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강승현+김나운(스튜디오인로코) + 안택진(이상도시건축사사무소)
2025년 10월 29일 5:00AM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577번길 209
예약금 10,000원 결제 후 참석 시 환불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스튜디오 인 로코 (1)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스튜디오 인 로코 (2)

학교 수업과 사교육에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하는 청소년들은 관심사와 흥미에 따라 주체적으로 취미활동을 즐길 기회가 부족하다. 칠보 청소년청년센터는 이들에게 “머물 곳”을 제공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초등학생부터 대학생까지 각자가 속한 또래집단 안에서 겪는 결핍은 다양하기 때문에, 학교와 학원에서 채워지지 않는 필요를 해소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센터의 기능은 실로 중요하다.

 

관리자 중심으로 운영되는 청소년 회관이나 맹목적으로 시간을 보내야 하는 문화의 집과 달리, 칠보 청소년청년센터는 청소년들이 스스로 주체가 되어 자신만의 머물 곳을 찾을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을 가장 큰 목표로 삼았다.

 

대지는 실외 공간과 실내 공간으로 나뉘었다. 실외에는 주차장과 풋살구장이, 실내에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적합한 체적과 비율, 높이를 부여받은 다수의 집 모양 공간이 자리한다. 수평적으로 넓게 펼쳐진 건물의 중심에는 광정이 놓여 있으며, 상부 테라스의 천창을 통해 들어오는 풍부한 빛은 현관과 북카페, 사무 공간, 체육활동실이 만나는 1층 중앙을 밝히는 동시에 안내 데스크 너머의 동선을 환히 드러낸다.

 

아파트의 베란다나 벽의 창을 통해서만 경험할 수 있던 자연광의 색과 강도, 시간에 따라 끊임없이 변화하는 그림자는 실내 벽과 바닥을 캔버스로 삼아 하루 종일 움직인다. 이 일상적이면서도 특별한 속성이 칠보 청소년청년센터의 중심 공간을 규정한다.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스튜디오 인 로코 (6)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스튜디오 인 로코 (5)

북카페와 체육활동실은 센터 내부에서 가장 큰 층고와 집 형태의 부피감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공간을 좋은 성질로 구현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설계에서 가장 중점적으로 고려된 것은 청소년들이 학교나 집, 학원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공간감을 제공하고, 그 경험을 오감을 통해 직접 체득하게 하는 것이었다. 건축이 사람에게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은 좋은 공간에서의 경험이며, 그 경험이 삶의 순간을 풍요롭고 즐겁게 만든다는 사실을 몸소 느끼게 하는 것이다.

 

북카페 계단에서는 다양한 연령의 청소년들이 각자 최적의 자리에 앉아 책을 읽고 담소를 나누며, 오르내리는 사람들의 모습과 발소리가 어우러져 공간의 분위기를 완성한다. 체육활동실은 어린 선수들의 움직임과 에너지, 공이 튀는 소리, 응원하는 함성이 더해져 활기를 불어넣는다.

 

칠보 청소년청년센터는 내부의 길고 짧은 동선이 외부로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설계되었다. 사용자가 멈춰 선 지점에서 공간은 내부에서 외부로 확장되어 인지되며, 하나의 공간은 곧바로 다음 외부 공간과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개구부를 품은 벽은 단순히 공간을 나누는 요소를 넘어 풍부한 역할을 한다. 2층 전면 벽은 복도와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움직임을 끊임없이 양방향으로 공유하도록 돕는다.

 

이러한 “공유의 벽”은 전시창, 벤치, 수납장, 선반, 시창 등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열림을 제공하며, 시선의 교차와 간접 경험을 유도한다. 서로 다른 연령대의 청소년 그룹뿐 아니라 각기 다른 관심사 그룹이 서로 보여주고 보이는 과정을 통해 다채롭고 활기찬 문화의 집의 분위기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스튜디오인로코 건축사사무소 사진 이충건

 

 

스튜디오인로코 건축사사무소
inloco.kr

 

이상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utopianarchitects.com

/

스튜디오인로코 건축사사무소

In Loco는 “본연의 자리에, 제 자리에”라는 뜻으로, 건축 설계 과정에서 생성하고 소멸하는 요소들의 가장 적합한 자리를 찾고자 하는 두 건축가의 바람을 담고 있다. 대지와 환경이 지니는 가치를 돋보이게 하는 작업을 추구하며, 시간의 적층과 흔적, 재료 본연의 성질, 공간에 드리우는 빛, 구조의 힘과 서정성, 눈높이 경험에 깊은 관심을 두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수원시 칠보 청소년 문화의 집], [성석동 두 가구주택], [옥수동 달공칠], [서울창업카페 교대역점], [신한은행 명동역점], [월락동 작은집], [여주 청소년휴카페] 등이 있다.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스튜디오 인 로코 건축가(1)

강승현
강승현은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델프트 공과대학 건축학 석사를 취득했다. 진아건축과 어반엑스에서 실무를 쌓았으며, 덴하그 소재 Geurst & Schulze 건축사사무소에서 근무했다. 한국 건축사이자 네덜란드 등록건축사(B.A)이며,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에 출강하고 있다. 영주시 공공건축가이다.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스튜디오 인 로코 건축가(2)

김나운
김나운은 Virginia Tech(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U.S.) 건축학부를 졸업했다. Washington D.C. 소재 Sorg and Associates에서 실무를 한 후, 네덜란드 델프트 공과대학에서 건축학 석사(M.Arch)를 취득했다. 로테르담의 Mei Architecten en Stedenbouwers에서 근무했으며, 몽골 후레대학교 건축학과 전임교수를 역임했다. 네덜란드 등록건축사이며 서울시 공공건축가이다. 현재 단국대학교 건축학과에 출강하고 있다.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칠보 청소년 청년 센터 스튜디오 인 로코 건축가(3)

이상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모두를 위한 이상도시를 꿈꾸며, 도시의 주인인 사람을 위한 건축을 추구한다. 건축은 사유지에 지어진 건축물이라도 다수가 바라볼 수밖에 없는 도시 경관의 일부가 된다. 건축은 주변 환경과 맥락에서 벗어날 수 없으며 공동체의 삶과 어울려야 한다. 건축의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지만, 건축 공간이 시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안택진
안택진은 고려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도시재생 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현대산업개발과 현대엔지니어링 설계팀에서 근무했으며, 한국 건축사이다. 서울시 공공건축가이자 인천시 공공건축가이다.


용도: 수련시설

대지면적: 13,056㎡

건축면적: 1,647㎡

연면적: 2,353㎡

규모: 지상 2층

높이: 13.45m

주차: 10대 (장애인 1대 포함) 10 + 1

건폐율: 12.62% 

용적률: 15.35%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점토벽돌(흰색+짙은회색), 24T 로이복층유리 

내부마감: 목모보드, 우드패널, 미장마감 

구조설계: 용우엔지니어링 

시공: (주)태영종합건설 

기계설계: 삼우엠이씨

전기설계: 천일엠이씨 

설계기간: 2015. 6 - 2015. 11

시공기간: 2016. 2 - 2017. 2

발주처: 수원시청

/
주소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서수원로577번길 209
건축가
강승현+김나운(스튜디오인로코) + 안택진(이상도시건축사사무소)
설계 담당
안택진, 오창준(이상도시종합건축사사무소), 강승현, 김나운(스튜디오인로코건축사사무소)
건축주
수원시청
일시
2025년 10월 29일 5:00AM
집합 장소
센터 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