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잠박물관에서 집결해 성북구립 최만린 미술관까지 둘러보는 코스로 진행됩니다.
-
신청 9월 28일(수) 오후 2시에 [대한민국 건축주간 2022] 신청 링크 공개
선잠박물관
선잠단은 조선 시대 역대 왕비가 누에로부터 좋은 실을 얻게 하여 달라는 기원을 드리는 제사를 지내는 곳이었다. 1908년에 사직단으로 옮겨진 이후 터로 남게 된 선잠단은 복원 사업이 진행되면서 예전과 같은 모습으로 회복하는 중이다. 이에 옛것을 살리는 의미로서 작지만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한 선잠박물관은 선잠단의 역사적 가치를 깨우고 함께 호흡하는 성북동 역사문화관광 거점이자 시민문화공간이다.
성북동은 역사와 문화적 토대가 비옥하지만, 현재는 복잡하고 어수선한 건물들이 거리풍경을 만들고 있다. 선잠박물관은 성북동의 역사적인 풍경을 현대적 의미에서 재해석하고 절제된 태도로 장소의 가치를 드러낸다. 직조의 방식으로 만들어지는 비단은, 부분이 조립되어 전체가 만들어지는 입면의 구축방식과 알루미늄의 재질을 통한 질감으로 표현된다. 또한, 작은 박물관으로 시작하여 옆 건물로의 확장을 고려한 친환경적 구축방식은 입면의 연속성을 부여한다. 한양도성이 마주하는 위치에서 비단처럼 가벼운 레이어로서 투과하는 벽(silk wall)은 역사적 가치를 은유로써 환기하게 시킨다.
글 이은경 사진 신경섭
위치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96
지역지구 제1종일반주거지역, 역사문화미관지구, 자연경관지구, 지구단위계획구역
용도 문화 및 집회 시설 중 전시장
대지면적 300㎡
연면적 339.18㎡
건폐율 33.80%
용적률 101.40%
층수 지상 3층, 지하 1층
최만린 미술관은 작가의 의지와 공공의 이해가 합치되어 작가의 집을 미술관으로 전환한 프로젝트이다. 삶터는 예술가의 작업에서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 바탕을 형성하지만 작가의 작품보다 쉽게 사라지기 마련이다. 최만린 미술관은 성북구청에서 조각가가 거주하던 집을 매입하고 조각가는 자신의 작품을 이바지하면서 공공미술관이 되었다.
작가는 정릉에 지어진 주택을 매입하여 30년 동안 살았다. 작가는 이를 작업실을 겸한 주택으로 리모델링하여 필요한 공간으로 변화시켰다. 거실과 정원 사이의 옥외 테라스 공간이었던 곳은 실내인 침실과 거실로 바뀌고, 집의 가장 특징적인 높은 층고의 기존 거실은 작업 공간으로 변경되었다.
공공기관 발주의 리모델링은 한정된 예산으로 집행되었고, 기존 주택 공간에서 작가의 흔적과 전시장으로서 집이 가진 잠재력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하고자 하였다. 최초의 거실과 옥외 테라스였던 공간은 거실에서 작업실을 거쳐 이제는 새로운 기능인 전시장으로서 적극적으로 정원과 관계를 맺고 외부로 확장된다. 나무 물성의 재료들인 계단, 천장, 아치형 목재문은 기존 그대로 보존하여 만들어진 당시의 시대를 드러내도록 한다. 외벽 벽돌은 그대로 보존하고, 바닥 벽돌은 땅을 고르고 평탄하게 다시 까는 것으로 세월의 흔적이 남아있도록 했다.
정릉은 서울 도심에서 벗어나 서민으로서 자연을 벗하며 단독주택에서 살아가는 정서가 있던 장소로서 최만린 작가뿐만 아니라 많은 예술가가 살았던 삶터였다. 상대적으로 공공공간이 부족한 저층 주거지에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작은 미술관은 문화 콘텐츠를 중심으로 지역 주민, 방문객, 작가 등 다양한 사람들이 교류하는 장소가 된다. 물리적 공간 만들기보다 콘텐츠가 중요한 시기에 장소를 기반으로 한 작가의 미술관이 지역 사회에서 공간 자산이 되고 이에 공공의 역할이 바람직한 참조로서 확장되기를 바란다.
글 이은경 사진 텍스쳐 온 텍스쳐
위치 서울시 성북구 솔샘로7길 23
대지면적 321㎡
지역지구 도시지역, 제1종일반주거지역
용도 제2종 근린생활시설
연면적 255.36㎡
건폐율 48.86%
용적률 66.43%
층수 지상 2층, 지하 1층
발주처 성북구청




이엠에이 건축사사무소 대표. 일상적인 공간에서부터 사람들이 대면하는 관계를 조직하는 거주하는 형(living form)과 한정된 영역을 공유하는 집합의 형(collective form)의 가치와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2015 젊은건축가상을 수상했고, 대표작으로 만리동 예술인 협동조합주택, 오시리가름 협동조합주택, 고덕강일 5블럭 공동주택, 조치원 문화정원, 성북 최만린 미술관 등이 있다.
www.emaa.co.kr
- 건축가
- 이은경
- 설계 담당
- 이엠에이건축사사무소
- 건축주
- 서울특별시 성북구청
- 일시
- 2022년 10월 8일 5:00AM
- 위치
- 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