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사이징] OH ZWCAD 사옥 경영위치건축 (3)](https://cdn.ohseoul.org/vs6gs5qcxb5s534eyqdycyo2.webp)
![[리사이징] OH ZWCAD 사옥 경영위치건축 (4)](https://cdn.ohseoul.org/m2cweeibcjge7xsssul3khw6.webp)
진행 임윤지 소장(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강남 이면도로, 업무·교육·휴식이 공존하는 사옥
임대 오피스와 달리 회사의 사옥은 자신만의 정체성을 요구한다. ZWCAD는 건축설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회사로 국내외 많은 설계사무소와 엔지니어 회사를 고객으로 두고 있다. 건축과 밀접한 사업을 하는 까닭에 건축주는 사옥의 신축에 특별한 관심과 애정을 지니고 있었다. 서울 강남 이면도로에 있는 대지는 80평으로 소규모 오피스를 짓는 데 부족함이 없었다.
출근하는 사원들이 사무실에 이르는 시간을 행복하게 만들고 싶었다. 필로티로 건물을 들어 올려 개방감을 극대화하고, 입구 홀에 카페를 두어 출근길에 커피를 즐기는 여유를 갖도록 했다. 엘리베이터홀은 2층으로 열린 시원한 공간감을 주고, 계단실에서 역시 선큰가든과 연결된 아담한 아트리움을 누릴 수 있게 했다.
사무공간은 천정고 3.3m로 개방감을 최대한 확보하고, 구조기둥과 같은 장애물을 두지 않아 자유스럽게 배치를 조정할 수 있다. 연속된 사무공간은 각 층마다 조금씩 다른 평면 구성과 창문을 갖게 되어 각 공간이 고유한 공간감을 지닌다.
일반인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위해 마련된 지하 공간은 회사와 사회의 인터페이스가 되는 공간으로 가장 넓은 공간이다. 한편 옥상은 직원들을 위한 휴식공간으로 몇 개의 레벨로 구성된 야외 정원으로 만들었다. 이곳에서 좋은 전망을 누리기도 하고, 저녁에 작은 파티를 열 수 있다. 작은 오피스이지만 다양한 성격을 지닌 프로그램이 입체적인 방식으로 전개된다. 사옥의 표정을 만드는 것도 매우 중요한 설계의 목표였다. 이면도로의 오피스는 어떤 포즈를 취해야 하는지, ZWCAD사옥의 브랜드 이미지는 어떻게 투영해야 할지 고심을 많이 했다. 라바그리지아 석재를 좁고 길게 켜서 만든 오피스 매스를 지상에서 필로티로 들어올리고, 들어 올린 매스에 생긴 커다란 오프닝을 도로에 돌출하여 도시의 풍경과 대화하는 로지아(logia)와 같은 공간을 만들었다. 발터 벤야민은 도시의 신이 머무는 곳을 로지아라고 했는데, 강남의 번화가의 뒷 공간에도 도시의 신이 잠시 머무를 여유를 수 있는 여지를 만들고 싶었다. 이러한 소통의 방식이 이 회사가 추구하는 기술과 아이디어의 소통과 교류를 상징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글 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사진 김재경
(주)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리사이징] OH ZWCAD 사옥 경영위치건축 (6)](https://cdn.ohseoul.org/inspnb3etyml44xijnpg7p2w.webp)
![[리사이징] OH ZWCAD 사옥 경영위치건축 (8)](https://cdn.ohseoul.org/wqhqu2zkjlebz6mkhsvkik67.webp)
![[리사이징] OH ZWCAD 사옥 경영위치건축 (1)](https://cdn.ohseoul.org/dyhszfe6nlydnhnaw3n26juu.webp)

김승회
건축가 김승회는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대학원을 졸업하고 미시건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의 S.O.M., 한국의 서울건축을 거쳐 1995년 (주)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를 설립했으며, 2003년부터 2023년까지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지방 소도시의 보건소 연작을 통해 공공건축을 한단계 끌어올리는 역할을 했으며, 일산주택, 서초동주택, 이우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롯데부여리조트, 라파엘센터 등이 대표적인 프로젝트다. 서울시건축상, 한국건축가협회상, 건축문화대상, 대한건축학회 무애 건축대상, 김수근문화상(2009) 등 수많은 수상 경력이 있으며, 제10회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작가로 참여하기도 했다. 사회적인 조건과 도시의 암울한 상황을 직시하고 건축을 통해 그 현실을 뛰어넘을 해법을 모색하는 건축가로 용산과 같은 지역에 대한 연구와 우리 시대를 위한 주거 탐구를 멈추지 않고 있다.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211.7m²
건축면적: 125.82m²
연면적: 634.77m²
규모: 지하 2층, 지상 4층
건폐율: 59.43%
용적률: 197.41%
구조: 철근콘크리트
외부마감: 현무암, 트래버틴, 스텐레스스틸
내부마감: 노출콘크리트, 현무암, 트래버틴
구조설계: 윤구조기술사사무소
시공: 콘크리트공작소
기계설계: 기한엔지니어링
전기설계: 대경전기설계사무소
설계기간: 2021.11. ~ 2022. 7.
시공기간: 2022. 11. ~ 2024. 4.
발주처: 지더블유캐드코리아
- 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동 100-7
- 건축가
- 김승회(경영위치건축사사무소)
- 설계 담당
- 이예슬, 이동재
- 건축주
- 지더블유캐드코리아
- 일시
- 2025년 10월 25일 6:00AM
- 집합 장소
- 건물 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