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LM 영상 ㅣ 공간 발굴, 그리고 탐색, 초현실부동산 : 박성진, 이진오 공동대표 2020년 11월 12일 7:16PM
OPENSTUDIO LIVE ㅣ가온건축, 임형남 + 노은주 2020년 10월 30일 5:00PM
OPENHOUSE JCC 크리에이티브센터, 안도 다다오 오픈하우스 진행 이웅재 * 이 프로그램은 재능교육의 이웅재님의 안내로 진행됩니다. * JCC 아트센터와 크리에이티브센터 오픈하우스는 신청하신 날짜에 함께 진행됩니다. (오픈하우스 프로그램은 10월 16일(화) 오후 4시 / 10월 17일(수) 오후 4시에 동일하게 진행되며, 10월 16일 오후 4시 신청은 'JCC 아트센터' 창에서 가능합니다.) 안도 다다오가 설계한 JCC 아트센터와 크리에이티브센터는 성북동의 오래된 길목에 자리한다. ‘꿈, 개성, 철학’을 담아 100년 후를 바라보는 건축물을 조성하고자 한 재능그룹은 안도 다다오에게 21세기 창의적인 인재를 키우기 위한 공간과 문화공간을 요청했고, 건축가는 전통과 현대, 과거와 미래가 만나는 ‘문화의 길’이라는 주제로 건축을 풀어내었다. 이곳 혜화문 길은 조선시대 과거에 급제한 선비들의 축하행사가 열리던 길로, 자연스럽게 형성된 구도심의 복잡하게 얽힌 길을 건축물로 끌어들여 과거와 미래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길 바라는 콘셉트를 담았다. 결과적으로 건축물이 놓인 부지는 길의 연속이 되어 흐르고, 건물의 높이 역시 주변 흐름과 어우러지도록 설계했다. 내부와 외부가 경계 없이 흐르는 열린 공간을 만들고자 한 것이다. 건물의 주요 동선이 길이 되고 길이 곧 건물의 형상을 구축하는 JCC 건물에 사용된 사선은 언덕길의 기울기와 같고 이는 자연스럽게 흘러 순환되는 물길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정제된 대칭적 공간을 구축했던 안도 다다오의 건축이 자연적으로 형성된 복잡한 서울 구도심에 들어서면서 어떻게 유연하게 지형에 순응하고 풀어내는지 살펴보는 것이 흥미롭다. 건물을 감싸 돌아가는 여러 동선들로 인해 전시장과 어쿠스틱홀이 있는 아트센터와 인재 양성과 연구소, 강연장으로 구성된 크리에이티브 센터는 다양한 시선과 장면을 교차시키고 있다. 특히 나가타 어쿠스틱스가 설계한 아트센터의 어쿠스틱홀은 나무로 마감하고 섬세하게 음향을 조율하기 위해 곳곳에 배려한 디테일이 인상적이다. 글 OHS  사진 재능교육 제공 재능아트센터 https://www.jeijcc.org/intro.html 안도 다다오 1941년 일본 오사카 시에서 태어나, 후리츠 죠토 공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62년부터 1969까지 세계 각지를 여행하면서 독학으로 건축을 배웠다. 그는 또한 프로권투선수를 하기도 했으며, 르 코르뷔지에의 건축에 흥미를 느껴 건축을 공부하게 되었다. 1969년 안도 다다오 건축 연구소를 설립해 스미요시의 연립 주택(오사카)으로 일본건축학회상을 수상했다. 1985년 교토(京都)의 Times I(1985), Times II(1991), 1988년에 지은 오사카의 갤러리아 아카와 1989년에 건설된 빛의 교회는 그의 건축적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자연과의 조화가 잘 나타난 건축물로는 치카츠 아스카 역사박물관, 구마모토현의 장식고분관, 그리고 히메지의 문학관, 물의 교회, 물의 절 등이 있다. 대표적인 작업으로는 고베(神戶)의 로코 하우징 II(1993)과 오사카의 산토리 박물관(1994), 가고시마대학의 이나모리(稻盛)회관(1994), 오사카의 맥스레이(Maxray) 본사 사옥(1994), 나라(奈良)의 고조문화박물관(1995), 오카야마(岡山)의 나리와 미술관(1994)과 효고(兵庫)의 초등학교 등이 있으며, 상하이 디자인 센터(중국)의 설계를 맡았다.
