에 사람의 모습을 아름답게 만든다. 글 원오원아키텍츠  사진 ONE O ONE factory 백남준 기념관 https://njp.ggcf.kr/ 원오원아키텍츠 http://101architects.com 최욱 1963년생. 홍익대학교 건축학과, 이탈리아 베네치아 건축대학(dottore in arch.)에서 건축설계 및 이론을 공부하였고 macdowell colony (u.s.a.), Valparaiso foundation (spain)에서 펠로우쉽을 받았다. 현재 ONE O ONE architects의 대표이다. 2006년 베니스 비엔날레, 2007년 선전-홍콩 비엔날레에 초대되었으며 대표작으로 학고재 갤러리, 두가헌,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 등이 있다. 현대카드 디자인 라이브러리가 2013 DFAA(Design For Asia Awards) 대상을 수상하였으며, 현대카드 영등포 사옥으로 2014 김종성 건축상을 수상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