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HOUSE
어쩌다집, SAAI건축
서울시 마을만들기 시범지역에 속한 부지에 지어진 연남동 어쩌다집은 9세대의 소규모 주거공간이 라운지, 동네 부엌, 수직골목의 공용공간으로 엮인 집이다. 건축가는 재료의 디테일보다는 공간 조직의 완성도에 집중해 주거 시장에서 보편화될 수 있는 1인 공동주거 유형을 제시하고자 했다.
건축주는 결이 비슷한 사람들과 적당한 연대를 이루며 살기 위해 협동조합주택을 위해 리서치를 진행하고 설명회를 갖기도 했다. 반응이 좋았지만 모인 사람들의 상황이 맞지 않아, 일반적인 개인투자를 통해 공유주택을 만들기로 했다. 설계과정은 더 조심스러웠다고 한다. 공유주거 기획에 경험과 열정을 지닌 서울소셜스탠다드와 함께 리서치를 진행하고 여러 논의를 통해 법규가 허용하는 최대 바닥 면적을 확보하면서도 공간의 풍성함은 간직하고자 했다.
주변의 저층 주거와 어울리기 위해 집의 덩어리를 둘로 나누고 고즈넉한 동네 골목길을 연장하는 외부 계단을 통해 다양한 유형의 1인 가구 주거 형식을 공용공간(라운지, 동네부엌, 수직골목)과 함께 엮어내고자 했다.
2014년 8월 지인들과 SNS를 통해 소식을 접한 30여 명이 모여 입주설명회를 가졌는데, “만드는 일을 하는 사람들이 살기 좋은 연남동에 집을 짓고 있습니다. 가게와 사무실, 원룸과 셰어하우스, 복층주거가 골목과 마당, 라운지를 공유하는 집입니다. 모이고 공유하면 일상이 더 재미있고 풍요롭다고 생각하는 사람들과 ‘어쩌다집’에 함께 살고 싶습니다.”라는 글로 입주자를 모집했다. 수익을 목적으로 집을 지은 것이 아니므로 임대료는 대지구입과 공사비를 위한 대출금의 이자를 갚을 수 있는 정도로 정했고, 각자 원하는 주거형식과 입주일을 기준으로 30, 40대의 디자이너, 편집자, 건축가, 한의사가 함께 살고 있다.
1층의 동네부엌은 어쩌다집 식구들과 이웃주민을 연결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도시형 장터 마르쉐 출점팀이 건강한 이탈리안 가정식과 카페 운영한다. 비가오면 계단에서 비를 맞고, 가게의 영업시간에는 외부계단을 통해 2층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기로 약속되어있다. 우연히 함께 살게 된 식구들은 친구와 이웃들을 초대해 2015년 4월25일에 오픈하우스를 열고 풍요로운 일상을 공유하고 있다. 1인가구가 모여 혼자 살지 않는 집이 된 것이다.
글 SAAI건축 사진 조재용
OPENHOUSE
판교 계수나무집과 단풍나무집, 조남호
지난해 오픈하우스를 진행한 계수나무집 옆으로 운중 단풍나무집이 들어섰다. 운중동은 국사봉 아래 저수지에서 피어난 안개가 자주 내려앉으면서 생겨난 지명으로 한국학연구원이 오래전에 터를 잡을 정도로 환경이 좋은 곳이다. 서로 인접해 있는 계수나무집과 단풍나무집은 닮은 외관을 가지고 있지만 내부공간의 구성은 전혀 다르다. 계수나무집은 창고 같이 단순하게 비운 1층과 기능적으로 분절된 2층으로 비교적 정적인 구성이라면, 단풍나무집은 완만한 경사를 활용하면서 지하부터 2층에 이르는 공간이 연속적으로 흐르는 동적인 공간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선택한 이유는 지형보다는 가족들의 특별한 생활방식을 물리적으로 구현 공간이다. 이 집은 주차장을 포함해 330m2면적을 가지고 있지만 가족이 모두 모여 함께 자기 때문에 초등학생 딸과 아들을 위한 방은 따로 요구하지 않았다. 다만 외부 활동이 잦은 아빠와 아들, 아이들의 활동공간,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된 욕실 공간 등 가족 네 명의 성향과 세대, 성별에 따라 다양한 활동 조합이 이루어지고, 이에 대응하는 체계를 건축화하는 과정을 통해 만든 집이다. 다른 성격의 공간들은 반 층 차이로 연속적으로 흐르고, 지면에 가까운 층들은 가능한 한 외부공간과 직접 연결되며, 다락은 하늘과 맞닿아 있다. 한옥을 닮은 중목구조와 경골목구조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구조 시스템은 연속되는 공간을 보다 섬세하게 분절 또는 통합시키는데 기여한다.
