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원불교 원남교당(Won Buddhism Wonnam Temple, 2017~2023)
원불교는 1916년에 시작된 토착, 현대 종교이다. ‘원’은 상징적인 표현으로, 형상과 깨달음, 가르침을 통한 ‘궁극적 진리’를 의미한다. 이는, 불교의 여러 종파를 현대 불교의 관습에 접목해 완성한 불교이다. 설계 공모를 통해, 매스스터디스는 서울 중심부에 있는 기존 원남교당을 대신할 새로운 교당 설계를 하게 되었다. 대상지는 서쪽으로 창경궁, 북쪽으로 서울대학교병원, 남쪽으로는 동대문과 청계천으로 둘러싸여 있다. 저층 주거 지역에 있는 대상지 뒤쪽에 인접하여 동서로 이어지는 주요 도로를 따라 중층, 고층 건물이 있다.
글 매스스터디스 사진 신경섭

조민석
조민석은 2003년 서울에서 매스스터디스 건축사무소를 설립했다. 사회 문화 및 도시 연구를 통해 새로운 건축적 담론을 제시하는 그의 대표작으로는 픽셀 하우스, 실종된 매트릭스, 다발 매트릭스, 상하이 엑스포 2010: 한국관, 다음 스페이스 닷 원, 티스톤/이니스프리, 사우스케이프 클럽하우스, 돔-이노, 대전대학교 기숙사, 스페이스K 미술관, 페이스 갤러리 서울, 원불교 원남교당, 주한 프랑스 대사관 신축과 리모델링 등을 꼽을 수 있다. 현재는 공모전 당선작인 서울영화센터(몽타주 4:5), 당인리 문화발전소(당인리 포디움과 프롬나드), 양동구역 보행로 조성사업(소월숲)과 연희 공공주택 복합시설이 진행 중이다.
또한, 2011년 광주 디자인 비엔날레 전시를 공동 기획했고, 2014년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커미셔너/큐레이터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였다. 2014년 삼성 플라토 미술관에서 <매스스터디스 건축하기 전/후> 개인전 등 다수의 전시와 강의를 통해 활동하고 있다.
massstudies.com
현상설계팀: 배정혜, 석치환, 정대인, 구재승, 이상민, 김보라, 이성훈, 지윤미
설계팀: 정승환, 정대인, 홍성범, 장국정, 최은주, 김장운, 강민경, 양지윤, 박서인, 김지현
감리팀: 정승환, 장국정
유형: 종교 시설 (설계 공모 당선)
위치: 서울시 종로구, 대한민국
대지면적: 1,243.90 m2(종교관), 289.70 m2 (훈련관), 121.70 m2(경원재)
건축면적: 726.60 m2(종교관), 162.50 m2(훈련관), 61.44 m2(경원재)
연면적: 1,984.20 m2(종교관), 554.52 m2(훈련관), 164.01 m2(경원재)
건폐율: 58.40%(종교관), 56.09%(훈련관), 50.48%(경원재)
용적률: 106.30%(종교관), 191.41%(훈련관), 84.89%(경원재)
규모: B1F, 3F(종교관), 5F(훈련관), B1F, 3F(경원재)
구조: 철근콘크리트조
주요 마감: 내부_노출콘크리트, 흡음 뿜칠 / 외부_노출콘크리트
구조 설계: 터구조
전기/기계 설계: 하나기연
인혜원 설계: 온지음
인혜원 시공: 강인
조경: 조경설계 서안
조명: 뉴라이트
난간 시공: 알코리아
음향: 튠웍스
영상: 하이드랩
가구: 스탠다드에이
사이니지: MYKC
시공: 다산건설엔지니어링
의뢰인: 원불교 원남교당
사진: ©신경섭, ©매스스터디스
설계 기간: 2018년 6월~2018년 9월(현상설계)
2018년 9월~2020년 8월(본 설계)
공사 기간: 2021년 4월~2022년 10월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남동 98
- 건축가
- 조민석(매스스터디스)
- 일시
- 2023년 10월 23일 6:00AM
-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원남동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