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성을 품은 학교 건축
WEB 아트리움 계단뷰(C.진효숙)
공항고등학교, 이현우 / 사진_진효숙
WEB 동성고샛별관 12 C이현준
동성고등학교 샛별관, 김지훈, 맹필수, 문동환 / 사진_이현준
WEB Nameless D Space Sample 9463
동화고등학교 어울림동, 나은중, 유소래 / 사진_노경
WEB 수지꿈학교3
수지꿈학교, 최혜진 / 사진_노경
WEB 청원초등학교 체육관 2
청원초등학교 체육관, 김한중, 이혜서 / 사진_노경
서울서진학교뿐만 아니라 올해 대한민국 공공건축상을 받은 신길중학교 등 학교 건축의 새로운 유형이 등장하고 있다. 기능과 관리 감독 위주의 기계적인 평면으로 복제되던 학교 건축을 개선해야 한다는 논의는 오래되었지만, 이제 비로소 조금씩 변화를 보이는 듯하다. 교육 공간 개선에 대한 오랜 바람은 자라나는 어린이/청소년들에게 더 나은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는 공감대에서 출발한다. 최근 등장한 학교 건축은 이런 공감대를 토대로 새로운 공간 제안을 담고 있다. 6개의 오픈하우스 프로그램은 앞으로의 교육 공간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 자리로 마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