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마당으로 연결되는 마을집 건축사사무소 SINTIM (1)](https://cdn.ohseoul.org/5uykxwjgu6acnly4trfzlzzr.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마당으로 연결되는 마을집 건축사사무소 SINTIM (2)](https://cdn.ohseoul.org/a3lskfejessdyw4ooa5elnpb.webp)
*공용 공간 및 외관은 촬영 가능하나 거주자들의 개인 주거 공간은 촬영 불가합니다.
*거주 공간 중 반려동물(강아지)을 키우고 있는 곳이 있습니다. 신청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수원 매탄동 다가구주택
응답하라 1988이 떠오르는 마을의 풍경
80년대 후반에서 90년대 초에 지어진 붉은 벽돌의 2층 양옥집이 즐비한 마을 풍경. ‘응답하라 1988’을 연상시키는 이 마을의 모습과 분위기가 이 대지를 처음 접했을 때 받은 가장 큰 인상이었다. 산드레미 마을이라 불리는 이곳에는 오랜 시간 거주해 온 주민들이 많았고, 그들의 삶의 나이만큼 집도 함께 세월을 쌓아왔다. 이 동네는 담장이 없는 마을로, 골목길에 나와 삼삼오오 앉아 이야기를 나누는 어르신들을 쉽게 만날 수 있다.
그런 동네에도 근래 들어 기존 양옥집들이 하나둘 허물어지고, 지구단위계획구역 법제 규모에 맞춘 4층 다가구주택으로 변모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오래된 마을이 지녔던 담장이 없는 구조와, 골목길에서 삼삼오오 커뮤니티를 이루던 주민들의 분위기를 새로 지어지는 다가구주택에도 이어가고 싶었다. 마을의 골목길에서 내 집까지 이어지는 집, 집 안에서 골목길 외부로 시야가 뻗어 나가는 집을 상상했다.
틈새의 빛, 광정(光庭)
정북일조사선 법규로 인해 계단실과 엘리베이터가 필연적으로 남향에 배치될 수밖에 없었고, 정작 세대 내부에서는 남향의 빛을 받지 못하는 아이러니가 생겼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실내와 공용계단실 사이의 틈을 최대한 벌려 빛을 들일 수 있는 가로로 긴 광정을 두었다. 계단실과 세대 간의 간격을 벌려 광정이라는 켜를 둠으로써 프라이버시를 확보함과 동시에, 계단실로 막힌 남쪽 사이로 빛을 들이는 역할을 하도록 했다. 광정 덕분에 각 세대의 거실은 자연광이 비치고, 실내는 한층 풍부한 밝기를 느낄 수 있다.
다가구주택에서 단독주택을 느낄 수 있는 앞마당의 역할
외부 마당을 통해 내 집 현관으로 들어서는 방식.
골목길 → 건물 안 골목(공용계단실) → 외부 앞마당 → 실내 현관 → 거실로 이어지는 시퀀스로 집에 도달한다. 어디까지가 내 집이고 어디까지가 공용공간인지의 선을 명확히 긋지 않고, 외부 앞마당과 실내 현관 사이의 현관문을 투명하게 처리했다. 또한 계단실부터 현관까지의 바닥 재료를 통일해 외부 앞마당과 건물 안 골목(공용계단실)까지도 내 집의 일부로 느껴지도록 했다. 담장이 없던 기존 마을의 생활 방식을 신축 다가구주택에서도 그대로 이어가도록 의도했다.
실내에서 외부로 시야가 뻗는 창
창의 크기를 의도적으로 크게 계획해 실내에서 외부로 시야가 뻗어 나가도록 했다. 이를 통해 실내에서 동네 골목길까지 확장된 공간을 느낄 수 있으며, 오래된 동네의 풍경이 집 안으로 이어지는 효과가 생긴다. 또한 작은 실내 면적이 실제보다 넓게 인지되는 효과를 주며, 동시에 동네 커뮤니티의 중심인 외부 골목길과 이어지고 관계 맺는 다가구주택이 되었다.
외부공간을 갖는 집, 단독주택 같은 집
현관 앞 외부 앞마당은 입주자가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카페 테이블을 두거나 식물을 기르는 등의 방식으로 꾸밀 수 있다. 앞마당은 살대문 사이로 다른 집의 일부가 엿보이기도 한다. 실내에서는 광정 너머의 공용 복도 루버 담장 사이로 계단의 일부가 비치는데, 지나가는 사람의 정수리가 보이기도 하고 발이 보이기도 한다. 이는 의도적으로 실내에서 마치 마을 골목길을 지나가는 사람을 보는 듯한 장면을 만들어낸 것이다.
거주자들은 서로의 모습을 조금씩 알게 되면서 다가구주택 안에서도 아는 사람과 함께 사는 듯한 친밀감을 느낄 수 있다. 이것은 매탄동 산드레미 마을이 대대로 이어온 공동체적 전통을 현대 다가구주택에서도 이어가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라 생각한다.
글 건축사사무소 SINTIM 사진 진효숙
건축사사무소 SINTIM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마당으로 연결되는 마을집 건축사사무소 SINTIM (9)](https://cdn.ohseoul.org/lwp6rfkex6gsn2sc5j6zvsf7.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마당으로 연결되는 마을집 건축사사무소 SINTIM (10)](https://cdn.ohseoul.org/j763kt2g76bu6uu3er6pkqqi.webp)
![[리사이징] 도슨트투어 마당으로 연결되는 마을집 건축사사무소 SINTIM 건축가](https://cdn.ohseoul.org/cm2fdunj6z4wsmjxe4u7qe6a.webp)
신진아
소장, 대한민국 건축사
홍익대학교에서 건축을 공부하고 플래닝코리아, 건축동인, 사무소효자동에서 건축 실무를 익혔다. 2022년 ‘건축사사무소 SINTIM’을 개소하고 운영 중이다.
용도: 다가구주택
대지면적: 196.10㎡
건축면적: 117.63㎡
연면적: 363.99㎡
규모: 지상 4층
주차: 5대
높이: 14.39m
건폐율: 59.98%
용적률: 185.61%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외부마감: 연출미장, 뿜칠도장, 알미늄창호, 알미늄루버
내부마감: 강마루, 도배지, 화강석, 타일
구조설계: 은구조
시공: ㈜인우종합건설
기계설계: ㈜정찬
전기설계: ㈜정찬
설계기간: 2022. 03 ~ 2022. 06
시공기간: 2022. 08 ~ 2023. 06
준공: 2023. 06
발주처: ㈜리컴포젯207
- 주소
- 경기도 수원시 매탄동
- 건축가
- 신진아(건축사사무소 SINTIM)
- 설계 담당
- 신진아(건축사사무소 SINTIM)
- 건축주
- ㈜리컴포젯207
- 일시
- 2025년 11월 1일 2:00AM
- 집합 장소
- 매원중학교 정문(경기 수원시 영통구 매탄로 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