SPECIAL 현장 프로그램 ㅣ 수곡리 ㅁ자집, 조병수 2020년 10월 25일 1:00PM
FILM 영상 ㅣ 땅집 : 윤동주의 하늘과 땅과 별을 기리는 집, 조병수 2020년 11월 6일 11:29PM
OPENHOUSE 현대카드 Vinyl & Plastic, 서승모 날 것 음반을 둘러보며, 고르고, 선곡하고, 들어본다. 빵을 사고, 차를 마시며 사색한다. 이러한 도시적 행위가 이태원로에 날것으로 전달되어 활력이 되기를 원했으며, 파사드 계획에서는 투명성과 개방성에 대해 생각했다. 이태원은 고유의 활력이 느껴지는 시장 같은 날것의 분위기가 만연한 지역이다. 바이닐 & 플라스틱에서의 행위가 날 것으로 노출되기 위해서는 파사드의 존재감을 지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길이22.7m, 폭3.4m의 천창을 두어, 자연광이 종일 실내로 스며들도록 하고, 이로써 아카시 니할라니(Aakash Nihalani)의 그래픽과 내부가 밝게 보이도록 하여 길이 22.7m, 높이8m의 저철분 유리 커튼월의 투명성을 배가시켰다. 전면 높이 8m 중, 하단 2.5m를 끊고 유리를 들여 설치하여 입면 비례와 볼륨감을 조절했다. 유리를 지지하는 바(bar)는 폭 45mm로 채택하여 시각적 간섭을 최소화했다. 동시에 코르텐강으로 마감된 폭 2m, 높이 2.5m의 출입문 4짝이 자유롭게 열리는 총7.5m의 개구부는 내부로 자연스럽게 동선을 유도하면서 동시에 뮤직 라이브러리와의 관련됨을 시사한다. 뮤직 라이브러리의 빈 공간에서 보이는 한남동 풍경과 바이닐 & 플라스틱에서의 음악을 듣고, 보고, 느끼고, 만지는 날것의 행위가 병치 되어 이태원로의 활력이 되기를 바란다. 글 서승모  사진 진효숙 서승모 1971년 일본 교토 출생으로, 경원대학교를 졸업하고 동경예술대학 건축학과에서 미술학 석사를 취득했다. 그 후 2년간 동 학교 비상근 강사였으며, 2004년 서울에서 독립했다. 이후, 2010년 사무소명을 사무소효자동으로 개칭하여 현재 주거, 호텔, 업무시설 등 다방면으로 설계 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주요 작업으로는 ‘Theory 플래그쉽 스토어 파사드 리노베이션’, ‘현대카드 바이닐 & 플라스틱 파사드 리노베이션’, ‘남해 613여관’ 등이 있다. 용도 근린생활시설 대지면적 729.3m² 건축면적 408.58m²        연면적 2160.45m²           규모 지상6층, 지하1층       주차 13대         높이 17.5m        건폐율 56.02%   용적률 231.47%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구조   외부 마감 THK32 로이유리, THK1.6 코르텐강판        구조 설계 ㈜ 엘씨구조시스템         시공 ㈜ 계선        기계 설계  아이에코 ENG 전기 설계 아이에코 ENG  IECO ENG. 설계 기간 2015.6~2016.2 시공 기간 2016.2~2016.5
OPENHOUSE 유유제약 안양공장, 김중업 유유제약 안양공장은 유유제약 유특한 회장의 의뢰로 1959년 김중업이 설계해 1960년 준공했다. 경기도 안양에 소재하며 지상 2층, 연면적 2,574㎡ 규모의 철근콘크리트조 건물이다. 공장 건물에 박종배의 조각 작품을 접목하는 등 독특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2006년 충북으로 제약공장을 이전한 이후, 공장 건물은 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 안양시에 매입되어 리모델링 후 현재는 김중업건축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부지 내에는 보물 제4호로 지정된 중초사지 당간지주와 고려 시대 삼층석탑(경기도 유형문화재 제164호)이 발굴되어 보존되어 있다. 