단풍나무는 수형과 나뭇잎, 색깔에서 수려하지만, 다양한 환경에서 잘 자라는 편안한 나무이다. 집을 설계하고 시공하는 과정에서 놀라운 분석력과 감각으로 거의 공동설계자 역할을 해오신 건축주 가족에게 어울리는 나무이다. 나무는 사람의 뜻대로 심어졌지만 스스로 성장하며, 오랜 세월 가족과 함께 한다.
글 조남호 사진 윤준환
OPENHOUSE
세계장신구박물관, 김승회
서울의 북촌은 조선시대로부터 오늘날까지 이르는 시간의 깊이가 빚어내는 장소이다. 시간이 박혀있는 도시에 설계를 한다는 일이 결국 시간과 관계를 맺는 일이라면 북촌의 세계장신구박물관 설계 역시 서로 다른 시간을 하나의 장소 안에서 조작하는 일이다. 북촌의 한적한 골목에 자리한 2층 양옥을 고쳐 장신구 박물관으로 만드는 일은 북촌이라는 오래된 풍경과 장신구라는 아름다운 전시물이 건축물을 매개로 만나게 하는 즐거운 작업이었다.
장신구박물관이 의식해야 하는 시간의 성좌는 두 개의 층으로 이루어졌는데 하나는 북촌이 이루는 켜이고 또 하나는 세계 곳곳에서 모인 장신구들이 발산하는 켜이다.
아프리카와 아시아, 아메리카 등 서로 다른 공간과 시간을 지닌 장신구들이 마치 기적처럼 한 장소에 모여 있으며 새로운 시간의 무늬를 만들어낸다. 기존 주택을 리노베이션하여 새로운 박물관으로 만들면서 각각의 장신구들이 그에 어울리는 방식으로 전시되는 것이 과제였는데, 그것은 각각의 공간이 연속되어 있으면서도 개별성을 지녀야 함을 의미했다. 다행히 기존 주택이 지닌 공간의 구조는 장신구를 전시하기에 불편하지 않았다.
각각의 분절된 공간마다 독립된 주제를 지닌 장신구가 전시되어야 했으므로 각각의 공간은 고유한 특징을 지니도록 배려했다. 각각의 전시공간은 ‘정원’, ‘숲’, ‘엘도라도’, ‘십자가’ 등의 주제를 지니면서 차이를 만들어내었다. 공간의 크기와 재료, 빛과 촉감 등 여러 방식을 통해 전시 관람 시간을 분절하고 또 이어주었다. 그 결과 작은 공간이지만 관람객은 많은 공간의 주름과 시간의 켜와 경험의 단층을 누리게 되었다.
북촌의 시간과 공간이 지닌 중요한 특징이 각각이 지니고 있는 스케일이라면 북촌에 놓인 집 역시도 그 작은 스케일의 일부가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기존의 주택에 새로운 외피를 붙여나가면서 그 볼륨이 지니는 분절들에 고유한 재료를 부여하면서 매스와 재료의 스케일을 획득했다. 그리하여 동판과 적삼목, 유리와 철이 서로 만나면서 각각의 재료가 지는 시간과 공간을 증거하며 ‘하찮은 작은 것’들이 모여 만들어진 ‘의미있는 북촌 풍경’의 일부가 되었다. 세계장신구박물관은 성좌와 같은 도시 공간 안에 놓여 있으면서, 다시 그 집속으로 장신구가 이루어내는 새로운 성좌를 품고 있는, 작은 시간이자 작은 공간이다.
글 김승회 사진 강일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