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천 라일락집





도천 라일락집 터는 도상봉 화백이 기거하며 작품활동을 하던 곳이면서 우리나라 근대 서양화의 산실이기도 하다. 1929년 터를 잡고 30년대 화실과 가정집을 이곳에 꾸려 작품활동을 하면서 당대의 화가 김환기 천경자 등과 교류하였고 초기 학생들을 모아 근대 서양화를 가르쳤던 곳이다. 도상봉 화백이 작고한 이후에도 후손들은 1974년 증축을 한 일반 양식 가옥에서 4대째 살아가고 있었다.
도상봉 손자 도규영 씨는 주변이 밀도가 높은 다가구 다세대 주택으로 급속히 변해가면서 주거 환경이 열악해지고, 70년대 지은 집이 낡고 노후해 이주할 계획을 세우다가 살아온 터의 의미와 중요성을 생각해 원래 집터에 작은 기념관을 겸한 살림집을 짓자는 건축가 정재헌의 제안을 받아들여 이곳에 신축을 하기로 했다.
성균관 명륜당의 돌담을 마주하고 있는 집은 차분하고 서정적인 풍경과 주변의 무질서한 주택들 사이에 있다. 건축가는 이 틈에서 간결하고 존재감 없는 배경으로, 주변의 시각적 소음을 제거하는 흡음재로 집을 설계하고자 했는데, 각기 다른 패턴과 재료의 벽돌쌓기로 담백한 건물의 외관을 만들고 있다.
살림집은 ㄱ자형으로 배치하고 도상봉 화백의 기념관을 별채 처럼 배치했지만 마당을 중심으로 내부 공간을 연결했고, 담을 두르는 대신 건물의 배치로 자연스럽게 안마당이 만들어졌다. 도상봉 화백이 즐겨 그리던 명륜동의 담과 라일락 두 그루가 있는 이 집은 터의 내력을 잇고 건축물로 이전의 기억을 잇고자 하는 건축가와 건축주의 노력이 담겨 있다.
사진 박영채
도상봉 손자 도규영 씨는 주변이 밀도가 높은 다가구 다세대 주택으로 급속히 변해가면서 주거 환경이 열악해지고, 70년대 지은 집이 낡고 노후해 이주할 계획을 세우다가 살아온 터의 의미와 중요성을 생각해 원래 집터에 작은 기념관을 겸한 살림집을 짓자는 건축가 정재헌의 제안을 받아들여 이곳에 신축을 하기로 했다.
성균관 명륜당의 돌담을 마주하고 있는 집은 차분하고 서정적인 풍경과 주변의 무질서한 주택들 사이에 있다. 건축가는 이 틈에서 간결하고 존재감 없는 배경으로, 주변의 시각적 소음을 제거하는 흡음재로 집을 설계하고자 했는데, 각기 다른 패턴과 재료의 벽돌쌓기로 담백한 건물의 외관을 만들고 있다.
살림집은 ㄱ자형으로 배치하고 도상봉 화백의 기념관을 별채 처럼 배치했지만 마당을 중심으로 내부 공간을 연결했고, 담을 두르는 대신 건물의 배치로 자연스럽게 안마당이 만들어졌다. 도상봉 화백이 즐겨 그리던 명륜동의 담과 라일락 두 그루가 있는 이 집은 터의 내력을 잇고 건축물로 이전의 기억을 잇고자 하는 건축가와 건축주의 노력이 담겨 있다.
사진 박영채

정재헌
정재헌은 성균관대학교와 파리 벨빌국립건축대학을 졸업했다. 1998년 이엔건축을 개소했고, 현재 경희대학교 건축학과 교수이다. 2005년 제로원디자인센터로 서울시건축상, 2006년 우리노인병원 및 우리너싱홈으로 건축가협회상, 2009년 동백집으로 경기도건축상을 수상했으며, 2011년 오륙도가원으로 부산다운건축상, 2012년 판교요철동으로 건축가협회상을 수상했다. 주요작품으로는 두물머리주택, 동검리주택단지, 전주자운당, 판교 요철동, 이인디자인사옥, 오륙도가원레스토랑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