유유산업 안양공장 건물은 김중업이 설계한 공장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것이다. 그는 이 공장 건물뿐만 아니라 출입문, 손잡이, 조각품 배치와 같은 세밀한 부분까지도 디자인해 산업건축물인 공장임에도 불구하고 예술적인 면모를 드러내고 있다. 또한 구조적 명확성이 두드러지는 설계로 김중업 초기 건축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글 MMCA(국립현대미술관) 사진 김태동(국립현대미술관 제공), 김중업건축박물관 제공
SPECIAL OPENHOUSE Seoul BADGE 2020년 11월 16일 1:00AM
OPENHOUSE 세운베이스먼트, 이충기 세운베이스먼트–메이커스와 기억의 공간 세운베이스먼트는 세운상가 가동 지하 보일러실을 4차산업의 메이커들을 위한 작업, 전시, 교육, 체험 등 다목적 용도로 재생하는 리모델링 프로젝트다. 서울시의 세운상가 재생사업은 관 주도의 진행에서 탈피해 초기 단계부터 주민 참여로 의견을 수렴하고 보행 재생, 산업 재생, 공동체 재생이라는 목표와 내용을 주민과 공유해 왔다. 그 결과 주민들이 서울시와 협약을 맺고 중정 로비 공간, 지하 및 옥상 공간 등 사적 소유의 일부를 공공이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했다. 세운상가 재생사업의 총괄 MP를 수행하고 있는 본인은 재능기부로 그 중 지하 보일러실 리모델링 설계를 맡게 되었다.  설계 개념은 과거와 첨단의 공존, 즉 과거 기억 속에 첨단 기능을 다루는 로봇 등의 메이커스 공간을 집어넣은 것으로 설정했다. 기존 기계실의 1/3 정도의 면적에, 사용되지 않고 용도 폐기된 각종 기름탱크, 보일러, 배관, 분배기 등이 어지럽게 방치되어 있었으나 설비 기능이 살아 있는 구간을 기준으로 공간을 구획하고 새로운 용도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기존 기계실의 기억과 흔적을 남기고자 했다. 바닥과 벽은 방수, 배수를 위한 기초적 작업을 했고 벽 일부와 천정은 기존 마감을 유지했으며, 기억과 흔적을 위한 장치로서의 탱크와 기계장치, 배관 등은 일부 존치했다. 천장 조명과 계단 난간, 출입문 손잡이 등은 공간 및 재료를 고려하여 설비배관용 파이프를 이용하여 디자인했다.  글 이충기  사진 노경 면적 175.74㎡ 규모 지하 1층 이충기 서울시립대 건축학부 교수이며, 현재 서울시건축정책위원, 세운상가재생 총괄MP, 찾동 공간개선사업 총괄MP 수행 하고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을 역임하였으며, 베니스비엔날레 참여작가(2010), 서울건축문화제 총감독(2016), 건축대전 초대작가(현재~1998), 블라디보스톡비엔날레(2008), 베를린DAZ초청전시(2008), 프랑크푸르트DAM초청전시(2007), 홍콩센젠비엔날레(2007)등의 전시활동을 겸하여 진집(2016건축문화대상,대구시건축상), 선벽원(2013한국건축베스트7, 서울시건축상, 한국리모델링대상), 제주전문건설회관(2006제주건축문화대상), 옥계휴게소(2005한국건축문화대상), 인삼랜드휴게소(2001한국건축문화대상), 가나안교회(2001한국건축문화대상) 등의 대표작을 내었다. 최근 마을가꾸기, 공공디자인 등의 사회, 공공적 활동과 도시, 건축의 재생 및 재활용 분야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